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에 달라질 수 있는 것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2021년에 달라질 수 있는 것들

0 개 3,671 정동희

예기치 않던 일의 파도 속에서 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였습니다. 


모든 것이 혼돈의 시기였던 2020년보다는 조금 더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한 해가 되기를 소망하는 것은 비단 저만의 마음만은 아닐 것이라 생각하네요. 


새로운 1년을 맞이하게 되면 늘 월간, 연간 계획을 세우고 추구하다가 한 해의 끝자락에 서게 될 때는 늘 아쉬움과 후회가 남곤 하는데 올해는 많은 이들이 신년계획이라는 것 자체를 세우지 않는다고들 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혹독한 한 해를 보내면서 얻은 교훈이라고나 할까요. 


이민업계도 역대급 대혼돈의 시기였습니다. 이미 신청한 비자의 심사중단 및 지연사태, 신규 비자 신청중단 또는 무기한 연기, 그리고 비자 소지자에 대한 부당한 처우와 비자 자동 연장 등의 역사상 최초인 상황들이 수시로 발생하였지요.


새해 첫 칼럼이라면 으레 “신년에 달라지는 것들” 이라는 제목을 달고 나와야 함이 마땅하건만 올해는 그렇게 달기엔 조금 부담스러워서 “달라지는 것들”을 대신하여 “달라질 수 있는 것들”로 정해보았습니다. 각 카테고리 또는 분야에서 올해“달라질 수도, 달라지지 않을 수도, 달라졌으면 하는”이야기를 풀어보려 하는 저는, 1998년부터 이민업계에 몸담아온 NZ정부 공인 이민법무사 (제200800757호) 정동희입니다.


f55cc8f8a2a869f963d4ebebccf4121d_1610496464_877.png
 

하반기 실시로 연기된 新워크비자법


문 : 원래 올해 2021년 3월인가부터 워크비자법이 대대적으로 변경, 시행된다는 고지가 예전에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예정대로 시행하나요?

답 : 다음은 지난 12월 중순에 뉴질랜드 이민부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내용입니다.


f55cc8f8a2a869f963d4ebebccf4121d_1610496282_6273.jpg
 

문 : 그렇다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워크비자 법들인 에센셜 워크비자, WTR워크비자, 텔런트 비자 등등이 올 6월말 이전까지는 신청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인가요? 

답 : 그렇습니다. 이민업계는 이번 연기발표를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랍니다. 


문 : 新워크비자법은 아무래도 현재보다는 좀 더 까다롭게 강화되는 법인가 봅니다?

답 : 그동안 이만큼 큰 변화가 없었기에, 기대보다는 우려가 더 큰 상황이지요. 현재는 워크비자 신청자가 주체가 되어 잡오퍼만 있으면 바로 워크비자를 신청할 수 있는 법이지만 향후 신법이 등장하게 되면 이것이 불가능해진답니다. 


문 : 하반기에 시행될 新워크비자법을 이해하기 쉽도록 써머리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답 : 우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에센셜 워크비자법 조항을 먼저 살펴 보도록 하지요. 


1. 본인의 경력 또는 학력과 연관된 잡오퍼를 제공해 줄 고용주를 찾는다. 

2. 모든 서류를 준비해서 워크비자를 신청하고 기다린다. 

3. 시급과 직책에 따라서 6개월(원래는 1년이지만 한시적으로 현재는 6개월 승인)/3년/5년의 비자가 나온다. 


그러나 신법이 시행될 올 하반기부터는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가 예상되는 바입니다. 


f55cc8f8a2a869f963d4ebebccf4121d_1610496333_8953.png
 

1. 신청자가 고용주를 찾으면, 그 고용주가 이민부로부터 Accreditation을 지난 1년 이내에 이미 승인 받아 놓은 곳인지 아닌지 체크부터 들어간다. 이미 인증서가 있는 곳이면 오~케이지만, 없는 곳이라면 갈 길이 아주 멀다. 그 특정 고용주께서 그때부터 인증서를 신청하고 받아 내는 데에도 부단한 시간과 노력, 그리고 적잖은 비용이 요구된다. (채용하고자 하는 해외인력이 정해지지 않은 고용주라 하더라도 Accreditation을 이민부로부터 미리 승인 받아 놓았어야만 비영주자가 나타났을 때 신속한 워크비자 신청이 가능해 진다.)  


