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우울증(憂鬱症) 캠패인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WHO 우울증(憂鬱症) 캠패인

0 개 2,042 박명윤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기존의 국제공중위생사무소(Office of International Public Hygiene), 국제연맹보건기구, 유엔구호재건사무소 보건국 등의 제반 업무를 계승받은 기구로서 1948년 4월 7일 61개 회원국이 WHO 헌장(憲章)을 비준함으로서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WHO는 세계 인류가 신체적ㆍ정신적으로 최고의 건강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국제연합(UN) 가입 국가는 WHO 헌장을 인준함으로서 회원국(member state)이 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는 1949년 8월 17일에 가입하였다. 1965년에 WHO 대표부가 서울에 설치되었으며, 한국의 OECD 가입에 따라 2000년부터 연락사무소로 대체되었다. 

 

WHO 본부 소재지는 스위스 제네바(Geneva)이며, 약 7천명 직원들이 6개 지역사무처(Regional Office)와 150개 국가 사무소에서 근무하고 있다. 이종욱(李鍾郁, 1945년生) 박사가 한국인 첫 UN기구 수장(首長)으로 2003년 7월에 제6대 WHO 사무총장(Director-General)으로 취임하였다. 애석하게도 2006년 5월 22일 WHO 총회 준비 중 사무실에서 심장마비로 별세했다. 우리나라는 서태평양지역(Western Pacific Region)에 속하며, 한상태 박사가 WHO 서태평양지역 사무처장을 역임(1989-1999)했으며, 현재는 서울대 의대 교수인 신영수 박사가 사무처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창립일인 4월 7일을 기념하여 ‘세계보건의 날(World Health Day)’로 정하고 세계 각국에서 기념식을 거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보건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기 위하여 4월 7일을 ‘보건의 날’로 정하고 다양한 행사를 실시하며, 보건사업 유공자에게 정부 포상(褒賞)을 수여한다. 

 

필자(당시 UNICEF 기획관리관)는 지난 1982년 보건의 날 정부행사에서 ‘대통령 표창장’을 받았다. “귀하는 국민보건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맡은바 직무에 정려함으로써 국민보건향상에 기여한바 크므로 이에 표창함. 대통령 전두환” 1982년에 처음으로 정부포상을 받은 후 1990년에는 국민포장(아동복지향상), 1996년 국민훈장 석류장(청소년 건전육성), 그리고 2012년에는 국민훈장 목련장(통일기반 조성)을 수훈했다. 

 

WHO는 전 세계의 핵심이 되는 보건 문제를 선정하여 한 해 동안 국제적, 국가적, 지역적인 행사를 개최한다. 올해 45회 ‘보건의 날’을 맞아 WHO는 2017년도 캠페인(campaign) 주제로 ‘우울증(Depression: Let’s talk)’을 선정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보건의 날 슬로건을 “우울하세요? 톡톡하세요”로 선정하여 연중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간다. 

 

우울증(憂鬱症)은 전 세계적으로 3억 명 이상이 앓고 있는 정신질환이며, 최근 10년간 우울증 발병률이 약 18% 증가했다. 남자보다 여자가 약 2배 정도 우울 장애가 더 많이 나타나며, 우울증이 나타나지 않는 특정 연령대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지어 엄마와 분리되어 있는 6개월 된 유아에서도 우울증 증상이 발견되었다. WHO에 따르면 우울증은 여러 정신질환 중 사회적 부담에서 높은 비중을 치지하고 있다. 

 

‘마음의 감기’라고 불리는 우울증(우울장애, depressive disorder)은 흔한 정신질환으로 우울감(憂鬱感)과 의욕 저하가 주요 증상이며 감정, 생각, 신체 상태, 행동 등에 변화를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병이다. 이에 성격저하, 원활하지 못한 대인관계, 학교 휴학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 자살로 이어질 수 있다. 

 

우울증 평생 유병률(有病率, prevalence rate)은 미국, 유럽 등은 10%-17%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데 비해 비(非)서구권 국가에서는 5% 이하의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보건복지부의 정신질환 조사(2011)에서 일년 유병률은 3.1%, 그리고 평생 유병률은 6.7%로 나타났다. 

 

우울증의 분명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는 않으나 다른 정신질환과 같이 다양한 생화학적, 유전적, 환경적 요인 등이 야기할 수 있다. 우울증 환자의 뇌에 변화가 있으며, 뇌 안의 신경전달 물질이 우울증 발생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호르몬 불균형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우울증을 가진 가족 내에서 우울증이 더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울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증상에는 ▲일상생활에 대한 흥미 감소 ▲식욕의 변화 ▲수면시간의 변화 ▲침착성 상실 ▲죄책감이나 절망감을 느낌 ▲자해나 자살에 대한 생각을 한다 등이 있다. 우울증 환자의 대부분은 삶에 대한 에너지 상실을 호소하며, 새로운 과업을 실행할 동기를 갖지 못하고 있다. 식욕(食慾)감소와 체중저하를 보이며, 환자의 4/5 정도가 수면(睡眠)장애를 호소한다. 우울증 환자의 2/3는 자살(自殺)을 생각하며, 10-15%는 실제로 자살을 시도한다. 

