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을 줄여 먹자! (절음식설:節飮食說)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음식을 줄여 먹자! (절음식설:節飮食說)

0 개 3,893 NZ코리아포스트
현대인들은 먹을거리가 풍부하고 너무 많아 넘친다. 마켓에 잘 정리된 식재료가 어느 요리도 가능하게 한다. 절제하지 않고 의식없이 먹다가는 비만해 지고 성인병을 불러온다. 음식을 앞에 두고 그 유혹을 넘기기란 쉽지 않다.

옛적에는 보리 쌀 넣은 밥을 밥 그릇 위로 수북이 올라오도록 담아 반찬 몇 가지로 먹으면서 ‘사람은 밥 힘으로 산다’고 하면서 밥을 꾹꾹 눌러주며 많이 먹으라고 하던 옛 시골 어른들의 모습도 생각난다. 그래서 일 많이 하고 칼로리가 적은 음식 덕에 비만하지 않고 대체로 건강하게 지낸 것 같다.

요즘은 칼로리와 지방이 넘쳐 나고 영양을 과잉 섭취한 반면 운동이 부족하여 허리가 굵어지고 각 장기에 무리를 주어서 단명해 지는 추세이다.

식사 후 최소한 1시간 이상은 몸을 움직이고 산책하고 운동해야 하는데 운동하기 싫은 사람은 TV 앞에 앉아 있거나 덜렁 드러눕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복부 비만을 가져오고 몸이 무거워지고 심각해진다.

이런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다이어트, 웰빙, 슬로 라이프와 같은 자연친화적인 삶을 강조하는 사회적인 의식이 높아졌다. 다이어트라는 말은 옛말로 표현하면 절식(節食) 즉 음식 조절이다.

안대회씨가 쓴 <선비답게 산다는 것> 책에서는 절식의 의미는 먹을거리가 있는데도 조절하는 것이다. 양생법(養生法)에서도 늘 먹는 것을 경계했다. 도가의 양생법을 정리한 책으로 조선 선비들 사이에서 널리 읽혀진《준생팔전 遵生八箋》이란 책을 보면 “도에 넘치게 굶주리거나 포식하면 비장(脾臟)을 상하게 한다”고 하여 도를 넘는 과식이나 절식(絶食)을 경계했다. 또 “날마다 경계할 것은 저녁에 포식하지 않는 것(一日之忌 暮無飽食)”이라고 하여 저녁에 포식하는 것을 특히 금기시했다.

옛사람이라고 음식을 앞에 두고 참기 쉬울 리 없었을 것이다. 송대의 문인 소동파(蘇東坡)는 <음식을 줄여 먹자 - 節飮食說>는 글에서 “나는 오늘부터 하루 동안 먹고 마시는 양을 술 한 잔 고기 한 조각으로 그칠 것이다. 귀한 손님이 있어 상을 더 차려야 한다 해도 그보다 세 배 이상은 넘지 않을 것이다. 그보다 덜할 수는 있어도 더할 수는 없다. 나를 초청한 사람이 있을 때에는 미리 이 다짐을 알려준다. 주인이 따르지 않고 더 권하더라도 그 이상은 먹지 않는다. 그렇게 하면 첫째 분수에 맞으니 복이 길러질 것이요, 둘째 위가 넉넉하니 기운이 길러 질 것이요, 셋째 비용이 절약되니 재산이 늘어 날 것이다. 원풍 6년 8월 27일에 쓴다.”라고 했다.

소동파 같은 문화인이 먹는 문제를 두고 크게 고민하는 모습이 보인다. 그는 술 한 잔, 고기 한 조각으로 식사량을 제한해 분수를 지키고, 위에 부담을 주지 않으며, 음식비도 줄여 가려는 습관을 생활신조 삼으려 했다. 그는 또 <네 가지 조심할 일 - 書四戒>이라는 잠언에서도 자신의 생활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수레나 가마를 타는 것은 다리가 약해질 조짐이고
골방이나 다락방은 감기 걸리기 십상이다.
어여쁜 여인은 건강을 헤치는 도끼이고
맛난 음식은 창자를 썩게 하는 독약이다.

맛있는 음식은 창자를 썩게 하는 독약이므로 적절하게 먹어야 한다고 했다. 천 년전 문화인의 생활 방법이 현재 우리의 식 생활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순조 연간의 저명한 시인 이양연(李亮淵)이 지은《절식패명 (節食牌銘)》에는

적당히 먹으면 편안하고 適喫則安
지나치게 먹으면 편치 않다. 過喫則否
의젓한 너 천군이여! 儼爾天君
입의 유혹에 넘어가지 말라! 無爲口誘

天君은 마음을 비유한 말이다. 식구들이 모여 함께 밥을 먹을 때마다 한 사람이 이 팻말을 두드리고 거기 적힌 글을 소리 내어 읽음으로써 사람들에게 과식하지 말 것을 경계했다고 한다.

많은 선비들은 건강과 섭생의 문제로 절식을 권유했다

지금처럼 음식이 넘쳐나는 때가 또 있을까? 가정이나 각종 모임과 회식에서 과식의 유혹과 절제가 나의 건강과 행복을 좌우한다.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는다고 하지 않는가? 지금부터라도 음식을 적게 먹는 습관을 생활화해야 하지 않을까?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술을 과하게 마시지 말자!

