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에는 없지만, 영어에는 있는 것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역사에는 없지만, 영어에는 있는 것

0 개 4,402 NZ코리아포스트
흔히 ‘역사에는 가정법이 없다’고 한다. “만일 조선이 일본 식민지가 되지 않았다면, 만일 6.25 전쟁이 없었다면, 만일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조금만 낮았더라면”이라는 가정법적인 상황은 분명 역사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과거 역사의 뼈아픈 일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 미래에 대한 혜안을 갖기 위해서, 역사를 공부한다.

그러나 역사에는 없지만, 영어에는 있는 것이, 바로 가정법이다. conjunction if (접속사 if)가 이끄는 clause (절) 중에서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 즉, conditional clause (조건절)의 내용이 ‘불확실한 현재나 사실일 수 있는 실현되지 않은 미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사실이 아니거나 있음직 하지 않은 일을 말할 (talking about something unreal or unlikely)’ 때 쓰는 것이 바로 subjunctive mood (가정법)이다. 바로 이와 같은 ‘현재나 과거의 사실과 다른’ 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영어에 발달된 구문이 subjunctive (가정법)인데, verb (동사)의 tense (시제)를 갖고 표시해준다.

‘현재의 사실과 다르거나 현재나 미래의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일에 대한 가정이나 상상을 나타낼’ 때는, ‘If + S1 + V (past simple) ~, S2 + would + V (base form)…’ 형식의 past subjunctive (가정법 과거)로 쓴다. 어떤 문법 학자들은 ‘가정법 과거’를 ‘the 2nd conditional clause (제 2 조건절)’라고도 하고, main clause (주절)에 ‘would’가 들어가는 형식이므로 ‘the would - contition’이라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서 내가 파티를 여는데 Janson이 너무 먼 곳에 살고 있어서 초대할 수 없어 아쉬울 때, “만일 그가 여기에 산다면, 나는 그를 파티에 초대할 텐데.”라고 할 것이다. 이 내용은 ‘현재의 사실과 반대되는 내용’이므로 다음과 같이 past subjunctive (가정법 과거)로 쓴다. “If he lived here, I would invite him to the party.”

한 가지 예를 더 들어보면, 아주 멋진 차를 보았는데 너무 값이 비싸서 살 수 없을 경우, “만일 내가 부자라면, 그 차를 살텐데.”라고 할 것이다. 이 내용 또한 ‘현재의 사실과 반대되는 내용’이므로 다음과 같이 past subjunctive (가정법 과거)로 쓴다. “If I were rich, I would buy the car.” 일반적으로는 ‘I’ 뒤에는 ‘were’가 아니라 ‘was’를 쓰지만, past subjunctive (가정법 과거)의 if-clause (if 절)에는 person (인칭)에 상관없이 ‘was’가 아니라 ‘were’를 쓰는 것이 원칙이며, spoken English (구어)에서는 ‘was’를 쓰기도 한다.

과거의 사실과 반대되거나 과거에 실현하지 못한 일에 대한 가정이나 상상을 나타낼 때는 ‘If + S1 + had + past participle (과거분사) ~, S2 + would + have + past participle (과거분사)…’ 형식의 past perfect subjunctive (가정법 과거완료)로 쓴다. 어떤 문법 학자들은 ‘가정법 과거 완료’를 ‘the 3rd conditional clause (제 3 조건절)’라고 하고, main clause (주절)에 ‘would have + past participle (과거분사)’ 형식으로 쓰이므로 ‘the would - have - condition’이라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서 주변의 어떤 사람이 젊은 날 열심히 일하지 않고 실패한 자기 인생을 한탄하고 있다면, “만일 그가 열심히 일했다면, 그는 성공할 수 있었을 텐데.”라고 할 것이다. 이 내용은 ‘과거의 사실과 반대되는 내용’이므로 다음과 같이 past perfect subjunctive (가정법 과거완료)로 쓴다. “If he had worked hard, he could have succeeded.” 보통 main clause에 would를 쓰지만, 여기서처럼 ‘가능’이나 추측의 의미를 잘 나타내기 위해 ‘could’나 ‘might’를 쓰기도 한다.

