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3] Commodities Report 현물 보고서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43] Commodities Report 현물 보고서

0 개 1,804 KoreaTimes
국제적인 우유 가격의 강세가 지난 주 CBA (Commonwealth Bank of Australia)의 모든 화폐의 현물 가격 지수를 높였다. CBA의 낙농 상품들의 가격은 지난 주 모두 인상하였다. 다른 가격 변동의 요인들은 양고기와 양모 등이 있다.

양고기 시장은 많은 수출원들의 상품이 제한되어 있어, 안정적인 양상을 보였다. 국제 시장의 안정은 호주에서 비롯되고 있다. 농부들이 관리하지 못하는 가축들은 제거하고 있으므로, 공급이 높아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는 대량의 국내 가축 공급이 미국의 물가를 낮추고 있고, 뉴질랜드의 대미 수출이 현재 뉴질랜드 달러, 특히 강세를 보이고 있으므로, 때문에 힘겨워 하고 있다. 뉴질랜드 달러는 지난 주 적당한 선으로 마감하였지만, 여전히 높은 65c~67c 선이다. 뉴질랜드의 1년 도매 금리가 상승하였지만, 장기 금리는 1~2 포인트 인하하였다. 단기 금리는 10월 혹은 12월 중앙은행의 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인상할 것을 반영하고 있다.

미 웨스턴 일리노이즈 대학의 낙농 학부 학장 윌리엄 베일리의 연설
************************************************************
상승된 수요가 국제 낙농품 시장의 수출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유럽의 밀크 파우더, 치즈, 스킴 밀크 파우더 등의 가격은 지난 주 오세아니아 밀크 파우더와 마찬가지로 인상하였다. 지난 6개월 간 유럽의 스킴 밀크 파우더 가격은 25% 인상하였음에도, 여전히 강세를 보인다. 버터 가격은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서는, 지난 주 변동이 없었다.

오세아니아의 수출자들이 버터를 매도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 러시아에서 급격히 버터를 사들이고는 있지만, 가격 인하는 장기적으로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남반구의 기후는 지난 주 변동이 없었다, 호주는 건조하고, 뉴질랜드는 좋고, 남미는 최상이다. 미 정부는 지난 주 2006, 2007 DEIP (낙농 수출 장려 프로그램)을 발표하였다. 언론 발표는 2004, 2005와 비슷하였다. 68,201 톤의 무지방 우유, 21,097 톤의 버터와 3,030 톤의 다양한 치즈 등이 수출 장려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에 속한다고 하였다. 2004, 2005 때와 같이 “현재의 국제, 국내 시장 환경” 때문에 장려금을 사용하려는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이러한 내용이 담겨있다.

금리
****
뉴질랜드의 단기 금리는 이번 주 미 금리가 인상하였고, 시장이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을 예측하고 있어, 상승하였다. 미국의 금리는 최근 연준위의 회의에서 발표된 예상 통화정책 평가보다 높아 인상하였다. 연준위는 상품가와 노동 비용을 미국의 인플레가 예상만큼 떨어지지 않을 위험 부담을 나타내는 가능한 요인이라고 언급하였다. 호주 중앙은행의 총재 스티븐즈도 비슷하게 호주의 인플레의 압력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높은 고용률과 수요의 성장, 그리고 낮은 생산 성장이 호주의 강한 인플레 예상에 대한 요인들이다. 10월 25일에 나올 호주의 CPI 자료가 호주의 금리 시장에 대한 중요한 영향을 끼칠 것이다. 시장은 11월에 호주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에 대하여 50%의 확률을 예상하고 있고, 연말에 뉴질랜드 중앙은행의 금리 이상은 70%로 예상하고 있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 2.5%로 동결

댓글 0 | 조회 2,056 | 2009.09.22
■ 환율지난 주 NZD는 계속하여 넘어서지 못하던 USD 0.69 선을 드디어 뛰어넘어 2009년 최고치인 USD 0.70 위로 상승하였다. 지난 주 목요일 중앙… 더보기

