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업무의 이해 - 3. IR 330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고용업무의 이해 - 3. IR 330

0 개 3,085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
고용계약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용주는 반드시 직원으로부터 작성되고 서명된 'Tax Code Declaration' (이하 'IR330')을 받아 7년간 보관 하여야 한다. 이번 호에는 올바른 PAYE(급여세)신고의 중요성과 'IR330'에 포함되는 내용에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소규모 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교민사업주들이 소홀히 처리할 수 있는 부분중의 하나는 직원고용에 대한 신고 의무이다.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여 PAYE신고와 납부의무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PAYE신 고시 직원의 급여지급내역을 실수로 누락하는 경우, 급여세를 잘못 원천징수한 경우 등이다. PAYE신고 절차를 단순한 급여세 납부의무로 생각할 수 있겠지만, 급여세 신고내용이 각종 수당(가족수당, 모게지(렌트)보조 등)의 기초자료로 쓰이기 때문에 더욱더 바른 PAYE신고가 요구 되어진다.

그러면, 올바른 PAYE신고의 시작은 무엇일까. 바로 직원으로부터 작성되고 서명된 'Tax Code Declaration (IR330)'을 받는 것이다. 'IR330'에는 고용인의 영문이름, IRD번호, Tax Code, 비자상태를 표기하도록 되어 있다. 이 내용들은 고용주가 직원의 PAYE신고를 위한 필수 항목들이다.

고객들의 세무/회계 업무를 하다보면, 'IR330'과 관련 하여 고객들로부터 자주 문의받는 항목은 PAYE세액 공제 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Tax Code'와 관련한 내용들이다. 아래에 주 소득원이 되는 직장에서의 Tax Code와, Second 직장인경우에는 Tax Code를 구분하여 각각의 Tax Code를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주 소득을 벌어들이는 직장에서의 Tax Code

1. 아래 2, 3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 "M" (대부분)
2. 뉴질랜드 정부로부터의 학자금 대출금 잔고가 남아 있을 경우 - "M SL"
3. 주소득원에서의 주 20시간 이상 근무하며 연소득이 $9,880미만이고, 본인 혹은 배우자가 가족수당(Working for Family Tax Credits)을 받지 않을 경우 – "ML"

Second 직장에서의 Tax Code

1. 학자금 대출잔고가 없으며, 연소득이 $38,000미만인 경우 – "S"
2. 학자금 대출잔고가 없으며, 연소득이 $38,000이상 $60,000미만인 경우 – "SH"
3. 학자금 대출잔고가 없으며, 연소득이 $60,000이상인 경우 – "ST"
4. 학자금 대출잔고가 있고, 2009년(2008년 4월~ 2009년 3월) 연소득이 $18,148미만일 경우 – "S"
5. 학자금 대출잔고가 있고, 2009년 연소득이 $18,148이상 $38,000미만일 경우 – "S SL"
6. 학자금 대출잔고가 있고, 2009년 연소득이 $38,000이상 $60,000미만일 경우 – "SH SL"
7. 학자금 대출잔고가 있고, 2009년 연소득이 $60,000이상일 경우 – "ST SL"

새로운 직원이 작성, 서명된 'IR330'을 급여지급시까지 제출하지 않거나, 'IR330'의 내용 중 이름, IRD번호, Tax Code 중 누락된 'IR330'을 제출 하였을 시 고용주는 세금 전 급여의 46.4%를 PAYE로 공제하고, PAYE신고시 해당 직원의 Tax Code란에는 "ND"를 기록한다. 공제된 PAYE는 PAYE신고시 IRD에 납부된다. 예를 들어, 세금 전 $600인 경우에는 $278.40을 공제하고 그 직원에게 $321.60만을 지급하여야 한다.

ⓒ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http://www.koreatimes.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29] 가족수당 (Family Assistance)

댓글 0 | 조회 3,225 | 2006.03.28
뉴질랜드 노동당 정부가 발표한 “Working for Families" 정책의 일환으로 이번 4월 1일부터 지급되는 가족수당이 대폭 인상되며 가족수당 수혜자의 폭… 더보기

임대(leased) 아파트

댓글 0 | 조회 3,209 | 2009.03.10
최근에 IRD에서는 호텔이나 Serviced 아파트(일반적으 로 단기 숙박서비스 제공) 등과의 리스계약이 되어있는 아파트의 구매 및 매각시 적용되는 GST에 대한… 더보기

E-Commerce (인터넷 상거래)

댓글 0 | 조회 3,205 | 2009.05.13
인터넷의 상용화로 인터넷을 통한 구매가 일상화 되었고, 이에 따라 누구나 한번쯤 웹사이트를 통한 사업구상을 생각해 봤으리라 생각된다. 이번호에는 인터넷을 통한 상… 더보기

[344] Capital Gain(캐피탈 게인)

댓글 0 | 조회 3,202 | 2006.11.13
"뉴질랜드에서는 양도소득세가 없다”이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민들이 알고 있는 사항이다. 하지만 보다 정확히 하자면 “뉴질랜드에서는 Capital Gain에 대한 … 더보기

Tax Avoidance

댓글 0 | 조회 3,197 | 2010.11.24
이번호에는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Tax Avoidance에 대해서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 코리아포스트 363호에 Tax Avoidance와 관련한 글을 연재하… 더보기

2012 PAYE 표

댓글 0 | 조회 3,195 | 2011.04.28
이번 2012세무년도 (2011년 4월 ~ 2012년 3월) PAYE표를 IRD웹사이트(www.ird.govt.nz)에서 볼 수있다. 1주 혹은 2주마다 급여를 … 더보기

[333] 신규이민자의 해외소득신고 면제 및 KiwiSaver 관련

댓글 0 | 조회 3,193 | 2006.05.22
신규이민자의 해외소득신고 면제(2006년4월 1일 이후 입국) ***************************************************** 일… 더보기

