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금대출 (변경내용 외) - 1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학자금대출 (변경내용 외) - 1

0 개 3,077 박종배

이번호에는 학자금대출 관련하여 오는 2020년 4월1일자로 변경되는 내용과 학자금대출자의 국내 및 국외거주 날짜계산방법을 예를들면서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

 

오는 2020년4월1일부터는 Tax Code가 ‘WT’인 서브콘트랙터의 경우에도 원천과세되어 받는 소득액에서 학자금대출상환액이 공제된다.  이에 따라 학자금대출잔액이 있는 서브콘트랙터의 맞는 tax code는 ‘WT SL’이 된다.  Tax Code가 ‘WT’인 경우, 관련경비 공제를 포함한 소득세신고 이후에야 최종 소득액이 계산되기 때문에, 원천과세된 소득액과 실제 과세소득액과는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원천과세된 소득액기준으로 학자금대출상환액을 공제할 경우 학자금대출상환액이 많게 공제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WT’ 원천과세율은 20% 이지만, 예상 경비를 계산에 포함하여 낮은 공제% (Special deduction rate) 를 신청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예상되는 과세소득에 맞는 학자금대출상환액이 공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알려져 있듯이, 뉴질랜드에 거처를 둔 학자금대출자은 이자가 부과되지 않는다.  IRD에 의하면, 현재까지는 IRD 시스템의 한계 때문에 우선 모든 학자금대출에 대한 이자가 우선 부과되고, 뉴질랜드 거주하는 경우 해당이자만큼 상계되고 있지만, 새로운 시스템에 의해 오는 2020년4월1일 이후부터는 해외거주대출자에게만 이자가 부과된다.

 

국내거주 183일, 해외거주 184일 계산

 

학자금대출인이 뉴질랜드에 계속해서 183일 이상 (해외여행 합계 31일 이하 포함) 거주할 경우 국내거주로 구분되어 해당기간에는 대출에 대한 이자가 부과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해외에 184일 이상 (뉴질랜드여행 합계 31일 이하 포함) 계속해서 거주할 경우에는 해외거주자가 되어, 해당기간에는 이자가 부과된다.  여기서 우선 이해해야 하는 부분은 상기‘해외여행 합계 31일 이하 포함’부분이다.  예를들어 뉴질랜드에 183일 거주하였고 그 기간 중 31일 해외 여행을 다녔다고 하자, 이 때 실제 뉴질랜드에는 152일을 거주했지만, 전체 183일을 뉴질랜드 거주일로 간주하여 대출이자를 부과하지 않는다.  

 

그리고, 특정날짜가 국내거주 183일 그리고 해외거주 184일에 동시에 포함될 수 있다면, 특정날짜는 국내거주 183일에만 포함된다 (tiebreaker provision). 아래에 둘의 예를 들어 보겠다.

 

예1) ‘A’는 184일 이상 해외에 거주하다 뉴질랜드 입국하여 170일을 거주하였다. 그 후 해외에 200일을 거주하다 뉴질랜드로 영구 귀국하였다.

 

→  첫 ‘184’일 이상 해외거주한 기간은 해외거주 이다.  그 후 뉴질랜드에 170일만을 거주했지만, ‘해외여행 31일 이하’ 인정해 주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그후 해외거주기간 200일 중 13일은 국내기간 183일에 포함될 수 있고 국외기간 184일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tiebreaker rule 의해 13일은 국내 183일에만 포함된다.  즉, 뉴질랜드 거주기간 170일과 그후 해외거주 13일 기간동안은 국내거주로 간주한다.  해외거주 200일 중 13일은 국내거주기간이기 때문에 해당기간을 제외하면 실 해외거주기간은 187일이 된다.  즉 184일 이상을 해외거주했기 때문에 187일 기간은 해외거주가 된다.      <다음호 계속>

 

주의 - 본 칼럼은 일반적인 내용으로 안내를 목적으로 쓰여졌으므로, 저희글에 의지하여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서 저희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329] 가족수당 (Family Assistance)