한국 원화 주요 통화에 약세

댓글 0 | 조회 2,017 | 2009.02.25
■ 환율지난 주 뉴질랜드 달러는 주요 통화 대비 약간의 변화를 보이며 복잡한 양상을 띄었다. 뉴질랜드 달러는 2월 10일 미국 달러 대비 $0.54 선에서 거래되… 더보기

미국 시장에 전 세계 주목

댓글 0 | 조회 1,992 | 2008.10.14
■ 환율 뉴질랜드 달러는 지난 주(9월 29일~10월 3일) 복잡한 양상을 보이다 결국 약세를 보였다. 지난 월요일 미국 하원의원들이 금융 구제 법안을 일단 반대… 더보기

[339] 주택시장 동향 서베이

댓글 0 | 조회 1,949 | 2006.08.21
■ 점진적인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함 ■ 고 이자율이 지속되리라 예상됨 ■ 주택구입이 적절한 시기인지에 대한 여러가지 견해 금년 주택시장은 대체로 저조할 … 더보기

[337] ASB Bank Quarterly Economic Report

댓글 0 | 조회 1,925 | 2006.07.25
■ 뉴질랜드와 전세계의 경제 회복세 ■ 하지만 여전히 경제 불황의 요소는 잠재하고 있음 ■ 점차적인 뉴질랜드의 경제 회복세가예상되나향후 2-3 년은 저성장이 예상… 더보기

[380]뉴질랜드 부동산 시장 이어지는 침체

댓글 0 | 조회 1,884 | 2008.05.13
■환율 뉴질랜드 달러는 뉴질랜드의 경제가 더욱 안 좋다는 소식들이 전해지며 최근 거래 시세의 가장 낮은 선에서 마감되며 약세를 보였다. 원화 대비 793.69원 … 더보기

[335] Home Loan Rate Report

댓글 0 | 조회 1,864 | 2006.06.26
♣ 향후 몇 년간의 국내금리 하락 예상 ♣ 하지만중앙은행에서는 연말까지 현재의 긴축정책을 유지할 전망 ♣ 장단기 금리의 큰 변동은 없었음 중앙은행에서는 금리하락의… 더보기

[373] 2008년 부동산 불황 예상

댓글 0 | 조회 1,852 | 2008.01.31
■ 환율 지난 주 뉴질랜드 달러 대 호주 달러는 호주 중앙은행 스티븐스 총재의 기준금리 상승 징조를 나타내면서 1센트 오른 0.8630을 기록하였다. 원화는 72… 더보기

[342] 긍정적인 성장,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댓글 0 | 조회 1,848 | 2006.10.09
-뉴질랜드의 경제는 2/4 분기에 1/4 분기보다 GDP가 0.5% 성장하면서, 팽창하였다. -연 성장률은 최근 연 4%에서 연 1.9%로 감소하였다. -소비에서… 더보기

2009년 NZ 경기 예상 여전히 부정적

댓글 0 | 조회 1,836 | 2009.01.13
12월 신뢰도 조사나 2009년 예측 서베이에 의하면 향후 경기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이 여전하다. 이는 뉴질랜드 주요 무역상대국의 2009년 성장율이 평균 0.4… 더보기

현재 [343] Commodities Report 현물 보고서

댓글 0 | 조회 1,805 | 2006.10.24
국제적인 우유 가격의 강세가 지난 주 CBA (Commonwealth Bank of Australia)의 모든 화폐의 현물 가격 지수를 높였다. CBA의 낙농 상… 더보기

[347] ASB 주요 경제동향

댓글 0 | 조회 1,798 | 2006.12.22
■금리와 환율 일반적으로 금리와 환율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한 나라의 금 리가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높으면, 높은 수익을 위하여 외국의 투자가들이 높은 금… 더보기

[345] 10월의 경제분석

댓글 0 | 조회 1,797 | 2006.11.27
미국의 경제 둔화의 확실한 신호가 보이고 있지만,미국의 증시는 여전히 다우 지수가 10월 최고치 를 기록하며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그리고 S & P 500은 … 더보기