또 한가지 예를 더 들어보자. “영어 공부도 인생의 모든 일과 마찬가지로 기초 과정이 제일 중요하니, 기본이 되는 문법과 어휘 공부부터 차근차근 해야 한다.”라고 ‘김재석 선생’이 충고 했는데도, “문법 공부 필요 없대요. 빨리 빨리 대충 읽고 답하는 요령만 터득하면 돼요.”라고 강한 ‘개성’을 발휘하며 공부 하다가, 대입이나 대학교에 가서 늘지 않는 영어 실력 때문에 울상인 학생에게, 현명한 부모님이나 선배는, “만일 네가 그 때 그의 (김재석 선생님의) 충고를 받아들였다면, 너는 지금 행복할텐데.”라고 할 것이다. 이 내용은 ‘if clause (if 절)’의 내용은 ‘과거 사실과 반대’ 되는 내용을, ‘main clause (주절)’의 내용은 ‘현재 사실과 반대’ 되는 내용을 이야기 하고 있으므로, ‘if clause (if 절)’는 ‘가정법 과거 완료’로, ‘main clause (주절)’는 ‘가정법 과거’로 써야 한다. 즉, 다음과 같이 ‘mixed tense subjunctive (혼합 시제 가정법)’로 써야 한다. “If you had taken his advice then, you might be happy now.”

이전에 한국에서 출판된 대부분의 영문법 책에서는 ‘가정법 미래’로 따로 분류해 놓았지만, ‘미래에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일에 대한 가정’은 오늘 날에도 past subjunctive (가정법 과거) 안에 포함시킨다. 보통 실현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if clause (if 절)에 ‘were to’를 쓰고, 이루어질 가능성이 덜 희박할 때는 ‘should’를 쓰기도 한다. “If I were to be born again, I would be a woman.” “If I should fail, I would try again.”

** 이 내용은 이 칼럼의 필자 김재석 (James Kim)의 책 ‘EG Alive (지학사)’에서 간추린 내용입니다. 이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김재석’과 ‘㈜지학사’에 있습니다. 문의 사항은 ‘서초영어 (448-2700)’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57] 적게 먹자 (小食平安) : 살 빼는 방법

댓글 0 | 조회 3,117 | 2007.05.23
생활에 있어서 음식은 중요하다. 살기 위해 먹는다는 기본적 질서가 먹기 위해 산다고 할 만큼 그 욕구는 강열하다. 먹는다는 것처럼 즐거운 것은 없다. 맛있는 음식… 더보기

[356] 깨달음의 빛, 부처님오신날

댓글 0 | 조회 2,584 | 2007.05.08
하얀 동백꽃이 앞마당에 소담하게 무리 지어 피었습니다. 한국엔 목련과 라일락의 향기가 뜰에 가득하고 조금 있으면 자주 빛 모란이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내고 신록이 … 더보기

[355] 비젼 3, 자신의 한계를 넓혀 가야 한다.

댓글 0 | 조회 2,747 | 2007.04.24
종종 업무를 위해 사무실이나 현장이나마켓에 들릴 때가 많다. 그럴 때 종사하는 사원들의 표정과 모습은 그 곳의 거울이 될 수 있고 자신의 이미지를 나타내기도 한다… 더보기

[354] 다운쉬프트(Downshift)

댓글 0 | 조회 2,934 | 2007.04.12
“풍족하지 않더라도 평안히 살고자 하는 욕구” 웰빙(Wellbeing)이란 말은 친숙한데“다운쉬프트”라는 용어는 생소하다. 웰빙은 건강과 친 환경을 중요하게 생각… 더보기

[353] 역할과 보람

댓글 0 | 조회 2,708 | 2007.03.27
숲속에 뱀 한 마리가 살고 있었다. 언제나 머리가 앞서고 꼬리가 뒤따르는 것이 불만이었던 꼬리가 머리에게 말했다.“머리야, 오늘은 내가 앞서 갈 테니 선두를 양보… 더보기

[352] 이 시대의 영웅

댓글 0 | 조회 2,869 | 2007.03.12
인간이 어떤시대 어떤사회에 태어나느냐에 따라서 그 사람의 사상과 업적은 달라진다. 요즘처럼 나라가 어수선하고 혼란할 때 우리들이 의지하고 우러러 볼 수 있는 한국… 더보기

[351] 지 도 자

댓글 0 | 조회 2,647 | 2007.02.26
기성자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싸움닭을 훈련시키는 명인이었다. 하루는 임금이 닭 한 마리를 주면서 좋은 투계(鬪鷄)를 만들어 보라고 했다. 열흘이 지났다. 임금… 더보기

[350] 5-3=2 인 까닭은?

댓글 0 | 조회 2,682 | 2007.02.13
이 세상에 홀로 존재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모두가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모든 존재는 독립된 것이 아니라 서로 관계하면서 존재하고 존재하면서 관계 속에… 더보기

[349] 나비 효과(butterfly)

댓글 0 | 조회 2,732 | 2007.02.01
자연 과학 분야의 최근 연구 결과 중에 “카오스(chaos)이론”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말 그 대로 “혼돈”이라는 의미인데 단순히 혼돈이란 뜻을 넘어서 “무… 더보기

[348] 새해 행복의 시간

댓글 0 | 조회 2,630 | 2007.02.01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가 되면 마음을 새롭게하고 좋은 일을 할려고 다짐합니다. 하루를 잘 보내려는 사람은 새벽에 준비하고, 한 달을 잘 보내려는 사람은 첫날에 … 더보기

어느 학생의 뉴질랜드 유학

댓글 0 | 조회 4,383 | 2011.12.24
자녀들을 영어권 국가로 유학 보내는 부모님들은 영어권 국가에 가기만 하면 저절로 최고의 영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하기가 쉽다. 물론 어려서 영어권 국가에… 더보기

Which Color?

