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7] Starry, Starry Night(별이 빛나는 밤에)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297] Starry, Starry Night(별이 빛나는 밤에)

0 개 3,915 코리아타임즈
얼마 전 한국에서는 ‘소의 화가',‘한국 근대 미술의 출발점',‘은지화의 천재 화가'라고 불리웠던 화가 이중섭의 알려지지 않았던 마지막 유작이 발견되었다는 보도가 신문을 장식했다. 1955년 정신 이상 증세로 성가병원과 청량리 뇌병원 무료 환자실을 전전하다가 1956년 9월 6일 적십자 병원에서 무연고자로 사망할 때까지 그의 현실 생활은 끊임없는 패배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그의 전기의 집필을 마무리한 후 시인 고은씨는 이중섭을 다음과 같이 평했다. “그는 한 번도 승리한 적이 없는 위대한 승리자임을 나는 알았다.”

  화가 이중섭 만큼, 이중섭보다 더 비극적이고 고통스럽게 현실의 삶을 살다가 정신 질환으로 삶을 마감했던 천재화가 Vincent van Gogh! 밴쿠버에 살면서‘빈세 트 반 고흐! 그림의 상징적 언어와 표현'이라는 주제로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에서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중인 민길호씨는 Gogh를“평범한 인간으로 태어나 최선을 다해 산 그는 현실에서는 불행한 패배자이나 인간으로서는 숭고한 승리자다.”라고 평하고 있다.  

  A genius is too much superior to those about him to be quickly understood;
(천재는 그의 주변 사람들보다 너무나 뛰어나기 때문에 빨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and his books or his pictures or his music is usually too superior to be quickly appreciated.
(또한 천재의 책이나 그림이나 음악은 보통 너무나 뛰어나서 빨리 진가가 인정되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 같이 평범한 사람들은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야 그들의 위대함에 감사하게 되는지도 모른다.
‘American Pie'의 가수 Don Mclean의 노랫말 처럼.
  
  Vincent(빈센트) Starry, starry night(별들이 빛나는 밤) Paint your pallette blue and gray. (당신의 팔레 트에 청색과 회색 물감을 풀어 놓으세요.)  Look out on a summer's day with eyes that know the darkness in my soul. (내 영혼의 어두움을 아는 눈으로 여름날 을 바라보세요.) Shadows on the hill, sketch the trees and daffodils. (언덕 위에 드리워진 그림자와, 나무와 수선화를 스케치하세요.) Catch the breeze and winter chills, in colors on the snowy linen land. (산들 바람과 겨울의 싸늘함까지도 새하얀 린넨의 대지위에 -린넨처럼 새하얀 캔바스 위에- 그려넣으세요)  Now I understand what you tried to say to me.(이제야 나는 당신이 애써 내게 말하려 했던 것을 알겠어요.) And how you suffered for your sanity. (그리고 당신이 온전한 정신으로 얼마나 고통 받았는지도.)  And how you tried to set them free, they would not listen, they did not know how, (그리고 사람들은 들으려 하지도 않고 어찌할지도 알지 못했는데, 당신이 그들을 자유롭게 해주려고 얼마나 노력했는지도,) perhaps they listen now. (아마 이제는 사람들도 귀를 기울이겠지요.)

  그러면 그 무엇이 두 천재 화가 이중섭과 Gogh를 위대하고 숭고한 최후의 승리자로 만들었을까? 그들의 삶과 예술을 꿰뚫고 있는 위대한 힘의 원천은 무엇일까?
바로‘passion(열정)'이다. 꽤 많은 영어 단어들이 두세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의미를 한 단어 안에 갖고 있는 경우가 있다.  Mel Gibson의 영화‘The Passion of Christ'에서 대문자로 표기되는‘The Passion'은(그리스도의)‘수난'을 가리킨다. 어쩌면 그리스도의 수난 (The Passion)도 인류에 대한 열정(passion)적 사랑으로 인해 비롯된 것인지도 모른다. 온갖 수난의 상징 십자가 위에서의 마지막 장면은 - Jesus said, “It is finished!”And bowing His head.  He gave up His sprit.(예수께서 가라사대 다 이루었다 하시고 머리를 숙이시고 영혼이 돌아 가시니라.) - 인간에 대한 넘치는 열정적 사랑의 완성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의 열정(passion)을 그림에 쏟아 부었던 Gogh는, 자신의 그림들을 오늘날 우리가 가장 사랑하는 예술 작품들 중 하나로 완성시켰다.  
  남섬 Christ Church 에이번 강가에서 바라보았던, 대성당 위에 펼쳐있던 china blue의 밤하늘 보다, 화집에서 보는 Gogh의 그림이 더 아름다울 수 있는 것은 온몸 으로  밀고 갔던 그의 삶의 고통이, 인생과 예술에 대한 열정이 두꺼운 물감 자욱 하나 하나에서 묻어 나오기 때문 일지도 모른다.

