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유 있게 삼 개월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여유 있게 삼 개월

0 개 1,379 김준

“벌써 8월 말 이네요. 이제 슬슬 시험준비 좀 해야 할 것 같아요.. 앞으로 여유 있게 3개월이니까 뭐…”  

“늦었다..”
“네?”
“늦었다고…”
“에이.. 아무리… 다들 이 무렵에 시험준비 시작해요.. 그래도 점수만 잘 나오던걸요. 뭐..” 


“그래? 그런 학생들을 몇 명이나 알고 있지?  항상 평균치를 생각해야 하는 거지.. 하여간에 네가 여유있게  3개월 남았다고 생각하는한 이미 늦은 거다”
“무슨 말씀이신지 잘 이해가 안 되요. 시간은 정확한 거고 누구에게나 공평한건데..”

 

 “그럼 정말 3개월 남았는지 한번 생각해 볼까?”
“ㅎㅎ 당연한 거지만 그래도 해보면 재미있겠는데요 ~. 한번 해 보죠 뭐. 3개월이 3개월이지…” 


“네가 생각하는 3개월은 앞으로 3개월간 공부를 할 수 있을 거라는 의미로 한 말이지. 그렇지?”
“그렇죠~”

 

 “그럼 그 3개월을 시간으로 따져 봤을 때.. 한 달에 30 일 잡고 90일. 하루 24시간이니까 2160시간. 그럼 그 시간 동안 공부만 한다는 거야?”
“에이~ 선생님도.. 그런 사람이 어디 있어요… ㅋㅋ ㅋ 밥도 먹고, 잠도 자고, 학교도 가고.. 주말에 축구도 하고 그래야죠.. 그래도 한참 시간은 남을 거 같은데..” 

 

“좋아. 그럼 선생님이 계산해 볼께. 3개월을 주로 바꾸면 13주가 되지. 일주일은 5일간의 weekdays와 week end가 있으니 따로 생각해보자. 그럼 먼저 weekdays에 네가 하루 동안 시험 공부할 시간이 몇 시간인지 볼까? 아침에 학교 가서 3시까지는 학교에 묶여있어야 하고 집에 와서는 기본적으로 숙제 할 시간은 필요하겠지. 그럼 하루 8시간은 학교 공부에 사용하는 거야. 학교 숙제는 시험준비와는 별 상관이 없는 게 현실이거든… 그리고 밥 먹는 시간 한번에 30분, 그리고 화장실 샤워 등의 시간 1시간 잡으면 2시간 반이구나. 네 또래 학생들은 하루 한번 정도 과외를 하거나 학원을 가니까 이동 시간 포함 2시간은 될 거고.. 여기까지 총 12시간 반이 지나갔네.”
“거 봐요.. 아직도 시험 준비할 시간은 꽤 된다니까요..” 

 

“아직 안 끝났지.. 하루에 자는 시간이 보통 7시간, 친구들하고 facebook, 카톡 하는 시간 한 시간, 등하교 한 시간까지 더하면 21시간 반이 되지.”
“음… 그렇네요….” 

 

“그럼 남은 시간을 다 공부에 투자한다고 치자.. 그럼 2시간 반인데 그 중 30분은 멍~ 하고 있다는 거 공부해 본 사람은 다 아는 거거든.. 그럼 네가 하루 동안 시험준비에 투자할 수 있는 시간은 Weekdays에 하루 2 시간이라는 결론이지.”
“글쎄요.. 그렇게 따져보니 빡빡한것 같기도 한걸요. 하지만 그래도 Weekend가 있잖아요.” 

 

“그럴까? 하지만 대다수의 학생들이 weekend에는 스트레스를 푼다는 이유와 종교활동을 위해 오히려 공부를 더 안 한다는 거 알지? 하지만 좋아. 특별히 주말엔 평일의 두 배인 4시간씩 공부한다고 치자. 그럼 주말에 8시간이네. 그래서 결국 일주일에 18시간, 13주동안 234 시간을 시험준비로 확보할 수 있겠구나. 일수로 치면 10일이 채 안되네..”
“……….” 

