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기 빛 발견하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한 줄기 빛 발견하기

0 개 2,191 NZ코리아포스트
우리는 ‘딜레마’라는 말을 가끔씩 사용하곤 합니다. 이렇게 해도 혹은 저렇게해도 도무지 안될 것 같은 상황들과 마주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 상황은 우리들을 불안하게 만들고 때로는 두렵게 만들기도 합니다.

‘하늘이 꺼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는 속담이 있지만 그 구멍을 찾기까지는 깜깜한 터널속에 갇쳐있는 듯한 답답한 마음뿐일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 조상들의 지혜로운 속담에서도 말해 주듯 사람에게는 탁월한 능력이 있습니다. 실날같이 뚫어져 있는 작은 틈으로 스며드는 환한 빛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저는 회사에서 쌓인 스트레스를 가끔씩 ‘사극’을 보면서 풀곤 합니다. 최근에 “짝패”라는 사극를 보고 있는데 어떤 여인이 진사 나리댁 유모로 들어갔다가 진사댁 아기와 자신의 아기를 바꿔치기 합니다. 그래서 진사택의 아이는 거지로 세상의 삶을 살고 반면에 본인의 아이는 진사택의 아이가 되어 자랍니다.

저는 드라마 작가가 아니라서 알 수는 없지만 시청자의 눈으로 볼때 언젠가는 극중에서 그 실타레를 풀 수 있는 한 계기가 마련됩니다. 즉 거지가 되어 버린 진사댁 아이가 한 줄기 빛을 만나게 되는 것이죠. 그것이 드라마의 묘미이기도 하지만 우리들의 인생에서도 그러한 일들이 종종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사회복지사로서 하는 저의 일은 정신재활를 돕는 역활입니다. 그 일을 하다 한인들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일들을 접하게 됩니다. 특히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본인이나 그 가족들이 때때로 이웃 사람들이나 사회적 시선 때문에 마음의 문을 닫고 사는 것을 종종 발견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힘이 들 때는 가장 안전한 곳을 찾듯이 마치 그분들은 누구도 나의 혹은 내 가족의 정신건강의 어려움 알아차리지 못하는 곳으로 들어 갑니다. 그 곳에 머물면서 누가 그것을 알아차릴 것 같은 낌새라도 느낀다면 더 깊게 파고 들어 갑니다. 이러한 경향은 유명했던 드라마 ‘시크릿 가든’에서 던지는 “이게 최선입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그 분들의 대답일 것입니다. “그게 최선입니다. 현재로는…”

한인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신선은 따갑습니다. “xx놈!” 이라고 칭하기도 하고, “전염병”으로 치부되기도 하고, 나아가 범죄자와 같은 ‘위험한 인물’로 대접 받기도 합니다. 정신건강에 대한 오해와 편견으로 인한 뒤틀린 시각이 한국인의 정서안에 깊숙이 스며있기 때문에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도움을 찾기 보다는 스스로에게 족쇄를 채웁니다.

보이진 않는 강요된 선택인 것이죠. 누가 말은 하지 않았지만 본인과 가족들은 그렇게 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 결과 한국인들은 도움을 청하기 보다 먼저 자신이나 혹은 가족안에서 그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그렇다 보니 가족들과 본인의 정신건강은 종 종 더 악화되는 경우를 허다하게 보게 됩니다.

그러나 제가 믿는 믿음은 늘 한 줄기 빛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을 누구나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선택’입니다. 선택하기 까지의 갈등과 고통은 다양한 빛깔로 그 결과를 드러냅니다.

상상해 보십시오. 여러분들의 어떤 선택으로 인해 여러분의 정신적 고통과 어려움을 감내할 수 있는 길을 발견하게 된다면 혹은 많이 호전되거나 극복하게 된다면 얼마나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는지….