댓글 0 | 조회 3,221 | 2006.03.28
뉴질랜드 노동당 정부가 발표한 “Working for Families" 정책의 일환으로 이번 4월 1일부터 지급되는 가족수당이 대폭 인상되며 가족수당 수혜자의 폭… 더보기

임대(leased) 아파트

댓글 0 | 조회 3,200 | 2009.03.10
최근에 IRD에서는 호텔이나 Serviced 아파트(일반적으 로 단기 숙박서비스 제공) 등과의 리스계약이 되어있는 아파트의 구매 및 매각시 적용되는 GST에 대한… 더보기

E-Commerce (인터넷 상거래)

댓글 0 | 조회 3,194 | 2009.05.13
인터넷의 상용화로 인터넷을 통한 구매가 일상화 되었고, 이에 따라 누구나 한번쯤 웹사이트를 통한 사업구상을 생각해 봤으리라 생각된다. 이번호에는 인터넷을 통한 상… 더보기

[344] Capital Gain(캐피탈 게인)

댓글 0 | 조회 3,193 | 2006.11.13
"뉴질랜드에서는 양도소득세가 없다”이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민들이 알고 있는 사항이다. 하지만 보다 정확히 하자면 “뉴질랜드에서는 Capital Gain에 대한 … 더보기

2012 PAYE 표

댓글 0 | 조회 3,191 | 2011.04.28
이번 2012세무년도 (2011년 4월 ~ 2012년 3월) PAYE표를 IRD웹사이트(www.ird.govt.nz)에서 볼 수있다. 1주 혹은 2주마다 급여를 … 더보기

Tax Avoidance

댓글 0 | 조회 3,188 | 2010.11.24
이번호에는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Tax Avoidance에 대해서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 코리아포스트 363호에 Tax Avoidance와 관련한 글을 연재하… 더보기

[333] 신규이민자의 해외소득신고 면제 및 KiwiSaver 관련

댓글 0 | 조회 3,186 | 2006.05.22
신규이민자의 해외소득신고 면제(2006년4월 1일 이후 입국) ***************************************************** 일… 더보기

고용주가 갖추어야 할 고용자료

댓글 0 | 조회 3,170 | 2016.10.27
이번호에는 정부(Employment New Zealand) 자료를 근거로 각 직원과 관련하여 고용주가 반드시 갖춰야 할 자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성명… 더보기

Tax Credit for Children

댓글 0 | 조회 3,160 | 2010.01.27
사업주인 지인 혹은 고객들과 여담을 나누다보면, 초,중,고 자녀에게 부모의 사업체에서 부모를 도운 명목으로 일정액을 지급하고 있음을 종종 듣게 된다. 노동의 소중… 더보기

세금납부 방법 및 변경내용

댓글 0 | 조회 3,156 | 2014.06.25
현재, 대부분의 납세자는 IRD로 직접 세금을 납부 할 경우 아래의 방법으로 납부를 하고 있다. * 납기전에 수표와 납부고지서를 IRD로 직접송부 (납기는 우체국… 더보기

[376] 키위세이버 고용주 강제분담 및 이에 따른 고용주 지원

댓글 0 | 조회 3,149 | 2008.03.11
키위세이버의 큰 단점인 "65세까지 인출불가"에도 불구하고, 이미 40만 명 이상이 키위세이버에 가입 하였다(2월 4일자 뉴질랜드헤럴드). 오는 총선에서 정부가 … 더보기

Child Tax Rebate

댓글 0 | 조회 3,147 | 2009.02.11
15세 미만이거나 19세미만의 중고등학생(Secondary School)에게는 이자 혹은 배당소득을 제외한 일정근로 소득에 대해서 세금을 환급해 주는 Child … 더보기

