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좋고 정자 좋은 곳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물 좋고 정자 좋은 곳

0 개 989 조기조

대한민국의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출산율을 보면 안다. 의료기술의 발달과 주거 및 근로환경의 개선, 건강 생활에 대한 정보가 늘어 수명이 길어지긴 해도 노령인구가 늘어 날 뿐, 결국에 출산율이 늘지 않으면 인구는 줄어들 것이다. 생산 가능 인구가 줄고 노동력이 줄어들 것이라는 문제는 별로 걱정하지 않는다. 자동화와 무인화가 늘고 있고 적어도 수년 내에 어지간한 일을 대신해 줄 똑똑한 로봇이 주인님을 위해 일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77d977e6bc8e13a8c9e90282751be3ee_1629781580_0904.png
 

말은 제주도로 보내고 사람은 서울로 가야한다고 했었다. 교통이 좋아지니 빨대효과까지 드러난다. 서울 가서 진료하고 쇼핑하고 문화예술을 즐긴다. 서울의 대학이면 다 좋다는 식이다. 원격근무라는 이름으로 원격의 의료나 교육, 회의가 가능하면 산 좋고 물 맑고 공기 좋은 곳, 생활비가 적게 들고 인심 좋은 이웃들이 있는 곳이 더 살기 좋은 곳 아닐까? 몇 년 전, 뉴욕의 맨해튼에 갔었는데 왜 여기에 사는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천루 사이로 찬바람만 거세게 불고 주거비는 물론 주차비도 비싸고, 지하철은 우중충하고 무섭다는 느낌이어서 차라리 우버를 몇 번이나 타고 다녔다.


그러면 넓고 넓은 미국 땅에서 살기 좋은 곳이 어디일까? 여러 도시나 기관을 평가하고 많은 지표를 발표하는 대표적인 곳 중의 하나가 ‘US News and World Report’이다. 올해도 7월에 미국에서 살기 좋은 도시를 발표하였다. 언어와 문화, 생활이 전혀 다르지만 의식주 문제와 자녀교육, 일자리와 소득 문제는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을 느꼈다. 살기 좋은 곳을 평가하는 5대 척도는 ‘삶의질’(가중치, 26.0%), ‘내집마련’(23.7%), ‘일자리’(21.2%), ‘도시선호도’(16.3%), ‘인구순유입’(12.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도시선호도’ 지수만 사람들의 의향을 조사한 것이고 나머지는 실제 자료이다. 


‘삶의질’은 그 지역의 범죄율(30%), 건강관리의 품질 및 가용성(10%), 교육의 질(25%), 웰빙(15%), 통근 지수(20%)로 구성되어 있다. 범죄율은 인구 10만 명당 각종 범죄율이며 건강관리의 품질과 가용성은 그 도시의 병의원과 병상 수, 진료 가능한 장비 등에 대한 통계이다. 교육의 질은 지역의 학교 수와 그 학교들의 (우수)대학 진학률, 취업률 등을 계산한 것인데 타 지역과 비교를 가능하게 만든 자료를 이용한 것이다. 웰빙 지수는 지역 주민들이 사회, 금융, 거주 등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것이다. 통근 지수는 도보, 대중교통, 자동차 또는 자전거 등으로 통근하는데 소요되는 평균시간이다. 


‘내집마련’은 연평균 가계소득과 연간 주거비용으로 계산한다. 소유자와 세입자의 입장이 다르긴 하겠지만 소유자도 세입자처럼 주택의 규모와 가격을 고려하여 계산한다. ‘일자리(고용시장)’는 실업율과 평균급여로 계산한다. 지역에 좋은 일자리가 많으면 인구 유입의 유인이 된다.‘도시선호도’는 어느 지역에 살고 싶어 하는지를 설문조사한 것이다. 전 국민에게 고루 물어보고 선호도가 높은 순으로 순위를 매겨 점수화한 것이다. ‘인구순유입’지수는 실제로 인구가 늘어난 지역과 감소한 지역을 순위로 매겨 점수화 한 것인데 출생과 사망으로 인한 자료는 제외한 순 유출입을 계산한 것이다. 이렇게 얻은 자료는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비교가 가능하도록 표준화 하였다. 


우리나라의 각 (도시)지역을 중앙부처나 어느 기관에서 조사하여 공개하면 어떨까 싶다. 서울이라고 해서 좋은 점수를 받는다는 보장은 없을 것이다. 주택구입 가능성이나 삶의 질은 그다지 좋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면적으로 겨우 국토의 0.6%인 서울과 나머지 11%인 수도권에 인구의 50%, 경제력의 80%가 몰려 있다. 100대 기업의 84%, 1,000대 기업의 75%가 수도권에 있고 지식재산과 문화재산의 가치는 90%가 넘지 싶다. 말은 제주도로 사람은 서울로 보내야 한다는 말이 사실로 드러났다. 잘못되어도 아주 잘 못 된 것이다.