< 황주견 정신재활 사회 복지사 (새움터 모임) >
새움터는 정신건강에 대한 건전한 이해를 위한 홍보와 교육을 하는 단체입니다. 이 단체는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본인 및 가족 그리고 종교 지도자와 건강분야 서비스에서 일을 하고 있는 professionals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신건강에 관한 정보나 교육을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십시오.
황주견 (Dominic Hwang) 021 576 6233 hwang.dominic@gmail.com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내겐 너무 소중한 당신

댓글 0 | 조회 1,911 | 2011.10.12
여러분은 전등불도, 달빛도 없는 깜깜한 밤 시골 길을 걸어 보신적이 있으십니까? 얼마 전 일간지에 실린 한 일본인의 긍정의 시각을 빌려, 어려움 속에서 희망과 긍… 더보기

고슴도치의 고민

댓글 0 | 조회 1,918 | 2017.10.25
“전화 끊어. 나 바빠!”첫 마디가 날카롭다. 평소에 친하게 지냈다고 생각한 친구의 반응이다. 얼른 전화를 끊었다. 마음이 영 편안하지가 않다. 나도 바쁜 데 시… 더보기

사랑하는 사람과의 동침 OR 적과의 동침

댓글 0 | 조회 1,930 | 2013.10.22
여성들은 종종 자신은 적과 동침한다고 한다. 왜 그렇게 사느냐 물으면 남편이 생활비를 주니까, 아이들이 어리니까, 이혼녀가 되는 것이 두려워서, 키워주신 부모님을… 더보기

Anger (화)

댓글 0 | 조회 1,931 | 2012.10.24
“어떤 사람은 화를 슬기롭게 다스려 지혜로운 삶을 살고, 어떤 사람은 화를 어리석게 다뤄 자신과 주변에 큰 상처를 남기기도 한다” - 비벌리… 더보기

새움터의 시작

댓글 0 | 조회 1,950 | 2014.08.13
요즈음 웰빙 바람과 더불어 정신 건강의 중요성에 대해 사람들은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정신 질환에 대한 사회적 거부감은 일상 속에… 더보기

어찌 하오리까 Ⅱ

댓글 0 | 조회 1,965 | 2020.12.22
‘베트남의 호치민, 태국의 치앙마이, 인도네시아의 발리, 체코의 프라하그리고 한국의 제주도’지금이야 코로나로 인해 국내외 여행이 사실상 불가능 해졌지만 나열한 장… 더보기

당신은 웃을때 가장 아름답습니다

댓글 0 | 조회 1,975 | 2012.08.14
<이순구화가의 웃는 얼굴> 웃음은 과학으로 그 효과가 입증되기 이전부터 인류가 공유한 지혜였습니다.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에는 ‘웃음이 보약보다… 더보기

정신 건강 재활이란?

댓글 0 | 조회 1,999 | 2011.07.27
지난 호에 이어 필자는 이번 호에도 할리우드 여배우 캐서린 제타존스 이야기로 시작을 해야겠다. 지난 4월 그녀가 조울증으로 재활센터에 입원한다는 기사가 나왔을 때… 더보기

불안감, 편견없이 그대로 들어주자

댓글 0 | 조회 2,004 | 2014.01.14
2013년 한 해 동안 구글(Google)을 통해 검색된 증상 빈도수를 보면 임신, 독감, 당뇨에 이어 불안 증세에 대한 검색이 네 번째로 높다고 합니다. 사람은… 더보기

정신 건강 대상자란?

댓글 0 | 조회 2,005 | 2011.07.12
필자가 지난 번 한국에 갔을 때, 정신건강 관련분야에서 일하는 내게 주어지는 많은 질문 중 대부분은 필자가 “과연 어떤 사람들과 일하는 것이냐”라는 것이다. 필자… 더보기

갈등을 기회로 만드는 지혜

댓글 0 | 조회 2,014 | 2014.07.08
갈등은 건강한 관계 형성의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살아 가면서 어떠한 경우에도 나 아닌 남과 모든면에서의 완벽한 합의나 일치를 기대하는 것은 어쩌면… 더보기

정신 건강 재활 이야기

댓글 0 | 조회 2,021 | 2011.08.10
지난 호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할 뿐이다. 그 중 많은 분들이 정신재활의 뜻은 알고 동의는 하겠는데 과연 그것이 가능할까라는 의구심을 표현해 주시는… 더보기

방금 뭐라고 했지?

