바이러스 질병의 감염과 공포에 대하여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바이러스 질병의 감염과 공포에 대하여

0 개 1,805 명사칼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우한(武漢) 폐렴’에 대한 공포가 플라스틱 미세 입자처럼 세계로 퍼져나간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국제적인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이는 2009년 신종플루(H1N1), 2014년 소아마비, 2014년 서아프리카 에볼라, 2016년 지카 바이러스, 2019년 콩고민주공화국 에볼라 등에 이은 역대 여섯 번째 사례에 해당한다. 우리나라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확증 환자가 여럿 나오면서 감염 예방에 쓰는 마스크와 손 세정제로 한 몫을 챙기려는 자들로 품귀 소동을 겪고, 질병 통제 예방 센터의 움직임은 눈코 뜰 새 없이 바빠졌다. 

 

이런 가운데 파생한 괴담, 가짜 뉴스, 유언비어도 급속도로 퍼지는 중이다. ‘우한 폐렴’은 무증상 환자를 통해 감염되고, 죽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공포를 낳는다. 공포의 핵심은 신종 바이러스의 강한 전염성과 치사율이지만 이것을 키우는 것은 “모르는 것이 일으키는 두려움”이다. 대중 매체는 감염의 위험성을 과장 경고하며 모르는 것이 일으키는 불안과 공포를 한껏 키우고 흩뿌린다.

 

신종 바이러스 공포는 어딘가 익숙한 데가 있다. 2002년 11월 중국에서 시작해 동남아로 번진 사스(sar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2012년 중동의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발병해 번진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를 통해 사회적 공포를 겪은 터다. 박쥐, 조류, 원숭이, 돼지 같은 동물을 매개로 생긴 신종 바이러스가 질병 감염으로 번지는 것은 이것이 유전자 변이에 능하기 때문이다. 

 

율라 바스는 질병과 면역을 둘러싼 신화와 은유를 탐구해서 뛰어난 통찰력을 담은 문학적 수사와 과학적 사실을 결합한 ‘면역에 관하여’(열린책들, 2016)를 썼다. 그 책이 전하려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인류가 항생제 내성을 가진 신종 바이러스의 감염 질병과 그것에서 파생하는 위험과 공포를 피할 수 없다고 경고를 하려는 것이다. 이 공포에 앞서 먼저 바이러스가 무엇인가에 대해 물어야 한다. 

 

바이러스란 무엇인가?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작은 전염성 병원체다. 이것은 기생하는 숙주에 따라 동물성 바이러스, 식물성 바이러스, 세균성 바이러스로 나뉜다. 바이러스는 생물도 무생물도 아닌 “불활성 유전 물질 덩어리”로 숙주 세포에 기생하는데, 이것은 반드시 살아 있는 숙주 세포 안에서 복제되어 다른 숙주를 감염시킨다.

 

인류는 몸 안에 들어온 바이러스라는 불완전한 정체성과 싸우며 그것을 존재의 일부로 받아들이며 오늘에 이르렀다. 인간은 신종 바이러스를 받아들이며 - 감염이란 받아들임의 한 형식이다 - 공존과 진화를 꾀하는 종이다. 

 

인류 역사는 우리가 결핵, 천연두, 홍역, 볼거리, 풍진, 조류독감, 인플루엔자… 같은 숱한 바이러스에 면역계 안에서 항체를 만들어 싸우며 진화한 존재라는 사실을 증명한다. 놀라지 마시라, 바이러스는 질병의 원인이자 동시에 인류 생존에 도움을 준 핵심 요소이기도 했다. “간혹 바이러스가 생물체를 감염시켰을 때, 바이러스의 DNA가 그 생물체의 유전 부호의 일부가 되어 그 생물체의 후손에게 전달되는 경우가 있다. 인간의 유전체 중 꽤 놀랄 만큼 많은 양이 그처럼 옛 바이러스 감염이 남긴 부스러기들이다.”(‘면역에 관하여’, 52~53쪽) 바이러스 중 일부는 유구한 세월을 통해 인류 생존에 필요한 부분으로 남았다. 대개의 바이러스는 사람을 숙주 삼아 퍼지지만 우리도 바이러스를 통해 얻은 것을 통해 진화상의 큰 성공을 거두었다. 알고 보면 인간과 바이러스는 공존하고 공생하는 관계다.