2. 고용주로서의 자격 여부에 대한 검증은 물론 노동시장 검증도 통과해야 함.


3. 두 단계를 모두 거친 후에라야 비로소 워크비자 신청이 가능하지만 신청자의 경력/학력/신원조회/신체검사 등이 다 만족스러워야만 한다. 승인되는 비자의 유효기간을 가르는 시급은 $27로 예상되나 추후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유학후 이민제도의 귀환


유감스럽지만, 아직 이 분야의 재개방에 대한 정부와 이민부의 공식 발표는 없었습니다. 다음은 저의 개인적인 예측입니다.


문 : 과연, 언제 이 분야에 꽃피는 봄이 올까요?

답 : 뉴질랜드 유학시장은 크게 순수유학과 성인유학(유학후 이민)으로 나뉩니다. 코로나 19 이후로 거의 붕괴직전인 뉴질랜드 유학산업은 두 카테고리 전부 다 조속히 개방되길 고대하고 있으며 백방으로 묘안을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요. 저의 사견입니다만, 상반기 중으로는 유학업계에 희소식이 전해지지 않을까 예측해 봅니다. 다만,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학생에 한해서 뉴질랜드 입국을 허용할 것 같습니다.


●  입국 전 14일 이내에 2번의 코로나19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은 자

● 입국후 일정기간 동안 격리시설에 격리될 수도 있으며 이때 격리비용 일체 또는 부분을 본인이 부담하는데 동의하는 자


문 : 유학후 이민 시장이 다시 열린다면 그 루트를 통하여 영주권 신청까지 가능해 질까요?

답 : 이 분야에 대한 최근 몇 년 간 정부의 정책 기조는 한결같이 “고학력, 전문직 우대”입니다. 정부와 이민부가 쌍수를 들고 성인 유학생을 다시 환영한다 해도 이러한 시각에는 변함이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문 : 그렇다면, 유학후 이민을 희망하는 1인으로써 올해 안에 뉴질랜드로 갈 것을 계획하면서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답 : 크게 2가지로 보여집니다. 어떤 과정에 입학할 것인가 라는 고민과 영어능력 레벨업입니다. 영어를 기본 언어로 하여 취득한 학사 또는 석사 학력을 소지한 분이 아니라면 IELTS 성적표 6.5 또는 높은 토플 성적은 필수입니다. 어느 학교의 어느 코스를 선택해야 영주권으로 가는 지름길이며 고속도로가 될지는 본인의 능력과 경력 등등에 따라 좌우되지만 어떤 전문가의 컨설팅을 받는가에 따라서도 크게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니 합법적으로 이민 컨설팅을 제공하는 뉴질랜드 정부 공인 이민법무사 또는 유자격자와의 직접 상담을 받아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답니다.

 



부모초청이민과 기술이민(SMC)의 의향서 채택 재개


작년 2월에 다시 재개한 부모초청 이민 카테고리. 그러나, 코로나 19로 인하여 다시 문이 닫혀 버린 상태입니다. 기술이민(SMC)의 의향서(EOI) 채택 역시 현재는 중단된 상태죠. 다음은 이와 관련하여 작년 10월에 발표된 정부와 이민부의 공식입장입니다.


f55cc8f8a2a869f963d4ebebccf4121d_1610496397_4016.png
 

작년 10월의 발표로 인해 당시로부터 6개월 더 “접수 중단”이 된 것이므로 올 4월 이내에는 부모초청이민과 기술이민의 신규 접수는 불가능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미 접수된 의향서들에 대한 채택 역시 연기된 상황이므로 이번 발표는 참으로 유감스럽네요. 4월 이후부터는 이 두 카테고리가 정상적으로 시행이 되길 고대해 봅니다.