댓글 0 | 조회 2,050 | 2020.03.24
술을 주제로 이야기를 시작한다면 아마도 남자들 군대 이야기 못지 않게 할 말이 많을 것이다. 술의 역사는 꽤차지 않았더라도 한국인은 술을 좋아하고 술에 대해 여전… 더보기

다 너 잘돼라고 그러는 거야

댓글 0 | 조회 2,076 | 2014.09.24
2009년 오바마 대통령은 여러 차례에 걸쳐 한국식 교육을 칭찬했습니다. 세계 최강국이라고 자부하는 미국이 학교교육에서 만큼은 한국을 벤치마킹해야 한다고 강조한 … 더보기

판도라의 상자

댓글 0 | 조회 2,081 | 2020.09.09
20대의 끝자락에 유럽여행을 계획하며 가장 먼저 방문해 보고 싶었던 곳이 바로 그리스였다. 그리고 마침내 그 유명한 올림푸스 산의 신전을 두 눈으로 직접 보는 순… 더보기

마음의 감기

댓글 0 | 조회 2,098 | 2011.05.24
친구에게 ‘마음의 감기’가 찾아왔다. 그녀는 새삼스레 뉴질랜드에서의 삶을 몹시 힘겨워하며 “잠을 잘 못 자” “식욕이 없어” “그냥 우울해” 라고 자기의 고통을 … 더보기

저 사람은 앵거 메니지먼트가 필요해?

댓글 0 | 조회 2,110 | 2011.08.24
이번 호에서는 필자가 평소 일선에서 느꼈던 이야기를 마지막으로 그 동안 변변치 않은 제 글을 읽어 주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한다. 일선에서 일을 하다… 더보기

정신 병리와 WRAP

댓글 0 | 조회 2,126 | 2011.11.23
정신 병리란 정신 질환에서 흔히 관찰되는 병적인 정신 현상, 즉 비정상적인 사고, 감정, 의식, 지각 따위를 말합니다. 여기에서 비정상적이라는 것은, 여러 가지의… 더보기

몸과 마음을 사랑해야 할 때

댓글 0 | 조회 2,127 | 2011.04.27
가족이 ‘운명공동체’라는 생각은 한국인들이 즐겨 쓰는 “우리가 남이냐?”라는 말로 대변됩니다. 이 말은 술자리에서뿐만 아니라 어느 조직에서나 널리 쓰이는 한국인들… 더보기

정신질환에 대한 일반인의 편견

댓글 0 | 조회 2,137 | 2011.11.09
정신 질환만큼 사회의 편견이 심한 질환도 드물며 이러한 편견은 정신 질환자를 사회로부터 격리시키고, 재활을 막는 두터운 장벽이 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더보기

건강한 분노

댓글 0 | 조회 2,146 | 2014.05.14
세월호 참사의 소식을 들으며 슬픔과 분노, 자괴감과 무기력함 등 만감이 교차하는 것은 분명 저 뿐만은 아닐 것입니다. 이 참사의 뒤에 숨겨진 각종 개인적, 구조적… 더보기

우리는 희망입니다

댓글 0 | 조회 2,187 | 2013.12.24

현재 한 줄기 빛 발견하기

댓글 0 | 조회 2,192 | 2011.03.22
우리는 ‘딜레마’라는 말을 가끔씩 사용하곤 합니다. 이렇게 해도 혹은 저렇게해도 도무지 안될 것 같은 상황들과 마주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 상황은 우리들을 불안… 더보기

치매 (Ⅱ)

댓글 0 | 조회 2,199 | 2012.12.24
치매는 오랜기간 동안의 치료와 간병을 필요로 하기에 본인은 물론 그 가족들을 상당히 힘들게 합니다. 뉴질랜드의 치매 연구 자료에 따르면 치매 환자 부양 가족은 다… 더보기

아이 캔 스피크(I Can Speak)’, 감동이다

댓글 0 | 조회 2,215 | 2017.12.06
♥ 정 인화의 민낯 보이기“아이 캔 스피크 봤어?”“아니. 왜?”“꼭 봐. 진짜 감동이야.”같은 동네에 사는 한국 사람한테 영화‘아이 캔 스피크’을 봤다고 얘기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