고용주가 갖추어야 할 고용자료

댓글 0 | 조회 3,176 | 2016.10.27
이번호에는 정부(Employment New Zealand) 자료를 근거로 각 직원과 관련하여 고용주가 반드시 갖춰야 할 자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성명… 더보기

Tax Credit for Children

댓글 0 | 조회 3,164 | 2010.01.27
사업주인 지인 혹은 고객들과 여담을 나누다보면, 초,중,고 자녀에게 부모의 사업체에서 부모를 도운 명목으로 일정액을 지급하고 있음을 종종 듣게 된다. 노동의 소중… 더보기

세금납부 방법 및 변경내용

댓글 0 | 조회 3,162 | 2014.06.25
현재, 대부분의 납세자는 IRD로 직접 세금을 납부 할 경우 아래의 방법으로 납부를 하고 있다. * 납기전에 수표와 납부고지서를 IRD로 직접송부 (납기는 우체국… 더보기

[376] 키위세이버 고용주 강제분담 및 이에 따른 고용주 지원

댓글 0 | 조회 3,155 | 2008.03.11
키위세이버의 큰 단점인 "65세까지 인출불가"에도 불구하고, 이미 40만 명 이상이 키위세이버에 가입 하였다(2월 4일자 뉴질랜드헤럴드). 오는 총선에서 정부가 … 더보기

Child Tax Rebate

댓글 0 | 조회 3,153 | 2009.02.11
15세 미만이거나 19세미만의 중고등학생(Secondary School)에게는 이자 혹은 배당소득을 제외한 일정근로 소득에 대해서 세금을 환급해 주는 Child … 더보기

[348] 비거주자(Non-Resident)의 소득신고

댓글 0 | 조회 3,147 | 2007.01.15
세법상 비거주자인 경우에도 뉴질랜드에서 발생한 수입에 대해서는 뉴질랜드에 소득세 납부를 해야 한다.참고로, 세법상 거주자/비거주자 구분은 우리가 알고 있는 이민법… 더보기

Tax Code (택스 코드) - FAQ

댓글 0 | 조회 3,145 | 2018.12.19
사업운영여부 상관없이 가장 많이 받는 질문중의 하나는 택스코드(Tax Code)와 관련한 내용이다. 택스코드는 원천과세(PAYE)를 결정짓는 코드로써, 일반적으로… 더보기

Tax Working Group (Ⅱ)

댓글 0 | 조회 3,144 | 2009.09.22
이번 호에는 지난 호에 이어 지난 7월 31에 있었던 Tax Working Group(이하 'TWG')의 두번째 Session에서 논의되었던 내용에 대해서 빅토리… 더보기

키위세이버 정상인출

댓글 0 | 조회 3,120 | 2012.08.15
키위세이버는 5년이상 불입한 가입자가 65세 이상이 되었을 때 본인불입, 정부지원액, 고용주지원액의 전체에 대한 키위세버 적립금인출(이하 ‘정상인출&r… 더보기

사업업종 및 사업체 선정

댓글 0 | 조회 3,119 | 2011.05.11
자영업을 고려하고 있는 교민은 제일 먼저 어떤 업종, 어떤 사업체에 투자/운영 할 것인지를 고민하게 된다. 이 번호에는 미약하나마 자영업을 고려하는 교민에게 도움… 더보기

[363] 세금회피(Tax Avoidance) 관련조항

댓글 0 | 조회 3,116 | 2007.08.28
소득세법에 의하면, 납세자가 어떤 세금회피계획 (Tax Avoidance Arrangement)에 의해 세금회피나 세금혜택을 받았을 경우, IRD는 이에 대해 대… 더보기

Tax Working Group

댓글 0 | 조회 3,115 | 2010.02.10
지난 1월 20일 Tax Working Group(이하 'TWG')의 보고서인 'A Tax System for New Zealand's Future'가 공개되었다… 더보기

Limited Company

댓글 0 | 조회 3,115 | 2010.04.13
이번 호에는 사업체의 형태 중 주식회사인 Limited Company (이하 '회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지난 호에 알아보았던 Sole Trader(개인… 더보기

국가간 자동 정보교환 (AEOI)

댓글 0 | 조회 3,107 | 2018.05.23
첫 국가간 자동 정보교환은 일정대로라면 오는 2018년 9월 30일 이전에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호에는 IRD자료를 근거로 국가간 자동 정보교환 (AEOI -… 더보기

소득세환급 사칭 이메일 주의

댓글 0 | 조회 3,092 | 2010.09.29
최근 6개월사이에 소득세 환급 (Tax Refund)과 관련한 사기성 이메일이 돌고 있는 것으로 언론에 보도 된 바 있다. 이번호에는 주의차원에서 이에 대해 간단… 더보기

현재 고용업무의 이해 - 3. IR 330

댓글 0 | 조회 3,086 | 2008.08.27
고용계약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용주는 반드시 직원으로부터 작성되고 서명된 'Tax Code Declaration' (이하 'IR330')을 받아 7년간 보관 하여… 더보기

학자금대출 (변경내용 외) - 1

댓글 0 | 조회 3,084 | 2019.10.23
이번호에는 학자금대출 관련하여 오는 2020년 4월1일자로 변경되는 내용과 학자금대출자의 국내 및 국외거주 날짜계산방법을 예를들면서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오는 2… 더보기

[374] DIY 세금신고

댓글 0 | 조회 3,079 | 2008.02.12
DIY 는 주로 주택수리, 리노베이션 등에 자주 듣는 Do It Yourself 의 약자로 '스스로 하는 것'을 뜻한다. 그럼, DIY 세금 신고는 어떨까? 사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