(더 많은 담론과 최신이민 정보는 저희 회사의 공식 블로그인 https://blog.naver.com/ajikdo69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 위의 정보는 이민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필자 개인의 견해와 해석을 밝힌 것이므로, 실제적용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자는 이 글의 실제 적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최신 이민정보로 人生이 바뀔 지도

댓글 0 | 조회 3,741 | 2020.06.09
이젠 New Normal 시대를 받아들여야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뉴 노멀이라는 것은, 비정상의 정상이라는 말과 일맥상통하며 코로나 이전의 시대로는 돌아갈 수가… 더보기

人生을 바꿀 수도 있는 최신 이민 정보

댓글 0 | 조회 3,722 | 2020.08.26
희망차게 시작했던 2020년이 코로나 19의 예기치 않은 습격으로 인하여 어언 3분의 2가 휘이익 지나가고 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가장 무섭다는 것을 … 더보기

이래니 저래니 해도 학력이 Key!

댓글 0 | 조회 3,718 | 2017.10.10
지난 8월28일의 법 변경 이후로 기술이민을 통한 영주권 취득을 원한다면 이제는 학력이 이전보다 더 중요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학력은 그 자체의 점수뿐만 아니라 … 더보기

칠칠 특별이민법 핵심만 착착착

댓글 0 | 조회 3,689 | 2020.07.15
12개월간의 한시적이지만 특별한 권한을 이민부 장관에게 주어 코로나19로 인하여 곤란하게 된 수많은 비영주권 비자 소지자/신청자 및 영주권 신청자/승인자에게 신속… 더보기

이민법무사가 엄선한 최신 이민 뉴스

댓글 0 | 조회 3,682 | 2018.06.12
뉴질랜드 정부 공인 이민법무사가 할 수 있는 중요한 일 중에 이민과 유학에 대한 최신 정보와 소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근 들어… 더보기

아직도 요리학과란 말입니다

댓글 0 | 조회 3,680 | 2016.04.14
지겨울 때도 되었습니다만, 뉴질랜드 이민, 유학 후 이민, 기술 이민 등을 말할 때 또는 이민 컨설팅을 받을 때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요리학과”. 무엇이 이… 더보기
Now

현재 2021년에 달라질 수 있는 것들

댓글 0 | 조회 3,672 | 2021.01.13
예기치 않던 일의 파도 속에서 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였습니다.모든 것이 혼돈의 시기였던 2020년보다는 조금 더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한 해가 되기를 소망하… 더보기

“카더라”를 바로 잡는 최신 이민 정보

댓글 0 | 조회 3,646 | 2019.07.24
20년 넘는 이민컨설팅 경력을 꿰뚫어 요즘처럼“카더라”통신이 차고 넘치는 시절은 참으로 드물었던 것 같습니다. “카더라” 통신도 모자라 아예 가짜 뉴스조차 기정사… 더보기

노동당이 생각해 온 이민정책이란?

댓글 0 | 조회 3,633 | 2017.11.07
9년만의 재집권에 기적적으로 성공한 노동당. 새 집권당의 새 이민부 장관은 Iain Lees-Galloway 라는 1978년생의 30대 정치인입니다. 그는 야당 … 더보기

기술이민, 그건 오해야 오해(1탄)

댓글 0 | 조회 3,613 | 2014.09.24
세상사 살다 보면 오해도, 억울한 일도 많습니다. 특히나, 각종 비자 및 영주권 관련한 정보가 너무 넘치고 흘러 때론 과연 진실이 무엇인지 당황스러울 때가 많지요… 더보기

가디언비자, 이만큼은 알고 살자!!

댓글 0 | 조회 3,600 | 2014.03.25
유학생 자녀와 함께 뉴질랜드에 체류하고자 하는 당신. 귀하가 편하게 받으실 비자는 당연히 가디언 비자겠지요. 그러나, 이 비자의 성격과 진실을 잘 몰라서 후회할 … 더보기

최근 비자 심사기간과 실제 사례

댓글 0 | 조회 3,573 | 2020.12.23
안녕하세요. 2009년부터 뉴질랜드 공인 이민법무사로 활동해 온 정동희 이민법무사입니다. 지난 한 달간 이민과 관련한 큰 이슈가 없는 관계로 칼럼을 쉬었답니다. … 더보기

이민부가 제공하는 일반워크 비자 종합 안내서

댓글 0 | 조회 3,558 | 2015.05.13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www.immigration.govt.nz)를 통해 가능한 한 많고도 깊이 있는 정보와 가이딩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 더보기