[328] CBT TOEFLㆍiBT TOEFL

댓글 0 | 조회 2,800 | 2006.03.14
TOEFL은 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의 약자로서 외국어로 영어를 배우는 학생들의 영어 실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제도이… 더보기

[327] From the Cradle to the Grave(요람에서 무덤까지)

댓글 0 | 조회 2,784 | 2006.02.27
어림잡아 70살 전후로 보이는 한 남자 노인이 사람들 틈을 비집고 다니면서, 사람들이 읽은 후 지하철 선반 위에 올려놓은 신문들을 재빠른 손놀림으로 걷어서는 큰 … 더보기

[326] The Most Beautiful Nickname in the Worl…

댓글 0 | 조회 2,695 | 2006.02.14
중.고등학교 시절에 한 번쯤은 학교 선생님의 nickname(별명)을 불러 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때로는 듣는 사람을 유쾌하게 만들기도 하고 때로는 기분 … 더보기

[325] Who Knows Korea and New Zealand?

댓글 0 | 조회 2,694 | 2006.01.31
It is very difficult for people to understand each other if they do not share the same exp… 더보기

[324] Dos and Don’ts in Writing a Good Essay(…

댓글 0 | 조회 2,841 | 2006.01.16
지난 달에는 Dos and Don’ts in Writing a Good Essay 중에서 Dos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이번에Don’ts 즉 에세이를 쓸 때 해서는… 더보기

[323] Cinderella Complex(신데렐라 콤플렉스)

댓글 0 | 조회 2,895 | 2005.12.23
A fairy tale, as distinct from an animal story, is a serious tale with a human hero.(동화는 동… 더보기

[322] Dos and Don’ts in Writing a Good Essay(…

댓글 0 | 조회 2,759 | 2005.12.12
이번 호와 다음호에서는 좋은 에세이 쓰기를 위한 마지막 점검을 해보겠다.Dos and Don’ts, 즉 에세이를 작성할 때 반드시 해야 할 일들과 해서는 안될 일… 더보기

[321] Plein Soleil (태양은 가득히)

댓글 0 | 조회 3,141 | 2005.11.21
자신의 현 위치보다 보다 더 높은 사회계층으로 도약하고자 하는 욕망을 사회학적 용어로 hypergamy라고 한다.태어날 때부터 은수저를 입에 물고 태어난 재벌 2… 더보기

[320] Practice makes perfect

댓글 0 | 조회 2,497 | 2005.11.11
지금까지 여러 번에 걸쳐서 좋은 에세이를 쓰는 기술적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이 번에는 좋은 에세이를 쓰기 위해서 그 외에 덧붙여서 반드시 준비해야 할 사항들… 더보기

[319] Blowin’ in the Wind (바람에 실려)

댓글 0 | 조회 3,093 | 2005.10.25
Folk Rock Music의 대부라고 불리 우는Bob Dylan이 자서전을 냈다.New Zealand의 비교적 큰 책방들에서는 ‘CHRONICLES(연대기)’라… 더보기

[318] Planning the essay(Outlining)(Ⅱ)

댓글 0 | 조회 2,865 | 2005.10.11
지난 번의 Planning the Essay (Outlining) I 에 이어서 이번에는 주어진 Topic을 가지고 Plan을 짜 나가는 방법을 실제로 연습해보겠… 더보기