 

우울감(憂鬱感)이 2주 이상 지속되고 일상생활에 장애가 동반되면 우울증을 의심할 수 있다. 일부 우울증 환자는 자신이 우울증인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일상생활에서 위축되어 기능이 떨어질 때까지 자신의 문제를 호소하지 않는다. 또한 우울증 환자는 자신이 사회에서 우울증 환자라는 낙인이 찍힐 수도 있다는 생각에 발병 사실을 숨기려 하는데 이는 매우 위험한 생각이다. 

 

우울증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마음의 병’이지만 특히 청소년, 여성, 노인들에게 더 자주 발생한다. 우울한 상태를 주변에 알리고 대화를 통해 해소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힘겨운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기꺼이 등을 내어주고 이들이 세상에서 버틸 수 있도록 힘이 되어 주기 위하여 우리나라는 “우울하세요? 톡톡하세요” 건강 캠페인을 실시한다. 

 

WHO가 권고하는 우울증 대응책에는 ▲당신이 느끼는 우울감에 대하여 당신이 믿고 있는 사람에게 이야기를 한다 ▲정신과 의사나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 ▲적절한 상담과 치료를 받는다 ▲당신이 잘 지내던 때 즐겼던 활동을 유지한다 ▲가족, 친구 등과 계속 관계를 유지한다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식사와 취침을 규칙적으로 한다 ▲술은 줄이거나 피하며, 불법적인 약물 복용을 피한다 ▲자살에 대한 생각이 나면 전화로 도움을 받는다 ▲당신이 우울증 환자인 것을 인정하고, 기대치를 조금 낮춘다 등이 있다. 

 

정신상태 검사로 우울증이 의심되면 우울증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질환에 대한 감별진단을 실시한다. 다양한 질병이 우울증과 연관성이 있으므로 증상에 따른 정밀검사가 필수적이다. 또한 우울감은 다른 정신 질환의 증상 중 하나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불안장애, 양극성 장애등과의 감별이 필요하지만 두 가지 이상의 질병이 공존하는 경우도 흔하다. 

 

우울증 치료는 약물(항우울제, 항불안제, 수면제 등)치료와 정신치료를 함께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치료약물 복용 후 대개 1-2주 후에 효과가 나타나며, 8주에 70-80%는 증상이 소실된다. 그러나 우울증은 재발이 잦기 때문에 급성기(2-3개월) 치료 이후에도 4-6개월간 유지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우울증 예방을 위하여 스트레스 관리, 위기 때 사회적지지 등이 도움이 된다. 신체적 활동과 운동이 우울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므로 자신이 즐길 수 있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꾸준히 하도록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우울증 초기 증상이 나타날 때 치료를 받는 것이다. WHO는 많은 의료인들이 우울증 환자의 발견과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나홀로族의 혼밥

댓글 0 | 조회 2,057 | 2017.01.10
최근 언론 보도에 따르면 박근혜(朴槿惠, 1952년 대구에서 출생) 대통령은 공식 만찬행사가 없을 때는 청와대 대통령 관저(官邸)에서 혼자 TV를 시청하면서 저녁… 더보기

현재 WHO 우울증(憂鬱症) 캠패인

댓글 0 | 조회 2,043 | 2017.04.26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기존의 국제공중위생사무소(Office of Internation… 더보기

냉면의 계절

댓글 0 | 조회 2,042 | 2020.07.08
무더운 여름철에 떨어진 입맛을 끌어 올려주는 음식으로 우리는 냉면(冷麵)을 꼽는다. 필자도 여름이 되면 시원한 냉면을 즐겨 먹는다. 냉면은 더워지기 시작하는 5월… 더보기

근육감소증(Sarcopenia)

댓글 0 | 조회 2,032 | 2020.09.19
여름 휴가철 해수욕장에서 또는 수영장에서 단단한 몸매를 자랑하기 위하여 7-8월에 헬스장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헬스장이 … 더보기

햄버거(hamburger) 이야기

댓글 0 | 조회 2,016 | 2016.09.14
쓰레기라는 뜻의 영어 단어 ‘정크(junk)’가 음식을 뜻하는 ‘푸드(food)’와 결합되어 ‘정크푸드’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햄버거는 정크푸드(junk food… 더보기

이중섭(李仲燮)과 소(牛)

댓글 0 | 조회 2,014 | 2016.10.11
올해는 이중섭 화백(畵伯)의 탄생(誕生) 100주년, 작고(作故) 60년이 되는 해이다. 이중섭은 1956년 9월 6일 서울 적십자병원에서 일본에 있는 아내와 두… 더보기

인구감소 그리고 인구절벽

댓글 0 | 조회 2,007 | 2023.01.27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5년 단위로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대응 예산을 편성해 16년간 280조원을 쏟아 부었지만 출산율(出産率)은 더 떨어졌… 더보기

골다공증(骨多孔症)

댓글 0 | 조회 1,996 | 2016.11.08
10월 20일은 ‘세계 골다공증(骨多孔症)의 날’이다. 세계 골다공증의 날(World Osteoporosis Day, WOD)은 국제골다공증재단(Internati… 더보기