 

신종 바이러스는 우리의 영토로 들어와 일자리를 앗아가는 외부자나 이민자로 오해받을 수 있다. 물론 바이러스가 미생물과 같은 우리 안에 있는 ‘비자기nonself’인 것은 사실이다. 우리 안의 세포 숫자는 60조이지만 미생물의 숫자는 그보다 훨씬 더 많다. 우리 안의 타자인 미생물은 우리 안에서 영양을 공급받으며 생존하는 대신 소화를 돕고 비타민 합성을 거드는 등 생존 이익에 부합하는 활동을 한다.

 

“우리 몸은 이미 질병에 반응하도록 프로그래밍되었고 기술로 변형된 바이러스를 통해 변모되었다.”(80쪽) 바이러스는 우리 세포를 질병으로 감염시키고 그 결과로 우리 생명을 앗아간다. 좋든 싫든 자연에서 온 바이러스는 이미 외부에서 온 내부자로 우리 안에서 유전체의 일부로 살아남았다. 우리 몸은 숱한 바이러스의 변이를 겪어내며 공존과 진화를 이루어온 것이다.

 

이 신종 바이러스의 감염 확산을 어떻게 봐야 좋을까?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두려움 자체는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아니다. 좋은 두려움은 우리로 하여금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더욱 조심하는 태도를 만들지만 반면 나쁜 두려움은 바이러스와 질병의 원인을 타자에게 투사해 근거 없는 혐오를 확산하는데 기여한다. 역사적으로 타자성과 질병의 융합은 드문 일이 아니다. 이미 신종 바이러스가 중국의 한 지역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에 근거해서 비 아시아계 인종에 의한 아시아계 인종을 향한 혐오 사태로 번진다. 

 

혐오는 나와의 다름을 근거로 대상을 차별하고 소외시키는 행위다. 그것의 함의는 한 대상에게 가해지는 따돌리고 집어삼켜 존재를 지우려는 일방적 폭력이다. 이미 여러 나라가 중국인 여행자의 입국을 막는 강제 조치를 취하고, 이탈리아의 한 대학은 중국인은 물론이거니와 한국인과 일본인 유학생의 수강 신청마저 거부했다는 뉴스도 접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는 전염성은 강하지만 치사율은 사스(10%)나 메르스(30%)보다 낮은 5% 안팎이고, 설사 감염되더라도 가벼운 증상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러니 지금 당장 창문 밖으로 시체가 벚꽃잎 분분하게 날리며 떨어지는 것처럼 가상의 공포를 증폭시키며 곧 죽을 듯이 호들갑을 떨 필요는 없다.

 

■ 장 석주 : 시인, 인문학자 

 

83ac448086ee41b6922fb25ba1bcb7fd_1582675213_1018.jpg
 

 

영화와 도시

댓글 0 | 조회 1,236 | 2020.03.25
뉴욕 출신 거장 영화감독들이 만든 뉴욕 스토리‘인생은 흘러가고 흘러가는 것’우디 앨런, 마틴 스콜세지 등 참여​한때 뉴욕이란 곳에서 3년 정도 살아보고 싶다는 생… 더보기

통계와 정직 훈련

댓글 0 | 조회 1,266 | 2020.03.11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것 가운데 “먹거리” 만큼 중요한 것이 또 있을까? 특히 밭과 들에서 나오는 기본 작물에 대해 어떻게 하면 최대한의 수확을 할 수 있을까… 더보기
Now