삶의 질과 내 집 마련, 일자리를 생각해 보자. 공단이 있고 학교가 좋은 대도시로 몰려든다. 그러나 내 집 마련은 어렵고 주거비용은 치솟는다. 엄청난 교육비를 들여야 취업을 안심할 수 있다. 이러니 삶의 질이 높아질 수가 없다. 썰물에 맨 땅이 드러나듯이 도시에서 먼 지역부터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깊은 산골일수록 빈집이 많고 언덕배기 논배미는 묵혀있다. 어린 아이 울음이 사라지고 60대가 젊은이인 농촌에서는 외국인이 없으면 농사를 지을 수가 없는 실정이다. 전기, 수도가 들어오고 휴대폰도 잘 터진다. 도로 포장이 잘 되어 병원까지도 그리 오래 걸리지 않지만 농촌은 비어가고 있다. 대안은 없을까? 스마트 팜을 하거나 고소득 특용작물을 유기농으로 하면 경쟁력이 있을 것이다. 값싼 땅에 산야초나 나무를 심어 힐링의 쉼터를 만드는 것도 큰돈이 들지 않는다. 국제화의 시대, 그 곳에서 빼어난 것이 바로 세계적인 것이다. 만들고 가꾸자. 물 좋고 정자 좋은 곳은 내가 만드는 것일지니!

사회적 거리두기의 득실(得失)

댓글 0 | 조회 1,227 | 2021.09.09
우리나라 방역(防疫) 분야 전문학회인 대한예방의학회(大韓豫防醫學會,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와 한국역학회(韓國疫學會… 더보기

우리 함께 Covid19에 대처해요.

댓글 0 | 조회 1,530 | 2021.09.08
Covid19 으로 어려움을 겪고 계십니까. 저희가 도와드리겠습니다.아시안패밀리서비스아시안패밀리서비스는 도박의 피해를 입은 아시안을 위한 뉴질랜드 유일의 기관입니… 더보기

목 통증과 이별하는 힐링요가 10분

댓글 0 | 조회 1,192 | 2021.09.08
오랜 시간 컴퓨터 업무를 보거나 스마트폰 시청으로 가장 먼저 뻐근해지기 쉬운 목과 어깨.. 상태가 악화되면 목디스크와 어깨통증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번… 더보기

“고령친화적 오클랜드시”를 위한 계획

댓글 0 | 조회 2,092 | 2021.09.06
안녕하세요, 록다운으로 인해 불편함이 많은 가운데서도 여러분과 가정에 건강과 평안이 함께 하기를 바랍니다.오클랜드시 (Auckland Council)에서는 고령화… 더보기

기후붕괴와 지구

댓글 0 | 조회 1,148 | 2021.09.03
1963년 6월 당시 48세였던 케네디(John F. Kennedy, 1917-1963) 미국 대통령(제35대, 1961-1963 재임)은 워싱턴 소재 아메리칸대… 더보기

매일 10분만 따라하면 허리 통증과 안녕, 기적의 골반스트레칭!

댓글 0 | 조회 1,398 | 2021.09.03
직접 겪어보지 않고는 모르는, 만성 허리통증, 골반통증, 그리고 무릎통증… 이런 불편함이 우리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더이상 그대로 방치하시면 아니되겠지요? 그… 더보기

2020 도쿄 올림픽을 보고....

댓글 0 | 조회 1,232 | 2021.09.02
제 32회 도쿄 올림픽(2020)은 유난히도 더운 한 여름에 1년을 미뤄, 2021년 7월 24~8월 9일에 열렸다. 온통 마스크로 치장한 올림픽, 관중 없는 올… 더보기

화두와 PARADOX (역설)

댓글 0 | 조회 1,587 | 2021.09.01
찝차를 타고 타조 뒤꽁무니를 계속 쫓아가다 보면 타조는 제 풀에 지쳐서땅바닥에 코를 박고 쓰러진다고 한다.한번도 뒤를 돌아보지 않고 앞으로만 내달리는데어쩌다 한놈… 더보기

이자율 인상 단행 그래도 단기 고정이 좋은 이유

댓글 0 | 조회 3,103 | 2021.08.31
많은 주택모게지 고객들과 독자들이 모게지 이자율 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배경에는 올해 초부터 시사되어 왔던 OCR(Official Cash Rate:정부… 더보기

[포토 스케치]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댓글 0 | 조회 1,276 | 2021.08.31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코로나전쟁 장기화

댓글 0 | 조회 2,493 | 2021.08.31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 4단계가 실시되면서 헬스장에서 샤워가 금지되고, 러닝머신은 시속 6km까지 제한되었다. 필자는 매주 3회 월ㆍ수… 더보기