[365]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 동결

댓글 0 | 조회 1,788 | 2007.09.26
■ 환율 지난 주, 뉴질랜드 달러는 US 달러 대비 73센트 선에서 마감되었고, 원화 대비 680원 선에서 마감되었다. US 달러는 미연준위의 금리 발표의 영향에… 더보기

[349] 2007년 3월분기 경제 예상

댓글 0 | 조회 1,786 | 2007.01.30
상당수의 많은 뉴질랜드인들은 2007년이 뉴질랜드가 드디어 럭비 월드컵을 우승할 수 있는 해가 될 것이라고 희망에 부풀어 있다. 올블랙스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우… 더보기

[351]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예상

댓글 0 | 조회 1,783 | 2007.02.26
■ 금 리 시장은 3월 8일에 있을 뉴질랜드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발표에서 80%의 확률로 금리가 인상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호주 중앙은행은 지난 주 통화 정… 더보기

[359] 키위세이버(KiwiSaver) 제도의 개요 및 안내

댓글 0 | 조회 1,771 | 2007.06.27
2007년 7월 1일부터 뉴질랜드의 모든 사업장 또는 회사의 새 직원들은 뉴질랜드의 새로운 연금 제도인 키위세이버에 자동으로 등록이 된다. 탈퇴를 원하면 고용일로… 더보기

[338] 7월의 금융시장 동향

댓글 0 | 조회 1,762 | 2006.08.07
■ 중앙은행의 금리 동결 : 기준금리 7.25% ■ 향후 긴축정책의 기조 변화는 없으나 긴축을 해지할 가능성이 보임 ■ 현재 고금리 수준이 당분간 유지될 전망 지… 더보기

[341] 뉴질랜드 경제 현황

댓글 0 | 조회 1,755 | 2006.09.25
뉴질랜드의 경제는 현재 완전히 긴장되어 있다. 이러한 점은 낮은 실업률, 높은 인플레, 경상계정 적자 등 여러 수치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현황은 오… 더보기

[340] 소매 지출 부분의 감소

댓글 0 | 조회 1,748 | 2006.09.11
- 6월 2/4분기 뉴질랜드의 소매 판매량은 시장의 기대치보다 약간 낮은 0.5%가 감소 - 중고차 판매량은 같은 시기, 3월 1/4분기보다 약간 낮은 0.7% … 더보기

[363] 뉴질랜드 달러 드디어 하락세

댓글 0 | 조회 1,746 | 2007.08.28
■ 환율 뉴질랜드 달러는 지난 주 US 달러 대비 70센트에 못 미치는 68센트 선에서 마감되며 하락세를 보였다. 또한, 원화 대비 652원 선에서 마감되었으며,… 더보기

[334] 5월의 금융시장 동향

댓글 0 | 조회 1,732 | 2006.06.13
5월은 변동성 확대에 따른 위험 증가의 달이었다. 소비재 가격이 급등락을 반복하며 꾸준히 상승했고 미 달러의 하락에 따른 뉴질랜드달러의 반등이 있었다. 세계 주요… 더보기

[361] 뉴질랜드 6월 분기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댓글 0 | 조회 1,720 | 2007.07.24
■환율 지난 주 뉴질랜드 달러는 예상을 넘은 5월 소매 판매 수치로 인하여, US 달러 대비 79센트까지 치솟았다. US 달러는 미국 모기지 시장, 특히 서브 프… 더보기

[348] CPI(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예상

댓글 0 | 조회 1,718 | 2007.01.15
뉴질랜드 12월 분기 CPI(소비자물 가지수)가 곧 발표된다. ASB는 9월 분기에 비교하여 0.1% 인상하였을 것으로 예상한다. 시장은 0.2% 하락에서 0.1… 더보기

[360] 뉴질랜드 달러 다시 급상승

댓글 0 | 조회 1,707 | 2007.07.10
■ 환율 뉴질랜드 달러가 뉴질랜드 국채와 미국 국채의 수익률 차이가 추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으로 2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3일에는 US 달러 대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