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 머리카락이 짧게 잘려지게 시켰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나는 내 머리카락이 짧게 잘려지게 시켰다

2 4,554 NZ코리아포스트
우리말은 감성에 관련된 어휘나 어법은 많이 발달되어 있지만, 논리성은 발달되어 있지 않다. 이발하는 것을 ‘머리카락을 잘랐다.’고 하지 않고, ‘머리를 잘랐다.’고 한다. 영어로 그대로 직역을 해 놓으면 미국인들이나 뉴질랜드인들이 기겁을 하거나, 한국인들은 수시로 ‘머리를 자르고’도 살아남는 불멸의 유전자를 갖고 있는 민족이라는 말인가 하며 고개를 갸우뚱할 일이다. 또한 ‘중이 제 머리 못 깎는다.’는 말이 있지만, ‘나 머리 잘랐다.’고 한다. 어찌 내가 내 머리를, 내 머리카락을 자른단 말인가?

영어를 배운지 얼마 안 되는 학생들에게 ‘나는 머리를 짧게 잘랐다.’라는 말을 영작해 보라고 하면, ‘I cut my hair short.’ 이라고 하거나 심지어는 직역해서 ‘I cut my head short.’ 이라고 한다. ‘I cut my head short.’은 비논리적인 우리말 어법에서 전혀 벗어나지 못한 단계이지만, ‘I cut my hair short.’ 이라고 써놓고 왜 틀렸냐고 묻는 학생들은 내가 애초에 의도했던 passive voice(수동태) 설명을 위한 동기유발의 덫에 걸린 것이다.

우리말에는 원래는 passive voice(수동태)가 발달되어 있지 않다. 영어에서 ‘the subject performs the action(주어가 어떤 일을 행하는)’에 중점을 둔 the form of a verb(동사의 형태)를 active voice(능동태)라 하고, ‘the subject receives the action(주어가 어떤 일을 당하거나 받는)’에 중점을 둔 the form of a verb(동사의 형태)를 passive voice(수동태)라 한다. 따라서, 내가 내 머리카락을 자른 것이 아니고, 내 머리카락이 미용사나 이발사에 의해 잘려지게 시킨 것 이므로 “I had[got] my hair cut short.”이라고 써야한다. 영어 문장이 원래 담고 있는 뜻으로는, ‘나는 내 머리카락이 짧게 잘려지게 시켰다.’가 되는데 우리말로는 아주 이상한 어법이 되고 만다. 우리말에는 수동태가 발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I had my hair cut short.’이라는 문장도 내가 원해서 미장원이나 이발소에 가서 자른 것이라면 우리말로 ‘나는 머리(카락)를 짧게 잘랐다.’는 뜻이 되지만, 내가 원하지 않은 상태에서 벌어진 상황에 대한 설명이라면 ‘나는 머리(카락)를 짧게 잘렸다.’라는 뜻이 된다. 그래서 많은 영어 선생님들이 ‘have[get] + 사물 목적어 + 과거분사’ 형식의 문장에서 주어에게 ‘이익’이 될 때 have[get]는 ‘시키다’라는 뜻이 되고, ‘손해’가 될 때에는 우리말로 ‘당하다’라는 뜻이 되는 것으로 구분하라고 가르친다. 왜? 영어와 우리말의 어법상의 차이를 메우기 위해서이다.

그러면 왜 우리말에는 passive voice(수동태)가 발달되어 있지 않을까? 추측해 보건대, 민주주의의 역사가 짧기 때문이라는 것이 한가지 원일일 수도 있겠다. 충효 사상만이 뿌리 깊게 지배하던 조선 왕조 500년이 지나고, 일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해방이 되었건만 이승만 독재 정권과 6.25전쟁과, 유신 독재와 1980년 광주 이후의 군사 독재 정권이 지배했던 시절에는, 개인은 없었다. 위에서 ‘행동을 하는 주체’가 누구냐, 즉, 왕이냐, 일본 제국주의자들이냐, 독재자들이냐만 중요했던 것이지, 그 ‘행동을 당하는 대상’인 영어의 object(목적어)는 중요하지 않았다.

이러한 수직적 상하 관계만이 극단적으로 팽배한 사회에서는 통치를 당하는 대상인 백성이나 시민들은 논리적으로 자신의 입장을 설명할 수 없다. ‘입바른 소리’를 하면 큰 화를 당할 것이기 때문에, ‘입 삐뚤어진 소리’를 하거나(좋게 말하면 풍자나 해학이 된다), 알아서 기어야만 했다. 논리가 발달될 수 없었다. 또한 to receive an action(어떤 일을 당하는) 하는 대상을 the subject(주어)로 하는 문장 구조인 passive voice(수동태)가 발달될 수 없었다.