삼복(三伏)더위와 여름 보양식(補陽食)

댓글 0 | 조회 1,995 | 2016.08.09
삼복더위가 시작되는 초복(初伏)을 맞아 교회(연세대학교회)에서 주일예배를 마치고 아내와 함께 삼계탕(蔘鷄湯)을 먹기로 했다. 교회 인근 연희동 한방 삼계탕집과 모… 더보기

만성 코로나19 증후군

댓글 0 | 조회 1,988 | 2023.01.0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에서 회복한 후 코로나 후유증(long covid)을 겪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국내외 여러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더보기

장수(長壽)를 즐기는 일

댓글 0 | 조회 1,983 | 2018.01.13
<장수를 즐긴다>는 우강(又岡) 권이혁(權彛赫) 박사님의 열세번째 에세이집 제목이다. 필자는 현재 건강한 장수를 누리면서 활동을 하시는 분으로 권이혁 … 더보기

반려(伴侶)동물

댓글 0 | 조회 1,981 | 2017.11.04
국내에서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인구가 약 1000만 명에 이르고 있어 반려동물에 대한 친근감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동물을 무서워하거나 싫어하는 사람들도 많다… 더보기

치매와 디지털 치매(Digital Dementia)

댓글 0 | 조회 1,981 | 2016.07.27
우리나라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 중 1위는 치매이며, 2위 뇌졸중(腦卒中), 3위 암(癌)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 모두 이들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에 … 더보기

남아도는 ‘쌀’ 해결

댓글 0 | 조회 1,980 | 2023.04.21
요즘 ‘천원의 아침밥’이 이슈다. 천원의 아침밥은 농림축산식품부가 대학생들의 아침밥 먹는 문화를 확산하고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2017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사… 더보기

행복한 삶과 죽음

댓글 0 | 조회 1,969 | 2017.11.18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인간의 최대 욕망은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늙기를 싫어하고 더욱이 죽는 것을 두려워한다. 그러나 사람은 태어나는 순간… 더보기

K팝 가수의 죽음

댓글 0 | 조회 1,967 | 2018.03.10
아이돌 그룹 ‘샤이니’의 멤버 종현(본명 김종현ㆍ27)은 지난해 12월 18일에 서울 청담동의 한 레지던스(Residence)에 찾아와 2박을 예약했으나, 오후 … 더보기

침묵의 살인자, 고혈압

댓글 0 | 조회 1,955 | 2022.08.06
고혈압(高血壓)은 ‘소리 없는 죽음의 악마’ ‘침묵의 살인자’라고 할 정도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연구결과 전 세계 사망에 대한 … 더보기

조현병(調絃病)

댓글 0 | 조회 1,934 | 2019.05.11
최근 조현병 환자에 의해 발생한 ‘묻지마 범죄’로 인하여 조현병에 관심이 높아 지고 있다. 지난 4월 17일 경남 진주시 가좌동 주공아파트의 방화ㆍ살인 사건으로 … 더보기

급성심근경색

댓글 0 | 조회 1,924 | 2020.11.07
필자는 6년 전인 2014년 <靑松 건강칼럼>에 삼성 이건희 회장의 급성심근경색에 관하여 집필한 바 있다. 칼럼 내용의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더보기

코로나시대 뉴노멀 바캉스

댓글 0 | 조회 1,908 | 2020.08.08
필자는 여름 바캉스 시즌이 되면 매년 즐겨 참석하는 모임이 있다. 7월 말경에는 한국파인트리클럽(Pine Tree Club of Korea)이 주최하는 Summe… 더보기

감기, 독감, 비염

댓글 0 | 조회 1,902 | 2018.11.10
독감 예방접종 시기가 돌아왔기에 필자는 몇 일전에 동내 내과의원에서 무료로 맞았다. ‘어르신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지원사업’에 의하여 지정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 더보기

토모테라피(TomoTherapy)

댓글 0 | 조회 1,877 | 2020.02.21
우리나라에서 전립선암(前立腺癌)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년 전 대비 50대는 55%, 60대는 37%, 70대는 24%, 80대는 14%가 증가했다. 전립선암은… 더보기

궤양성 대장염(潰瘍性大腸炎)

댓글 0 | 조회 1,871 | 2020.10.05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지난 8월 28일 지병(持病)인 궤양성 대장염(潰瘍性大腸炎)이 재발하여 건강이 악화됐다며 사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집권 … 더보기

비말전파와 공기전파

댓글 0 | 조회 1,861 | 2020.07.25
‘비말 전파’란 5㎛(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침방울(비말)로 인한 전파를 말하며, 전염 경로는 감염자가 기침 또는 재채기할 때 나오는 침방울에 바이러스가 묻어 1-… 더보기

김치 이야기

댓글 0 | 조회 1,851 | 2017.12.02
“김치를 먹다 하도 매워 나도 모르게 물! 하고 소리 지를 때/ 약속이나 한 듯이/ 아버지와 어머니와 누나가 물 가져오려고 한꺼번에 일어날 때” 서정홍 농부시인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