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이야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강 이야기

0 개 875 조기조

무릇 문명은 강에서 시작됐다. 세계의 4대 문명 발상지도 강이다. 풍부한 물과 너르고 기름진 땅은 먹고 사는 문제를 쉽게 해결해 주기 때문일 것이다. 울산의 태화강은 가지산과 백운산 등지에서 흘러드는 50여개의 지류가 이룬 50Km가 안 되는 짧고 작은 강이다. 반구대, 사연댐을 거쳐 바로 태화루를 돌아 울산만에서 동해로 들어간다. 울산만은 울산항, 방어진, 장생포 등의 어항이 있다. 한때 고래잡이로 이름났던 곳이다. 공업화의 물결에 폐수로 죽은 강이 되었다 해서 백년하청(百年河淸)일거라 생각했는데 헤엄치다 마셔도 될 물이라 하니 요술방망이라도 있나보다. 치산치수에 요산요수란 말이 있다. 산도 물도 다 좋다. 강변에 십리대숲이 잘 가꾸어져 명소가 되었다는 말은 들었지만 국가정원인 줄은 몰랐다. 무심타가 ‘태화강 국가정원’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니 놀라 자빠질 뻔 했다. 주제별로 꾸민 공원이 수두룩하다. 대단하다. 잘 가꾸었다. 국가정원은 우리나라에 딱 2개뿐이다.


60b598bed4704650ecdb8e45d04c09d8_1633561921_5335.png
 

미시시피 강의 하구와 바다가 만나는 뉴올리안즈에는 밤이면 유람선이 미시시피 강을 따라 올라갔다 온다. 선실 너른 무대에서 춤추는 사람들을 두고 나는 갑판에서 흑인 영가를 닮은 째즈 음악을 흘려들으며 옛 생각에 잠긴다. 초등학교 때 책에 나온 링컨 대통령의 이야기다. 켄터키주의 어느 산골 통나무집에 살았고 가난했던 그는 10리 길을 마다않고 책을 빌려와 읽었다. 1800년대에 이 강에서 발목에 쇠고랑을 찬 흑인 노예들이 채찍을 맞으며 가족들과도 헤어져 물건처럼 팔려나갔고 이를 보고 큰 결심을 한 링컨이 대통령이 되어 결국에 노예를 해방시켰다는 그 장소에 와 있다는 감격이었다. 산골 소년인 나는 지리부도에서 태평양 건너 미국 땅의 미시시피 강을 찾아 미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이며, 상류의 미주리 강을 포함하면 길이 6,270㎞로 세계에서 네 번째로 긴 강이라는 것도 외고 있었다. 언젠가는 가 볼 것이라던 그 곳에 내가 밤바람을 맞으며 서 있다. 거의 200년쯤 전의 현장, 그 미시시피 강은 도도히 흘렀다. 누가 유람선을 생각했을까? 그런데 째즈에 몸을 흔들고만 있는 사람들은 그게 유람이고 힐링이 될는지.....


오래전에 파리의 센 강에서 유람선을 타고 야경을 즐겼다. 감격했다. 에펠탑을 멀찍이서 보고 퐁 네프 다리를 지나간 것 같다. 이튿날 낮에 본 그 강은 화려한 댄서의 생얼 같다. 환경예술가 크리스토와 잔클로드 부부는 1985년 퐁네프(Pont Neuf) 다리를 금빛의 사암색 천으로 감쌌다. 나는 아까워서 죽었다 깨어나도 못할 일을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했다. 센 강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 퐁네프는 이로서 명품중의 명품이 되었다. 그 뒤 영화‘퐁네프의 연인들’도 거들었고.....


가까이에, 진주 남강을 보면 진양호와 촉석루, 그 아래 의암바위에 의기 논개가 왜장과 빠져죽었다는 가슴 아픈 이야기뿐이었는데 지금은 유등축제로 세계적인 명물이 되었다. 형형색색의 휘황찬란한 만국등(萬國燈)을 유람선으로 투어 하는 세계 여행이 일품이다. 마침 세계 정원의 흐름을 바꾸어 놓은 자연주의 정원의 대가, 네덜란드 출신의 아우돌프가 아시아에서는 첫 작업으로 태화강의 국가정원을 선택했다는데 어떻게 격을 높여줄지 궁금하다. 볼거리, 즐길 거리, 먹거리, 일거리가 다 필요하다. 


좋은 공원과 관광지에 외국이나 타지의 관광객을 불러들여 수입이 느는 것도 좋다. 그러나 많은 시민들이 즐기고 건강해져서 행복하게 사는 것도 값진 일이다. 태화강 국가정원에 맨발로 걷는 길이 많으면 좋겠다. 주차장은 멀리 두고 전기차로 순환하면 좋겠다. 나루터나 다리 밑으로 출렁다리를 만들어 물에 발목을 담그고 찰방찰방 시원하게 걸으면 어떨까? 겨울에는 1미터쯤 높이면 신발이 젖지 않고 걸을 수 있다. 정작, 반구대의 암각화에도 있는 고래가 그 아래, 태화강에는 없다. 태화루 앞 너른 강에 유람선이나 보트를 띄우고 인공으로 만든 돌고래 떼가 부침하며 유영하는 모습은 어떨까? 유람선에서 만져볼 수 있도록 애교를 부리는 돌고래들은 명품이 될 것이다. 또 다른 기발한 즐길 거리는 없는 걸까? 