한 나라의 언어의 발달이나 변천은 그 나라의 역사와 정치와 문화적 배경을 배제하고는 결코 설명할 수 없다. 영어에서는 말하는 사람인 ‘나’를 ‘the first person’이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1인칭’이라고 가르치고 있다. 내가 존재하기에 가족이나, 지역 사회나, 국가도 가치 있게 존재하는 것이기에 편지 봉투에 쓰는 주소란에도 개인의 이름을 제일 먼저 쓰고 나의 집 번지를 쓰고, 거리 이름을 쓰고, 도시 이름을 쓰고, 국가 이름을 맨 마지막에 쓴다. 한국과는 정 반대의 순서다.

시민 한 명 한 명이 인격적으로 대우 받을 수 있고, 시민 한 명 한 명의 생명이 선거 때만이 아니라 진실로 재벌이나 국회의원이나 대통령의 생명과 똑같이 귀중히 여겨지는 나라, 그것이 민주주의 국가의 기본이다. 연평도에서 군인과 민간인들이 북한의 폭격으로 희생되었다 하고, 법정에서 정확히 가려져야 하겠지만, 모 재벌 2세는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2천만원을 주며 그 돈만큼 야구 방망이로 50대 가장을 폭행했다고 한다. 21세기에서 10년이나 지난, 2010년이 아프게 저물고 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마
재미있게 글 읽었습다. 사실 한글이 본격적으로 쓰여진 지가 해방 후라고 봐야겠죠.

근데 한국학교/학원에서 수동태를-특히 관용수동태를 강조, 시험문제화 하다 보니 수동태 과잉의 영어를 쓰더군요.

I am interested in politics. ,하나 실제 영어에서는 Politics doesn,t intest me 또는 I have no interest

in politics도 많이 쓰던데...학생들 에세이 보면 관용수동태가 중첩되는 한심한 작문--------
Toni
.

제가 이렇게 말씀을 드리면 어떻게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저는 다른 의견입니다.

한글 만큼 말하고, 이해하고, 전달 시키고, 존칭이 수반되는 등 활용도가 높은 언어

가 세계에 또 어디에 있습니까. 중국어나 일본어가 영어보다 훨씬 위상이 높은 언어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은 언어학자들도 인정합니다.

.

영어에서 의사전달되는 수동태의 방법이 많이 양보해서 뛰어나다는 언어 구조라면

영어에서는 아버지 어머니도 할머니도 자기 자식도 다 "당신"이라는 한단어로 상대를

지칭하는 방식도 매우 합리적이며 활용이 간단한 언어로 높이 평가되어야 할 언어로

간주해야하지 않을까 의문이 갑니다. 논리적이라는 부분도 표현방법이 복수이상으로

존재한다면 그것으로 족한 것입니다. 

.

영어에는 문법상 예외가 아주 많지요.그러면서도 한쪽으론 수동태며 시제며 얼마나

많은 수학공식같은 언어의 적용이 많은가요.그러면서 영어로 말하면서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은 대화도중 항상 한두번 이상 "Excuse me"또는 "Pardon"을 말할까요? 의사

전달에 한계가 분명이 존재하거나 애매한 문장의 구조에 기인한다고 믿습니다. 영어

에서 언어가 논리적이라고 양보하더라도 활용성이 타언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입증하는 한가지의 예에 불과합니다.자기들도 말하지만 영어가 얼마나 어렵다고

하나요 그러나 아쉽게도 실제는 한글이 훨씬 더 어렵지요. 영어는 쉽다는 얘기입니다.

.

말은 활용도가 높으면 충분합니다.그것을 수학공식으로 설명하기에는 언어학자가 아닌

이상 한계가 있지요. 우리말에는 passive voice(수동태)가 발달되어 있지 않을까? 민주

주의의 역사가 짧다,조선 왕조시대, 일본식민지시대,독재정권,군사 독재정권이 지배했던

시절에는,개인은 없었기 때문이었다라는 추정은 그 시절에 얼마나 많은 문학 활동과

문학작품이 쏟아져 나왔는지를 한번 짚어본다면 그것은 아니라는 것을 금방알수 있지요

.