현재 바이러스 질병의 감염과 공포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1,806 | 2020.02.26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우한(武漢) 폐렴’에 대한 공포가 플라스틱 미세 입자처럼 세계로 퍼져나간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국제적인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 더보기

생활 속의 붓 문화

댓글 0 | 조회 1,196 | 2020.02.12
해가 바뀌어 2020년, 경자년(庚子年)이 되자 설 날을 맞이하는 서예 전시회 하나가 열렸다. 연향회(=한우리교회 문화센터의 서예교실) 회원들이 마련한 16번째의… 더보기

‘사건’으로서의 사랑

댓글 0 | 조회 1,275 | 2020.01.28
인천의 한 마트에서 사건이 일어났다. 34세 아버지와 12세 아들이 마트에서 물건을 훔치다 적발됐다. 그들이 훔친 것은 우유 2팩과 사과 6개, 그리고 몇 개의 … 더보기

뉴질랜드 시내버스 이야기

댓글 0 | 조회 3,163 | 2020.01.14
머리말2019년 11월 11일 (월요일)과 13일 (수요일) 이틀동안 오클랜드 남동부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회사 Go Bus의 East Tamaki and Airp… 더보기

간디와 Salt March

댓글 0 | 조회 1,038 | 2019.12.23
해외여행이 요즘처럼 쉽지 않았던 20여 년 전… 해외출장은 또한 그 나라의 문화와 역사의 한 토막을 엿보며 상식과 상담(商談)의 자료를 쌓는데 더 없이 귀한 기회… 더보기

‘무재팔자’에 대해서

댓글 0 | 조회 1,591 | 2019.12.10
무재팔자도 돈 만지는 직업 가능 단, 거의 쓰지 않는 ‘짠돌이’ 성격기업 자금담당이나 금융업 해도 이득 없는 분야엔 한푼 안 써팔자 걸맞은 소박한 생활하며 자족감… 더보기

다양한 상속제도

댓글 0 | 조회 2,014 | 2019.11.27
인류역사상 가장 널리 퍼진 상속제도는 부계상속이다. 장남의 특권적 지위를 인정하는 장자상속을 비롯해, 막내아들이 재산을 상속하는 말자상속, 여러 아들들이 고루 나… 더보기

배리(背理)를 견디기 혹은 극복

댓글 0 | 조회 1,086 | 2019.11.13
존재론적 배리를 견디는 운명사회적 배리에 저항하는 숭고성정치가 일상이 되어야 하는 이유배리(背理)를 경험하지 않을 때 우리는 얼마나 행복한가. 모든 것이 논리대로… 더보기

지금 당신이 꽃입니다

댓글 0 | 조회 1,713 | 2019.10.22
땅에 쑥 돋아납니다. 해 뜨면 쑥 잎 끝에 보석 같은 이슬방울이 반짝이다가 흔적도 없이 사라집니다. 자연은 무궁무진무구입니다. 우리의 눈과 마음이 가 닿지 못한 … 더보기

꿈이 멎어 있는 곳

댓글 0 | 조회 1,117 | 2019.10.09
■ 유 승재“말 달리던 선구자, 지금은 어느 곳에 거친 꿈이 깊었나” 윤해영 작사 조두남 작곡의 선구자에 나오는 영감과 솟구치는 힘이 숨어 있는 멋 있는 구절이다… 더보기

우리는 영원히 이방인일까?