유니버설 스튜디오는 강이 아닌 땅에서도 돈을 걷는다. 스토리의 힘이다. 라스베이거스의 트레져 아일랜드(보물섬) 호텔 앞에는 어둠이 내리면 해적선이 출몰한다. 언덕위의 감시병은 해적선이 나타났다고 외치고 봉수대에 연기가 오른다. 곧 대포가 귀청을 울리며 불을 뿜는다. 작은 연못에서지만 해적선에서도 요란한 공격을 한다. 열기가 확확 닿는다. 마침내 격침되는 해적선엔 해적들이 그대로 수장된다. 통쾌해서 박수를 치고 떠나려는데 그 배와 선원들이 부상(浮上)한다. 그동안 어찌 숨을 참았을까? 침몰한 해적선은 어찌 복구되고? 태화강의 국가정원은 주거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곳이라 교통이 편리하다. 강, 바다, 산에서 가장 가까운 정원으로 바람직한 정원의 조건을 다 갖추었다. 등잔 밑이 어둡다고 몰랐다. 여유롭게 즐기려면 울산으로 이사를 갈까 싶다. 사정이 안 되면 울산에‘한 달 살기’라도 해 보련다. 


사과 중에 가장 맛있는 사과

댓글 0 | 조회 2,095 | 2021.10.28
몇 년 전에 돌아가신 형부는 여러 개의 사과가 있다면 그 중 가장 맛있는 사과부터 먹으라고 했다. 아깝다는 생각에 맛없는 것부터 먹다 보면 결국 맛있는 사과는 못… 더보기

나를 살게하는 동력은 ‘후원아동’ <세상의 끝> 저자 안성훈 후원자와의 만남

댓글 0 | 조회 839 | 2021.10.28
얼마 전 성황리에 마친 제5회 #월드비전 후원스토리공모전전국 각지에서 보낸 저마다의 사연과 월드비전 친선•홍보대사님들,셀럽 분들이 함께 참여하면서 많은 화제를 모… 더보기

어쩌다 딱 한 번의 특별 영주권

댓글 0 | 조회 4,353 | 2021.10.28
New 2021 Resident Visa지난 9월 30일, 뉴질랜드 정부는 2021년판 영주권 특별법을 발표하면서 세상을 놀라게 했습니다. 2021년 9월 29일… 더보기

외부셀프 세차

댓글 0 | 조회 1,506 | 2021.10.28
코로나 델타의 여파로 여파로 외출이 부담되는 상황이지만, 대면 접촉할 확률이 현저히 적고, 온전히 개인이나 가족끼리 간단히 할 수 있는 외부셀프 세차에 대해 조심… 더보기

그녀의 집념

댓글 0 | 조회 1,406 | 2021.10.27
지난 10월 21일, 뉴질랜드 해럴드지에 관심을 끄는 기사가 올라왔습니다. ‘Kelly Alexandra Roe’라는 여성에 대한 기사였는데요. 그녀는 기사가 나… 더보기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작은 힘

댓글 0 | 조회 1,285 | 2021.10.27
전례 없는 세상이 되었고 인간이 통제할 수 있는 힘이 사라지는 것 같은 두려움과 불안이 한 나라만이 아니라 전 세계를 흔들고 있습니다. 백신이 이 세상을 구해줄 … 더보기

해와 달, 당신의 안식처 낙산사

댓글 0 | 조회 899 | 2021.10.27
휴대전화에게 이별을 고하며....홈페이지를 통해서만 예약이 가능한 낙산사 템플스테이는 여정 하루 전 한 통의 문자를 발송한다. 코로나19 시대에 부합한 당부와 도… 더보기

일정부분 불균형은 어쩔 수 없다

댓글 0 | 조회 1,702 | 2021.10.27
앞서 말씀드렸듯이,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어느 정도 오행상의 불균형을 타고나게 되므로 일정부분의 불균형은 어쩔 수 없습니다. 완전한 건강은 없다는 것이지요.그러니… 더보기

남편 나비

댓글 0 | 조회 1,378 | 2021.10.27
이민 초기에 1박 2일 예정으로 로토루아 여행을 갔었다. 숙소가 인근의 농장 모텔이었다.친구의 가족여행에 초대를 받아 동행을 했던 참이라 나는 혼자서 방을 써야 … 더보기

공중

댓글 0 | 조회 845 | 2021.10.27
시인 송 재학허공이라 생각했다 색이 없다고 믿었다 빈 곳에서 온 곤줄박이한 마리 창가에 와서 앉았다 할딱거리고 있다 비 젖어 바들바들떨고 있다 내 손바닥에 올려놓… 더보기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의무 접종 2