한글로서 표현할 수 없는 내용을 찾을 수만 있다면 저의 댓글은 정말 가치없는 댓글로

전락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한글로 표현이 안되는 내용이 없습니다. 존칭이 안들어가는

문장이 없습니다. 격식이 안 갖추어지는 문장도 없습니다.그러나  영어로는 이렇게 다양

한 표현들이 한계에 부딪히는 문장들이 너무 많습니다. 그들은 그래서 앞에 단어를 겹겹

히 붙여서 말을 만들지요.중국어도 영어보다는 매우 과학적이고 활용성이 뛰어난 언어

체계로 대화 도중에 "Pardon"이라는 말을 할 필요가 없는 언어중의 하나입니다. 다만

서양의 인쇄기술이 오늘날 각국의 언어가 지배하는 상황을 조금 변동시킨 것뿐이지요.

과학의 힘은 그래서 무서운 것 입니다. 모든 것을 바꾸지요.

.

[357] 적게 먹자 (小食平安) : 살 빼는 방법

댓글 0 | 조회 3,117 | 2007.05.23
생활에 있어서 음식은 중요하다. 살기 위해 먹는다는 기본적 질서가 먹기 위해 산다고 할 만큼 그 욕구는 강열하다. 먹는다는 것처럼 즐거운 것은 없다. 맛있는 음식… 더보기

[356] 깨달음의 빛, 부처님오신날

댓글 0 | 조회 2,584 | 2007.05.08
하얀 동백꽃이 앞마당에 소담하게 무리 지어 피었습니다. 한국엔 목련과 라일락의 향기가 뜰에 가득하고 조금 있으면 자주 빛 모란이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내고 신록이 … 더보기

[355] 비젼 3, 자신의 한계를 넓혀 가야 한다.

댓글 0 | 조회 2,747 | 2007.04.24
종종 업무를 위해 사무실이나 현장이나마켓에 들릴 때가 많다. 그럴 때 종사하는 사원들의 표정과 모습은 그 곳의 거울이 될 수 있고 자신의 이미지를 나타내기도 한다… 더보기

[354] 다운쉬프트(Downshift)

댓글 0 | 조회 2,934 | 2007.04.12
“풍족하지 않더라도 평안히 살고자 하는 욕구” 웰빙(Wellbeing)이란 말은 친숙한데“다운쉬프트”라는 용어는 생소하다. 웰빙은 건강과 친 환경을 중요하게 생각… 더보기

[353] 역할과 보람

댓글 0 | 조회 2,708 | 2007.03.27
숲속에 뱀 한 마리가 살고 있었다. 언제나 머리가 앞서고 꼬리가 뒤따르는 것이 불만이었던 꼬리가 머리에게 말했다.“머리야, 오늘은 내가 앞서 갈 테니 선두를 양보… 더보기

[352] 이 시대의 영웅

댓글 0 | 조회 2,868 | 2007.03.12
인간이 어떤시대 어떤사회에 태어나느냐에 따라서 그 사람의 사상과 업적은 달라진다. 요즘처럼 나라가 어수선하고 혼란할 때 우리들이 의지하고 우러러 볼 수 있는 한국… 더보기

[351] 지 도 자

댓글 0 | 조회 2,647 | 2007.02.26
기성자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싸움닭을 훈련시키는 명인이었다. 하루는 임금이 닭 한 마리를 주면서 좋은 투계(鬪鷄)를 만들어 보라고 했다. 열흘이 지났다. 임금… 더보기

[350] 5-3=2 인 까닭은?

댓글 0 | 조회 2,682 | 2007.02.13
이 세상에 홀로 존재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모두가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모든 존재는 독립된 것이 아니라 서로 관계하면서 존재하고 존재하면서 관계 속에… 더보기

[349] 나비 효과(butterfly)

댓글 0 | 조회 2,732 | 2007.02.01
자연 과학 분야의 최근 연구 결과 중에 “카오스(chaos)이론”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말 그 대로 “혼돈”이라는 의미인데 단순히 혼돈이란 뜻을 넘어서 “무… 더보기

[348] 새해 행복의 시간

댓글 0 | 조회 2,630 | 2007.02.01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가 되면 마음을 새롭게하고 좋은 일을 할려고 다짐합니다. 하루를 잘 보내려는 사람은 새벽에 준비하고, 한 달을 잘 보내려는 사람은 첫날에 … 더보기

어느 학생의 뉴질랜드 유학

댓글 0 | 조회 4,383 | 2011.12.24
자녀들을 영어권 국가로 유학 보내는 부모님들은 영어권 국가에 가기만 하면 저절로 최고의 영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하기가 쉽다. 물론 어려서 영어권 국가에… 더보기

Which Color?