 

“자.. 이제 그럼 적절한 시험준비를 위해 몇 시간이 필요한지 생각해 볼까? 올해 5과목을 봐야 하니까.. 기본적으로 지난 5년간의 기출문제는 한번씩 풀어봐야 하겠지? 우선 NCEA의 경우 한 과목당 평균 External Paper가 3개지. 과목당 시험시간은 3시간이고.. 그럼 지난 5년치의 기출문제를 풀어본다면 한 해 한 과목 문제 푸는데 3시간 들고 5과목이면 15시간이구나. 5년치 풀면 75시간이 필요하니까 아마 이 정도면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겠지? 하지만 아직 멀었어. 풀어본 문제들 마킹을 해야 하니까. NCEA 마킹이 꽤 복잡한거 알지? 아무리 짧게 잡아도 최소 40시간은 마킹으로 필요할거야. 단어 하나하나를 체크해야  하니까.. 그리고 틀린 부분을 확인해서 Essay 형식으로 정리해 놓는데도 50시간은 필요해. 벌써 165시간이 날아갔어. 이제 남은 시간은 130시간도 안되네. 5일 남짓한 시간이야. 설마 기출문제만 풀어보고 시험 보러 갈건 아니지? 영어 에세이 하나를 준비하기 위해 몇 번을 써 봐야 하는지 알 거야. 간단히 복습을 한다고 하면 한 과목당 평균 5 토픽이니까 25 토픽, 토픽당 4시간만 복습 한다 해도 (물론 턱도 없지만) 100시간. 이제 30시간 남았어. 만약 남은 3개월동안에 감기라도 걸려서 며칠 공부를 쉬게 되면 이 시간도 없어지는 거지.”
“휴우~” 

 

“한숨 쉬긴 일러.. 지금까지의 계산은 네가 한 해 동안 모든 과목을 성실히 공부했고 그래서 어느 한 부분도 처음부터 다시 공부해야 할 필요성이 없을 때를 가정한 거야. 만약 한 과목 한 챕터를 처음부터 다시 봐야 한다면 넌 어디선가 시간을 ‘창조’해야만 해. 그래도 이제 슬슬 시험준비 시작해보겠다는 말이 나오니?”

 

게으름은 인간의 본성중 하나라 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불확실한 미래보다는 안정적이고 확실한 현재에 안주하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있기에 미래의 사건에 발을 디디는 일을 최대한 늦추려 한다는거지요. 그러니 아무리 부지런해 보이는 사람도 어느 구석엔가 게으름의 요소를 포함할 수 밖에는 없을듯 합니다. 결국 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감수해야 할 게으름의 분량이 있는 것일테고 우리의 아이들 또한 이런 보편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겠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 성인들도 이겨내기 어려운 게으름의 유혹을 아직 인격적으로 완성되지 못한 우리의 아이들에게 요구한다는 것은 지나쳐도 한참을 지나친 일이 아닐까 싶어 미안하기도 하고 안스럽기도 합니다. 

 

하지만 운동코치가 선수가 안스러워 훈련을 느슨하게 한다면 코치로서의 자격이 없는것과 마찬가지로 아이들의 축 쳐지고 피곤한 어깨가 안스러워 채근을 멈춘다면 이 또한 어른으로서의 자격이 의심스러울수 밖에 없습니다. 앞으로 어떤일이 벌어질지 뻔히 알고 있는 이상 어떻게든 시간을 아끼라며 닥달을 해야하고 게으름을 떨치라며 호통을 쳐야하는 현실은 우리 어른들이 짊어지고가야 할 아이러니가 아닌가 합니다. 사랑하고 아끼기 때문에 더 혹독해져야 한다는 이율배반인 것이죠.

  

이제 연말시험까지 남은 시간은 3개월이 채 되질 않습니다. 그런데도 많은 학생들이 아직도 시간이 진진하게 남은 양 이리저리 어울려 다니며 젊음을 즐기기에 여념이 없습니다. 아마도 이미 불안해진 마음을 애써 눌러가며 최대한 시험준비의 첫날을 미루고 미루는 적극적 게으름의 나날을 살고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한 해동안 자신이 공부에 게을렀다는 현실을 재확인하는 것이 달가울리는 없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시라도 빨리 책상앞에 들어붙기를 부탁합니다. 그것만 이 지난 시간의 나태함을 최대한 복구할 수 있는 길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남은 3개월, 아니 234시간을 한 순간도 낭비하지 않고 활용하는 우리의 아이들이 되었으면  합니다.