신성일과 일체유심조

댓글 0 | 조회 2,003 | 2021.08.31
한국영화에서 알랭드롱에 버금가는 미남배우는 신성일을 꼽는 분들이 많다.우리세대 살던 분들치고 그의 영화 한편 보지않은 이는 드물어 보인다.맨발의 청춘 , 로맨스 … 더보기

가난의 꼬리표, 소외열대질환에서 아이들을 지킵니다

댓글 0 | 조회 1,295 | 2021.08.26
소외열대질환. 이름부터 생소한 이 병은 아열대 지역에서 흔히 발생하는 댕기열, 말라리아, 기생충 같은 감염성 질병이에요. 전 세계, 약 15억 명의 사람들이 이 … 더보기

한 눈에 들어오는 최신 이민뉴우스

댓글 0 | 조회 4,387 | 2021.08.25
그동안 전 세계의 부러움을 사던 “COVID-19(이하, 코로나) 제로 국가”에서 불명예 제대를 하고. 결국 매일 오후 1시에 발표되는 확진자 숫자에 모든 이목을… 더보기

달이 떴다고 전화를 주시다니요

댓글 0 | 조회 1,962 | 2021.08.25
■ 김 무인1차 백신 주사를 며칠 전에 맞았는데 이게 생각보다 후유증이 있다. 콧물에 몸살 증세도 수반되어 sick leave를 내고 집에서 쉬고 있다. 쉬면서 … 더보기

수능 D-day 90일

댓글 0 | 조회 953 | 2021.08.25
한국 수능 문화에 대한 글을 쓴 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거 같은데 올해 수능이 이제 90일 앞으로 다가왔다. 정말 세월이 쏜살같이 흐른다. 코로나19에 평범한 일… 더보기

새로운 구매가격 할당(PPA) 규칙

댓글 0 | 조회 2,363 | 2021.08.25
새로운 구매가격 할당(the purchase price allocation (PPA)) 규칙2021년 7월 1일자로, IRD는 상업용 부동산, 삼림지 혹은 비지니… 더보기

목 앞쪽이 붓거나 한 쪽이 튀어나왔나요?

댓글 0 | 조회 2,214 | 2021.08.25
특징적으로 30~40대 여성에게 자주 발생되는 대표적인 질병 중 하나가 갑상선 질환이다. 여성의 발병률이 남성보다 7~8배 정도 더 많다고 알려져 있다.목 앞부분… 더보기

하동 쌍계사

댓글 0 | 조회 915 | 2021.08.25
선명한 열정꿈으로 가는 길에 산재한 불확실성을 걷어내는 것은 열정이 아닐까. 적어도 로르에겐 그랬다. 아프리카 카메룬에서 나고 자란 로르는 10살 때 프랑스에 살… 더보기

순임이의 순정 연애

댓글 0 | 조회 1,095 | 2021.08.25
어느모로 보나 깜도 안되는 여자가 배우가 되겠다며 미용실을 제 집처럼 드나들던 친구가 있었다.생머리를 고집하던 내가 허파에 바람든 그 친구덕(?)에 처음으로 미용… 더보기

스윙이 바뀌는 걸 추구

댓글 0 | 조회 978 | 2021.08.25
다이아윙스 제품으로 어느정도 만족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클럽들 팔고 클럽은 문제가 없으니 레슨 받고 해결하라는 다른 브랜드들과 차별되게 최대한 고객과 소통하며 같이… 더보기

경보 제 4 단계에서의 생활 | Living at Level 4

댓글 0 | 조회 1,964 | 2021.08.25
감기나 독감, COVID-19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외출하지 말고 Healthline(무료 전화0800 358 5453)이나 담당 의사에게 전화해 검사 여부에 … 더보기

사회에 소외된 곳으로 나아가는 리커넥트

댓글 0 | 조회 1,003 | 2021.08.25
리커넥트는 어떤 단체인가요?리커넥트는 뉴질랜드의 젊은이들로 구성된 사회 단체이자 플랫폼 메이커 입니다. 여러 플랫폼들을 통해 우리 사회의 소외된 이들과 그들을 도… 더보기

겨울 숲

댓글 0 | 조회 805 | 2021.08.25
시인 복 효근새들도 떠나고그대가 한 그루헐벗은 나무로 흔들리고 있을 때나도 헐벗은 한 그루 나무로 그대 곁에 서겠다아무도 이 눈보라 멈출 수 없고나 또한 그대가 … 더보기

10년 후 지금의 세상이 사라진다고 해도

댓글 0 | 조회 1,521 | 2021.08.24
겨울비가 무겁게 쏟아지는 화요일 저녁에 닭볶음탕 하나로 우리 가족들과 친구들이 함께 모여 오붓한 저녁을 먹고 있었다. 세찬 비바람이 유리 창문을 때리건 말건 온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