댓글 0 | 조회 3,363 | 2011.12.14
뉴질랜드에 여름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긴 겨울이 지나고 수선화, 튜울립이 피고 지고, 진분홍 카페트처럼 정원 한 편을 뒤 덮은 핑크 아이스라는 이름의 선인장 … 더보기

행복의 조건

댓글 0 | 조회 3,240 | 2011.11.22
인간은 행복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우리는 결국은 행복해 지기 위해서 공부를 하고, 일을 하고, 사람들을 만나고, 여행을 떠나고, 때로는 남들과 경쟁도 한다. 다만… 더보기

Do your best and Hakuna Matata(no worries)

댓글 0 | 조회 3,962 | 2011.11.08
학생들이 뉴질랜드에 와서 필자의 학원으로 공부하러 오면, 그 어떤 것보다도 먼저 가르치는 것이 뉴질랜드에서 지켜야 할 예법들이다. ‘Thank you(… 더보기

현재 역사에는 없지만, 영어에는 있는 것

댓글 0 | 조회 4,403 | 2011.10.27
흔히 ‘역사에는 가정법이 없다’고 한다. “만일 조선이 일본 식민지가 되지 않았다면, 만일 6.25 전쟁이 없었다면, 만일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조금만 낮았더라면”…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받은 축복

댓글 0 | 조회 6,051 | 2011.10.13
외국에 나와 산다는 것이 생각했던 것 보다 쉽지 않다는 것은 모국을 떠나 외국 생활을 몇 년 이상 해본 사람들이라면 공통적으로 느끼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더구나 … 더보기

Pride and self-esteem(자신감과 자존감)

댓글 0 | 조회 3,633 | 2011.09.27
‘show off(과시하다), boast(뽐내다)’라는 말들은 별로 좋은 소리로 들리지는 않는다. 여기서 더 나가 극단적 우월 주의를 부르짖는 chauvinism… 더보기

뉴욕과 서울의 우울

댓글 0 | 조회 3,674 | 2011.09.13
모든 것이 빠르다. 안철수 교수는 역시 디지털 시대의 지도자이다. 우리가 기존에 보아왔던 정치인들과는 확연히 다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지지를 보내는 것이다.… 더보기

‘A DEE DAH DAY’ by John Ortberg

댓글 0 | 조회 3,699 | 2011.08.24
키위 할머니를 통해 만나게 된 책인 ‘The Life You’ve Always Wanted’의 작가는 John Ortberg이다. 저자의 글 속에는 스트레스를 받… 더보기

틀리기 쉬운 조동사의 용법들

댓글 0 | 조회 4,874 | 2011.08.10
영어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조동사 (Modal Auxiliary)들이 있다. 한국 사람들이 영어를 공부할 때 꼭 필요한 영어의 문법 중에서 가장 쉽게 보이는 부분… 더보기

정보, 지식, 그리고 지혜 (Information, Knowledge, and W…

댓글 0 | 조회 3,215 | 2011.07.27
People can get information on their computers from all the world without leaving their hom… 더보기

Speech와 Essay 쓰기의 차이점

댓글 0 | 조회 5,281 | 2011.07.13
최근 한국 영어 교육에서 영어로 말하기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서 영어권 국가에 단기간 공부를 하러 온 학생들도 영어로 ‘speech’를 잘 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 더보기

진짜 시험의 조건

댓글 0 | 조회 3,646 | 2011.06.29
또 시험이다. 작년 말 ‘지학사’에서 ‘English Grammar Alive’책을 출간한 후, 한국의 ‘메가스터디 출판사 메가 북스’와 독해, 어휘, 쓰기 영어… 더보기

한국 중2 이하 학생들에게 적용되는 대입 영어시험의 변화

댓글 0 | 조회 4,388 | 2011.06.16
한국의 영어 교육의 장기적인 목표는 무엇일까? 가끔 한 번씩 생각해보곤 한다. 한국의 교육제도나 시험제도가 바뀔 때 마다, 마치 한국교육의 최고 목표가 사교육을 … 더보기

5월에 tense(시제)를 가르치며

댓글 0 | 조회 3,901 | 2011.05.25
‘When an action takes place(어떤 동작이 언제 일어나는지)’나 ‘when a state exists(어떤 상태가 언제 존재하는지)’를 명확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