[317] The House of the Rising Sun in New Orle…

댓글 0 | 조회 2,693 | 2005.09.28
허리케인 카트리나에 의해 Jazz의 본 고장 New Orleans는 이제, 21세기 유일한 초 강대국이며 자유와 평등의 땅 이라고 자부했던 미국의 치부라고까지 여… 더보기

[316] Planning the essay(Outlining)(I)

댓글 0 | 조회 2,869 | 2005.09.28
이번에는 Essay를 직접 쓰기 직전에 해야 할 Plan 짜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주어진 Topic 을 갖고 Essay를 시작할 때 제일 먼저 해야 할 … 더보기

[315] 성공의 조건

댓글 0 | 조회 2,867 | 2005.09.28
지난 8월 15일 서울 소망교회에서 매주 만나뵙 던 목사님을 몇 년 만에 오클랜드에서 만나뵈니 너무 기뻤다. 그 날도 곽목사님은 초청 집회에 서 명쾌한 설교를 해… 더보기

[314] Our Attitude toward Competition

댓글 0 | 조회 2,901 | 2005.09.28
Our attitude toward conflict is ambivalent.(갈등에 대한 우리의 태도는 양면 가치적이다.)If we do find a total… 더보기

[313] Formal Writing의 Body Paragraphs(Ⅱ,Ⅲ)와 C…

댓글 0 | 조회 3,349 | 2005.09.28
이번에는 지난호에 연결해서 나머지 Body Para- graphs와 Conclusion을 완성해 보기로 하자. 지난번 첫 번째 Body Paragraph은 Bra… 더보기

[312] Formal Writing의 Body Paragraphs(I)

댓글 0 | 조회 3,187 | 2005.09.28
지난번 글에서는 Formal Writing의 Introductory Paragraph(도입부 문단)의 구성과 그 예(ex- amples)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 더보기

[311] 2만원짜리 개빵과‘Born Free’

댓글 0 | 조회 3,057 | 2005.09.28
지난 5월 22일 한국의 한 TV방송국 프로그램 ‘대한민국 1%'에서는 개빵 전용 베이커리가 소개되었다. 이 개빵집에서는 초콜릿, 유지방, 설탕 등 개의 건강에 … 더보기

[310] Formal Writing의 Introductory Paragraph

댓글 0 | 조회 3,106 | 2005.09.28
지난 번에는 Formal Writing의 일반적 형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시 한 번 정리해 보면 Introduction part(Introductory Para… 더보기

[309] Something Wrong과 Something Different

댓글 0 | 조회 3,232 | 2005.09.28
People living in varied cultures handle many things differently. (서로 다른 문화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은 … 더보기

[308] Creative Writing과 Formal Writing의 차이점

댓글 0 | 조회 4,159 | 2005.09.28
뉴질랜드의 각급 학교에서 영어시간에 배우는 writing의 종류는 크게 Creative Writing(창의적 글쓰기)과 Formal Writing(형식을 갖춘 글… 더보기

[307] Pope John Paul II와 찢겨진 태극기

댓글 0 | 조회 3,324 | 2005.09.28
There are 1.1 billion Catholics in the world. (전세계에서는 11억명의 가톨릭 신자들이 있다.) Of that total, n… 더보기

[306] Warming up for Writing a Good Essay

댓글 0 | 조회 3,404 | 2005.09.28
십여년 전부터 한국에서는 대학 입시 평가의 한 수단으로‘논술 시험'을 도입했다.‘논술'과목은 명문대 입시를 위한 마지막 관문으로 자리잡게 되었고, 많은 학생들이 … 더보기

[305] SAM SUNG과 SONY의 영웅시대

댓글 0 | 조회 3,201 | 2005.09.28
다음 영문은 필자가 10여년 전에 금성출판사에서 NEW ACE 수능 영어 책을 펴내면서, 미국 원서에서 인용해 사용했던 영문 독해 지문 중의 하나이다.이 글을 읽… 더보기

[304] Finding the Pattern of Organization Ⅱ (…

댓글 0 | 조회 4,015 | 2005.09.28
지난 번에는 the Pattern of Organization(글의 전개 방식) 중에서 Listing(열거형)과 Ordering(순서형)을 살펴보았다. Listi…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