댓글 0 | 조회 2,270 | 2019.09.24
머리말1세대는 백프로 이방인(other)으로 살다 생을 마감한다고 본다. 이는 본인이 뉴질랜드를 얼마나 사랑하고 또 얼마나 많은 키위 친구들이 자기를 아끼는가 여… 더보기

나이 들어서는 음•체•미

댓글 0 | 조회 1,663 | 2019.09.10
10대 후반에 학교 다닐 때는 ‘국어•영어•수학’ 과목이 중요하다. 여기서 결판이 난다. 명문대학에 들어가는 것도 국•영•수가 좌우한다. 진로와 직업은 명문대학을… 더보기

어느 나무의 이야기

댓글 0 | 조회 1,030 | 2019.08.28
“우둔한 영혼들아. 나를 보렴”다 무너진 후에야 비로소 아는 것낮고 약한 것들의 푸르른 생명성나무는 자신도 모르게 이 세상에 심어졌습니다. 하이데거의 말처럼 누군… 더보기

직업인과 직장인

댓글 0 | 조회 1,447 | 2019.08.13
나는 내 직장 길 건너에 있는 아파트에 산다. 아파트 지하 1층에는 운동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춰져 있는데 그곳에서 운동을 하던 어느 날 아침에 있었던 일이다.큰 … 더보기

선비들에게서도 배울 점이 있는가?

댓글 0 | 조회 1,391 | 2019.07.24
서양 중세의 기사와 영국 근대의 젠트리는 시골에 살더라도, 자신을 마을 사람들과는 완연히 구별되는 특수한 존재로 인식하였다. 일본의 사무라이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더보기

꽃필수록 아프다

댓글 0 | 조회 1,344 | 2019.07.09
오래 전, 누가 바다 멀리 어느 섬에서 흐느껴 우는 소리가 자꾸 환청처럼 들려온다고 했다. 거기 섬사람들의 목쉰 통곡이 분명한데, 위험해서 아무도 건너가 위로해주… 더보기

무엇을 물려줄 것인가

댓글 0 | 조회 1,755 | 2019.06.26
“올해 다들 환갑이라며?” 국어 선생님께서 물으셨다. 원탁에 둘러앉은 우리들은 누구랄 것도 없이 “네” 라고 답했다. 선생님 말씀 잘 듣던 모범생의 목소리도, 그… 더보기

멘토는 없다

댓글 0 | 조회 1,400 | 2019.06.12
젊은 사람들과 얘기를 나누는 자리에서 반복해서 듣게 되는 질문이 하나 있었다. 그동안 살아오면서 멘토가 누구였느냐. 처음엔 이 말을 인생 스승이 있느냐는 말로 들… 더보기

그저 그런 사람이 되는 이유

댓글 0 | 조회 1,883 | 2019.05.29
현실만 해결하려는 혁명은 높은 곳에 다다를 수 없어꿈을 가진 학생이 더 큰 열매를 맺듯이 낮은 시선은 작은 결과 낳아머물고자 하면 머물고 날고자 하면 나는 것이 … 더보기

‘보여주기’ 와 ‘보기’

댓글 0 | 조회 1,212 | 2019.05.15
‘보여주기’는 자신을 소진하고 ‘보기’는 충전하는 행위대표적 ‘보기’ 습관인 독서ㆍ여행ㆍ산책은 영혼의 충전소​우리의 일상은 ‘보여주기’와 ‘보기’로 구성되어 있다… 더보기

약 오르면 진다

댓글 0 | 조회 1,533 | 2019.04.24
어릴 적에 보았던 연속극의 한 대목이 지금까지 기억난다. 어떤 큰 부자가 집사에게 큰일을 해결하고 오라고 파견하면서 한 말이다.“약 오르면 진다.” 심리적으로 동… 더보기

1954년 2월, 한국에 온 마릴린 먼로

댓글 0 | 조회 1,779 | 2019.04.09
매년 2월이면 세기적인 매혹의 헐리우드 스타 마릴린 먼로(Marilyn Monroe. M.M)가 떠오른다. 노마진 모텐슨이란 본명으로 가난한 고아로 태어나 195… 더보기

효도계약서라도 써야 하는가

댓글 0 | 조회 1,588 | 2019.03.27
지난 30년 동안 인간사회에는 뜻밖의 변화가 많이 일어났다. 빠른 속도로 진행된 노령화도 그중 하나다. 나라마다 사정은 다르지만 국가채무가 급증한 것도 눈에 띄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