댓글 0 | 조회 1,761 | 2021.10.27
뉴질랜드 정부가 전체 인구의 90%를 백신 접종시킬 계획이라고 발표한 요즘 고용주들이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백신 의무화와 관련된 권리와 책임에 대해 명… 더보기

그대 뒷모습

댓글 0 | 조회 947 | 2021.10.27
■ 반 숙자서녘 하늘에 별이 돋는다. 마음이 잔잔해야 보이는 초저녁별, 실눈을 뜨고 별 속에 아는 얼굴이 있나 찾아본다.지난겨울에는 눈이 자주 많이 내렸다. 눈이… 더보기

출렁거리는 팔을 날씬하게 만드는 상체운동

댓글 0 | 조회 1,084 | 2021.10.27
출렁이는 팔뚝(안녕살) 때문에 고민이신가요? 아니면 특별히 많이 먹은 것도 없는데 탄력없이 축 쳐진 아랫배가 늘 신경쓰이신다구요?온전히 체중감량이 목적이라면 먹는… 더보기

위드 코로나와 코로나 치료제

댓글 0 | 조회 2,314 | 2021.10.23
방역 당국이 단계적 일상 회복(With Corona)이 시작되는 시점을 구체적으로 처음 언급했다. 즉,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10월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 더보기

심혈관질환

댓글 0 | 조회 1,554 | 2021.10.18
“17 MILLION CVD DEATH PER YEAR, 80% PREVENTABLE” (매년 전 세계에서 심혈관계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더보기

[포토 스케치] 핑키, 핑키 봄날

댓글 0 | 조회 1,202 | 2021.10.18
겨울끝 갇혀있던 시간이 분홍빛에 홀리기라도 하였나? "2미터 거리유지"를 외치지만 눈부신 봄날 오후의 황홀함에 잠시라도 잊고싶은 심정은 나도 마찬가지 마음 한구석… 더보기

마음을 텅 비운다는 것은?

댓글 0 | 조회 1,982 | 2021.10.14
배고프면 밥먹고 졸리면 자게!기래끽반곤래면 (飢來喫飯困來眠)조선 중기의 선사 指月(지월)은 선풍(仙風)을 밋밋하고 평범한 일상의 모습으로 그리면서 그의 담시 마지… 더보기

델타 변이와 락다운에 대한 설문조사가 중요한 이유

댓글 0 | 조회 2,524 | 2021.10.13
갑작스럽게 델타 변이바이러스가 뉴질랜드에 착륙하고 지역 감염자가 생기면서 락다운이 되었고, 그 기간이 점점 길어지면서 우리의 삶을 또 다시 흔들고 있습니다. 많은… 더보기

이런 신발

댓글 0 | 조회 1,899 | 2021.10.13
시인: 주영국의사당을 나서는 대통령을 향해신발이 날아갔다 남루한 생의바닥을 핥던 낡은 구두였으나그는 지독스런 보수주의자였다고향의 토굴에서 미군 중사에게사로잡힌 후… 더보기

읽고 쓰며 자라나는 아프리카 아이들! 국제 문해의 날

댓글 0 | 조회 843 | 2021.10.13
9월 8일,무슨 날일까요?절기상 백로인 9월 8일은문맹 퇴치의 중요성을 알리는“국제 문해의 날”입니다.만약, 글을 읽지 못한다면어떨까요?길을 찾을 때 표지판을 볼… 더보기

내 손가락 끝에 모든 것이

댓글 0 | 조회 1,254 | 2021.10.13
언젠가 한 Rotary Club 모임에서 Kiwi참석자와 교민 회원들 간에 젓가락으로 콩을 집어 옆 그릇으로 옮겨 담는 내기를 한 적이 있었다. 웃자고 했었으나 … 더보기

그대, 나의 뜨거운 국물

댓글 0 | 조회 1,177 | 2021.10.13
나이를 한 살, 두 살 더 먹어갈수록 건강에 대한 염려가 조금씩 커지고 어떻게 살아야 더 오래, 더 건강한 삶을 누릴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커져만 갑니다. 요즘… 더보기

타우포의 아름다운 폭포 Huka Falls 와 Aratiatia 댐 방출

댓글 0 | 조회 1,502 | 2021.10.13
뉴질랜드에서 가장 큰 타우포 호수는 그 곳에서 유일하게 흘러나가는 물줄기인, 뉴질랜드에서 가장 길다는 와이카토강을 이루고 있다.그 강 초입부에 있는 후카폭포는 폭… 더보기

코비드도 내 꿈을 막지 못한다

댓글 0 | 조회 1,112 | 2021.10.13
요즘 내 행복은 말로 다 표현하기 힘들다. 코비드로 인하여 앞으로 세상이 어떻게 변할지 잘 모르겠지만, 내 안의 행복을 빼앗아 갈 능력은 없다.세상이 불공평하다고… 더보기

빨래는 얼면서 마른다

댓글 0 | 조회 946 | 2021.10.13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어린 시절, 추웠던 겨울에어머니는 마당에 빨래를 널었습니다물이 뚝뚝 떨어지는 바지들은가랑이를 벌린 채며칠 동안 딱딱하게 얼어 있었습니다저게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