 

김 준 원장 JMK 과학전문학원 021-314-432 jmkeduconsult@gmail.com

 

6365993fa4f569b32395b4879416d8fc_1535092256_8198.jpg
 

말, 말, 말!

댓글 0 | 조회 1,202 | 2018.06.30
세상 누구나 인정하는 낭만의 도시 파리.하늘도 맑은 어느 가을날 오후, 한 중년 신사가 맵시있게 빠진 철제 가로등을 끼고 돌아 광장입구에 들어섰을 때였습니다. 난… 더보기

장작불

댓글 0 | 조회 1,307 | 2018.07.14
요 며칠 냉냉한 날씨가 이어집니다.간혹 며칠에 한번씩 반짝 햇살이 날뿐 몇 개월동안 주구장창 차가운 비만 내리는 뉴질랜드 특유의 겨울을 지내려니 마음은 오히려 쨍… 더보기

러너

댓글 0 | 조회 1,286 | 2018.07.27
어제 한 학생이 홍조 띈 기쁜 얼굴로 학원 문을 들어섰습니다. 보통 아이들이 마지못해(?) 학원문을 여는것을 생각해보면 웬만큼 좋은 일이 있지 않고서야 저렇게 입… 더보기

Term 3

댓글 0 | 조회 1,583 | 2018.08.10
이제 2018년의 한가운데를 가로 지르는 term 2 방학이 끝나고 하반기의 시작을 알리는 term3가 시작되었습니다. 언뜻 느껴지는 것은 이제 반이 지났구나..… 더보기
Now

현재 여유 있게 삼 개월

댓글 0 | 조회 1,380 | 2018.08.24
“벌써 8월 말 이네요. 이제 슬슬 시험준비 좀 해야 할 것 같아요.. 앞으로 여유 있게 3개월이니까 뭐…” “늦었다..” “네?” “늦었다고…” “에이.. 아무… 더보기

배터리

댓글 0 | 조회 1,271 | 2018.09.15
며칠전 모바일폰 배터리가 방전된 것을 모르고 잠이 들었다가 아침에 알람이 울리지 않아 낭패를 겪을 뻔한 일이 있었습니다. 이젠 시계대신 전화기가 그 역할을 담당하… 더보기

9월, 이 시기의 공부법

댓글 0 | 조회 1,246 | 2018.09.28
시간이 흐르고 흘러 어느덧 2018년의 9월말이 되었습니다.하루하루 낮이 길어지고 덩달아 해 그림자는 짧아져가는 것이 이제 얼마남지 않은 여름과, 연말과, 동시에… 더보기

Iceland, ‘I’s land

댓글 0 | 조회 1,152 | 2018.10.12
세상은 넓고 먹거리는 많다지만 그 다양하고 풍성한 음식들 가운데 유독 선뜻 손이 가지 않는 음식으로 유명한 나라가 있습니다. 바로 화산활동으로 유명한 나라 아이슬… 더보기

마추픽추, 만리장성

댓글 0 | 조회 1,296 | 2018.10.26
버킷리스트라는 말이 있습니다. 2007년 개봉된 동명의 영화를 통해 세상에 널리 알려진 이 단어는 꼭 이루고 싶은 소원이나 죽기전에 가 보고싶은 곳 등을 이야기할… 더보기

피그말리온, 스티그마

댓글 0 | 조회 1,235 | 2018.11.15
피그말리온은 사랑에 빠졌습니다. 한 나라의 왕이라는 체면에도 불구하고 볼 발그래한 10대 소년이나 매료될법한 어여쁜 조각상에 푹 빠져버리고 말았습니다. 그것도 자… 더보기

기회의 방학 2018

댓글 0 | 조회 1,107 | 2018.11.28
이제 2018년을 정리하는 각 과정의 시험이 이미 끝났거나 거의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11월 말.. 어떤 학생들은 이미 길고 긴 여름 방학에 들어갔을 테고… 더보기

길을 만드는 자

댓글 0 | 조회 1,147 | 2018.12.21
Be a brad.영어권 국가들의 이름들은 주로 그 사람의 직업에서 기인하거나 신체조건을 묘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에 등장했던 최초의 … 더보기