댓글 0 | 조회 3,363 | 2011.12.14
뉴질랜드에 여름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긴 겨울이 지나고 수선화, 튜울립이 피고 지고, 진분홍 카페트처럼 정원 한 편을 뒤 덮은 핑크 아이스라는 이름의 선인장 … 더보기

행복의 조건

댓글 0 | 조회 3,240 | 2011.11.22
인간은 행복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우리는 결국은 행복해 지기 위해서 공부를 하고, 일을 하고, 사람들을 만나고, 여행을 떠나고, 때로는 남들과 경쟁도 한다. 다만… 더보기

Do your best and Hakuna Matata(no worries)

댓글 0 | 조회 3,962 | 2011.11.08
학생들이 뉴질랜드에 와서 필자의 학원으로 공부하러 오면, 그 어떤 것보다도 먼저 가르치는 것이 뉴질랜드에서 지켜야 할 예법들이다. ‘Thank you(… 더보기

역사에는 없지만, 영어에는 있는 것

댓글 0 | 조회 4,402 | 2011.10.27
흔히 ‘역사에는 가정법이 없다’고 한다. “만일 조선이 일본 식민지가 되지 않았다면, 만일 6.25 전쟁이 없었다면, 만일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조금만 낮았더라면”…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받은 축복

댓글 0 | 조회 6,051 | 2011.10.13
외국에 나와 산다는 것이 생각했던 것 보다 쉽지 않다는 것은 모국을 떠나 외국 생활을 몇 년 이상 해본 사람들이라면 공통적으로 느끼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더구나 … 더보기

Pride and self-esteem(자신감과 자존감)

댓글 0 | 조회 3,633 | 2011.09.27
‘show off(과시하다), boast(뽐내다)’라는 말들은 별로 좋은 소리로 들리지는 않는다. 여기서 더 나가 극단적 우월 주의를 부르짖는 chauvinism… 더보기

뉴욕과 서울의 우울

댓글 0 | 조회 3,674 | 2011.09.13
모든 것이 빠르다. 안철수 교수는 역시 디지털 시대의 지도자이다. 우리가 기존에 보아왔던 정치인들과는 확연히 다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지지를 보내는 것이다.… 더보기

‘A DEE DAH DAY’ by John Ortberg

댓글 0 | 조회 3,699 | 2011.08.24
키위 할머니를 통해 만나게 된 책인 ‘The Life You’ve Always Wanted’의 작가는 John Ortberg이다. 저자의 글 속에는 스트레스를 받… 더보기

틀리기 쉬운 조동사의 용법들

댓글 0 | 조회 4,874 | 2011.08.10
영어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조동사 (Modal Auxiliary)들이 있다. 한국 사람들이 영어를 공부할 때 꼭 필요한 영어의 문법 중에서 가장 쉽게 보이는 부분… 더보기

정보, 지식, 그리고 지혜 (Information, Knowledge, and W…

댓글 0 | 조회 3,215 | 2011.07.27
People can get information on their computers from all the world without leaving their hom… 더보기

Speech와 Essay 쓰기의 차이점

댓글 0 | 조회 5,281 | 2011.07.13
최근 한국 영어 교육에서 영어로 말하기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서 영어권 국가에 단기간 공부를 하러 온 학생들도 영어로 ‘speech’를 잘 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 더보기

진짜 시험의 조건

댓글 0 | 조회 3,646 | 2011.06.29
또 시험이다. 작년 말 ‘지학사’에서 ‘English Grammar Alive’책을 출간한 후, 한국의 ‘메가스터디 출판사 메가 북스’와 독해, 어휘, 쓰기 영어… 더보기

한국 중2 이하 학생들에게 적용되는 대입 영어시험의 변화

댓글 0 | 조회 4,388 | 2011.06.16
한국의 영어 교육의 장기적인 목표는 무엇일까? 가끔 한 번씩 생각해보곤 한다. 한국의 교육제도나 시험제도가 바뀔 때 마다, 마치 한국교육의 최고 목표가 사교육을 … 더보기

5월에 tense(시제)를 가르치며

댓글 0 | 조회 3,901 | 2011.05.25
‘When an action takes place(어떤 동작이 언제 일어나는지)’나 ‘when a state exists(어떤 상태가 언제 존재하는지)’를 명확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