[348] 비거주자(Non-Resident)의 소득신고

댓글 0 | 조회 3,140 | 2007.01.15
세법상 비거주자인 경우에도 뉴질랜드에서 발생한 수입에 대해서는 뉴질랜드에 소득세 납부를 해야 한다.참고로, 세법상 거주자/비거주자 구분은 우리가 알고 있는 이민법… 더보기

Tax Working Group (Ⅱ)

댓글 0 | 조회 3,138 | 2009.09.22
이번 호에는 지난 호에 이어 지난 7월 31에 있었던 Tax Working Group(이하 'TWG')의 두번째 Session에서 논의되었던 내용에 대해서 빅토리… 더보기

Tax Code (택스 코드) - FAQ

댓글 0 | 조회 3,123 | 2018.12.19
사업운영여부 상관없이 가장 많이 받는 질문중의 하나는 택스코드(Tax Code)와 관련한 내용이다. 택스코드는 원천과세(PAYE)를 결정짓는 코드로써, 일반적으로… 더보기

키위세이버 정상인출

댓글 0 | 조회 3,114 | 2012.08.15
키위세이버는 5년이상 불입한 가입자가 65세 이상이 되었을 때 본인불입, 정부지원액, 고용주지원액의 전체에 대한 키위세버 적립금인출(이하 ‘정상인출&r… 더보기

사업업종 및 사업체 선정

댓글 0 | 조회 3,111 | 2011.05.11
자영업을 고려하고 있는 교민은 제일 먼저 어떤 업종, 어떤 사업체에 투자/운영 할 것인지를 고민하게 된다. 이 번호에는 미약하나마 자영업을 고려하는 교민에게 도움… 더보기

[363] 세금회피(Tax Avoidance) 관련조항

댓글 0 | 조회 3,110 | 2007.08.28
소득세법에 의하면, 납세자가 어떤 세금회피계획 (Tax Avoidance Arrangement)에 의해 세금회피나 세금혜택을 받았을 경우, IRD는 이에 대해 대… 더보기

Tax Working Group

댓글 0 | 조회 3,108 | 2010.02.10
지난 1월 20일 Tax Working Group(이하 'TWG')의 보고서인 'A Tax System for New Zealand's Future'가 공개되었다… 더보기

Limited Company

댓글 0 | 조회 3,104 | 2010.04.13
이번 호에는 사업체의 형태 중 주식회사인 Limited Company (이하 '회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지난 호에 알아보았던 Sole Trader(개인… 더보기

국가간 자동 정보교환 (AEOI)

댓글 0 | 조회 3,098 | 2018.05.23
첫 국가간 자동 정보교환은 일정대로라면 오는 2018년 9월 30일 이전에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호에는 IRD자료를 근거로 국가간 자동 정보교환 (AEOI -… 더보기

소득세환급 사칭 이메일 주의

댓글 0 | 조회 3,085 | 2010.09.29
최근 6개월사이에 소득세 환급 (Tax Refund)과 관련한 사기성 이메일이 돌고 있는 것으로 언론에 보도 된 바 있다. 이번호에는 주의차원에서 이에 대해 간단… 더보기

고용업무의 이해 - 3. IR 330

댓글 0 | 조회 3,080 | 2008.08.27
고용계약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용주는 반드시 직원으로부터 작성되고 서명된 'Tax Code Declaration' (이하 'IR330')을 받아 7년간 보관 하여… 더보기

현재 학자금대출 (변경내용 외) - 1

댓글 0 | 조회 3,078 | 2019.10.23
이번호에는 학자금대출 관련하여 오는 2020년 4월1일자로 변경되는 내용과 학자금대출자의 국내 및 국외거주 날짜계산방법을 예를들면서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오는 2… 더보기

[374] DIY 세금신고

댓글 0 | 조회 3,073 | 2008.02.12
DIY 는 주로 주택수리, 리노베이션 등에 자주 듣는 Do It Yourself 의 약자로 '스스로 하는 것'을 뜻한다. 그럼, DIY 세금 신고는 어떨까? 사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