3월에 변경, 시행될 부족 인력군 리스트

댓글 0 | 조회 3,538 | 2016.01.27
2015년의 마지막 칼럼 직후에 이민부의 한-뉴 FTA 후속조처에 대한 이민법의 변경이 정식 발표되었습니다. 이에 따르면, 2016년도 쿼터부터 한국인 워킹홀리데… 더보기

황금같은 2019년 마지막 이민 뉴우스

댓글 0 | 조회 3,522 | 2019.12.20
이민부는 주로 이민법무사 및 이민관련 전문가들을 위한 뉴스레터를 준비하여 정기적, 부정기적으로 고지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들에게 정기 이메일을 보내는 동시에 이민부… 더보기

파트너쉽 비자를 쥐락펴락하는 3가지

댓글 0 | 조회 3,519 | 2020.08.11
아무리 뉴 노멀의 시대라 해도 기존 법은 그대로입니다. 달라진 이민법의 적용을 받아야 하는 케이스들에 대해서는 무조건 신법을 따라야 하며 각각의 개별적인 케이스에… 더보기

ETA를 받아야 하는 者와 받지 않는 者

댓글 0 | 조회 3,508 | 2019.04.10
뉴질랜드 이민컨설팅을 업으로 한지 20년이 지나던 시점에서 크게 인식하게 된 사실이 있다면 뉴질랜드 이민법이 해를 거듭하면서 복잡다단해지고 있으며 점차 해외의 이… 더보기

방문비자(Visitor visa)에 대한 이민부의 가이드

댓글 0 | 조회 3,492 | 2015.06.09
어느 나라든지 입국하기 위해서는 비자(visa)라는 입국허가증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뉴질랜드 이민부가 공식적으로 배포하는 방문비자(visitor visa) 안내서… 더보기

특별법 영주권 상황 리포트

댓글 0 | 조회 3,491 | 2022.01.26
2021년의 大尾는 특별법 영주권 신청과 승인소식으로 장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기존에 신청해 놓은 영주권의 심사소식을 이제나 저제나 기다려 오던 분… 더보기

내가 몰랐던 파트너쉽 관련 이민법

댓글 0 | 조회 3,489 | 2018.12.24
파트너쉽을 통한 워크비자와 영주권 취득은 합법적인 부부, 혹은 사실혼 관계에 있는 커플들에게는 참으로 중요한 문제입니다. 21년차 이민컨설팅 전문가인 저의 201… 더보기

2019년 3/4분기 HOT 이민뉴우스

댓글 0 | 조회 3,481 | 2019.10.23
이민부는 주로 이민법무사 및 이민관련 전문가들을 위한 뉴스레터를 준비하여 정기적으로 고지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들에게 정기 이메일을 보내는 동시에 이민부 사이트에도… 더보기

이민법 변경에 따른 현.가.영

댓글 0 | 조회 3,473 | 2022.12.21
이렇게까지 따라잡기 어려웠던 적은 없었습니다. 올 2022년, 특히 최근 몇 개월간은 최고치였지요. 이민법무사의 엄중한 책무 중 하나는 이민과 관련된 각종 언론기… 더보기

유학후이민 학과 선택을 위한 2017 필독서

댓글 0 | 조회 3,460 | 2017.03.07
인생지사 새옹지마 라는 말, 개인적으로 저는 참 좋아합니다.꿈에도 그리던 영주권을 손에 쥐었으나 몇 년 가지 않아 이별하는 커플도 보았으며, 영주권 승인 2년 후… 더보기

변하지 않을 파트너쉽 비자 철칙

댓글 0 | 조회 3,440 | 2022.06.29
세월이 흐르면서 세상도 변하고 그에 따라 법도 변하기 마련입니다. 최근 한 고객께서 “인도주의 이민”과 “형제초청 이민”에 대한 문의를 해 온 적이 있습니다. 너… 더보기

어서와, 파트너쉽 비자는 처음이지

댓글 0 | 조회 3,434 | 2023.03.15
한국적인 정서상, “파트너-partner”라고 하면 조금 생소할 수 있습니다만, 뉴질랜드 이민부가 이해하는 파트너는 좀 더 포괄적인 의미입니다. 합법적으로 결혼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