리플리 신드롬

댓글 0 | 조회 1,196 | 2019.01.16
2015년 6월, 한국의 한 주요일간지는 일주일쯤 전에 올렸던 신문기사를 정정하는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정정된 이전 기사의 내용은 미국에 거주중인 한 한국인 이민… 더보기

바나나 한 송이

댓글 0 | 조회 1,978 | 2019.01.31
1984년 미국 LA에서 개최된 하계올림픽은 바로 다음 올림픽 개최국으로 지정되었던 대한민국 국민들에겐 유독 더 관심이 가는 국제 행사였습니다. 힘을 다해 올림픽… 더보기

미사일

댓글 0 | 조회 1,488 | 2019.02.15
Q를 처음 보았을때.. 그가 마음에 들었습니다.타고난 골격이 우람한것도 그렇지만 오랜 기간의 운동으로 다져진 다부진 체구와 형형한 눈빛이 마치 전투폭격기를 보는듯… 더보기

스타벅스

댓글 0 | 조회 1,327 | 2019.02.26
세상에서 가장 멋진 도시를 이야기 할때 빼 놓지 않고 언급하는 미국의 한 도시가 있습니다. 젊은이들의 동경을 한 몸에 받는 도시, 뉴욕입니다. 누구나 이 멋지고 … 더보기

상권

댓글 0 | 조회 1,198 | 2019.03.14
4년간 생활하던 장소를 떠나 또 다른곳으로 옮겨간다는 것은 말처럼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동안 도톰하게 쌓여있던 떠깨비같은 먼지를 털어내야자니 긴 시간… 더보기

정당한 유산

댓글 0 | 조회 1,609 | 2019.03.26
지난주는 지구 남반구의 조그마한 섬나라인 뉴질랜드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었던 한 주 였습니다. 많은 분들이 놀라셨고 또 많은 분들이 가슴 아파했던 어처구니 없… 더보기

노트의 제왕

댓글 0 | 조회 1,114 | 2019.04.10
노트절대론? 노트무용론!“이제 다음주면 Mid year 시험인데 준비는 잘 하고있니?”“아! 네. 지금 열심히 준비하고 있어요. 이번엔 잘 해야죠!”“오~ 그래?… 더보기

노트의 제왕 2

댓글 0 | 조회 1,410 | 2019.04.23
지난 컬럼에서 노트무용론 (- 정확히 말하자면 학생들이 만드는 노트의 유명무실함) 을 피력한 이후 몇건의 연락을 받았습니다. 제가 쓰고 있는 컬럼을 매번 성의있게… 더보기

노트의 제왕 3

댓글 0 | 조회 1,267 | 2019.05.15
카드시스템‘카드’라는 말만 읽어도 ‘아! 무슨말 하는지 알겠다..’ 라고 생각하실 분들이 꽤 되실것 같습니다. 그렇습니다. 우리가 학창시절에 영어단어 외우겠다고 … 더보기

나폴레옹 - 2019년

댓글 0 | 조회 1,409 | 2019.05.28
저희 부부의 단골 카페는 ‘Browns Bay’ 바닷가에 있습니다. 직접 바다를 내려다 보며 조망할 수 있는 고급 카페는 아니지만 프랑스 전통 빵과 디저트를 즐기… 더보기

변하지 않는 것

댓글 0 | 조회 1,280 | 2019.06.11
우연찮은 기회에 전동 커피 그라인더를 사용할 기회가 있었습니다.그 왜.. 손으로 드륵드륵 가는 수동 그라인더 말고 대신 전기모터를 이용해서 한번에 지잉~ 갈아버리… 더보기

새로운 시대, 새로운 과학

댓글 0 | 조회 1,294 | 2019.06.26
호주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는 Y에게서 연락이 왔습니다. 개인적인 일을 자세히 공개 할 수는 없지만 세계 최고 수준의 박사님들과 뇌 관련 질병에 대한 연구를 하고… 더보기

공부의 왕도 1편

댓글 0 | 조회 1,591 | 2019.07.10
- 정리의 기술 -이제 2019년도 학년말 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혹여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에 ‘이제 겨우 7월인데 얼마남지 않았다는 말은 지나친 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