댓글 0 | 조회 2,927 | 2011.11.10
뉴질랜드는 와인의 나라로 술이 풍요롭다. 모임이나 식사 자리에는 언제나 와인이 함께 한다. 인류에게 술이 없었다면 역사는 면면히 발전하지 못했을 것이다. 술이 사… 더보기

새로 시작하는 마음!

댓글 1 | 조회 2,469 | 2011.10.27
어떤 사람이 얼음이 꽁꽁 언 매서운 겨울 날 한강을 소와 함께 건너가는데 중간 쯤 오니 얕은 얼음이 있고 얼음 갈라지는 소리가 나고 해서 두려움의 공포에 자신도 … 더보기

세상에서 제일 큰 그릇!

댓글 2 | 조회 2,968 | 2011.09.28
왕이 아침에 궁 밖으로 산책을 나갔다가 거지를 만나게 되었다. 왕이 거지에게 물었다. “그대가 원하는 게 무엇인가?” 거지가 낄낄거리며 말했다. “내 소원을 다 … 더보기

약속 시간에..........!

댓글 0 | 조회 2,903 | 2011.09.14
많은 만남은 약속으로 이루어진다. 장소와 시간을 정하고 준비해서 출발하고 도착해서 먼저 기다리기도 하고 늦어지기도 한다. 많은 사람들과 약속을 하다 보면 어떤 사… 더보기

친절 합시다!

댓글 0 | 조회 2,538 | 2011.08.24
이번 한국 방문 때 어느 내과병원을 찾아갔다. 그 병원은 의사의 실력과 명성이 높아 환자들이 많아 줄을 서고 대기 시간이 길었다. 예약 없이 접수하면 보통 2시간… 더보기

달려가고 싶은 친구가 있는가?

댓글 0 | 조회 2,739 | 2011.08.10
뉴질랜드는 언제 비가 그치고 추위가 물러날까?8월이 지나고 9월도 지나고 10월 초 순이면 장마와 추위가 우리 곁을 완전히 떠나고 뉴질랜드의 맑고 화창한 날씨가 … 더보기

자신의 자리가 불안하다!

댓글 0 | 조회 2,699 | 2011.07.27
당 나라 백낙천은 시인이자 정치가이다. 그는 학문과 경륜이 뛰어나고 관직도 승승장구하여 높은 벼슬에 이르렀다. 또한 자신의 우월감과 엘리트 의식이 강한 사람으로 … 더보기

이성계와 무학대사

댓글 0 | 조회 3,056 | 2011.07.13
우리는 어떤 일을 계획하고 시작할 때 자신의 신념과 경험으로 추진한다. 그리고 그런 일이 의문스럽고 불확실할 때 주변의 조언을 구하고 자문을 얻는다. 어떤 사람을… 더보기

최선을 다하는 이성계와 오백 나한

댓글 0 | 조회 3,319 | 2011.06.29
뉴질랜드의 날씨는 이제 춥고 습도 많은 우기 철에 접어들었다. 아침저녁으로는 벽난로를 피우고 낮에는 옷들을 하나씩 더 입어야 하는 계절이다. 외출 보다는 집안에 … 더보기

감사와 은혜!

댓글 0 | 조회 3,194 | 2011.06.15
사람들은 일상에서 여유와 기쁨과 만족보다 불만과 바램과 이기적으로 살아가는 경향이 더 많다. 그래서 자기중심적으로 살며 자신의 주장과 기준으로 디자인하며 행복과 … 더보기

5월 가정의 달을 보내며!

댓글 0 | 조회 2,863 | 2011.05.24
서울 청와대 옆에 효자동이라고 하는 동네가 있다.이 동네를 효자동이라고 부르게 된 데는 유래가 있다. 어떤 할아버지가 외출하고 돌아와서 실수로 손자가 이불 밑에 … 더보기

부처님 오신날과 법당 건립을 준비하면서!

댓글 0 | 조회 3,589 | 2011.05.11
이 곳 뉴질랜드 남국정사에 온지 만 7년이 넘고 5개월이 지났다.절도 스님도 없는 이 곳에 17년전 신도들의 마음으로 한국불교인회를 결성하여 운영 발전해 오면서 … 더보기

부처님 탄생의 의미

댓글 0 | 조회 4,183 | 2011.04.28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존재는 누구인가? 불교에서는 ‘바로 나’라고 한다.부처님이 이 땅에 오셔서 어떤 발자취를 남기고 가셨는지 그 역사적 의미를 짚기란 쉽지 않다… 더보기

세 개의 눈을 갖춘 한인 지도자!

댓글 1 | 조회 3,197 | 2011.04.13
뉴질랜드의 3, 4월은 일 년 중 가장 좋은 계절인 것 같다. 춥지도 덮지도 않는 날이고 가을에 해당하는 계절이다. 밤과 감이 익어가고 각종 과일을 수확하는 철이… 더보기

자연 재해로 인간이 지구에서 사라진다면!

댓글 0 | 조회 6,718 | 2011.03.26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의 규모 6.3 지진으로 수많은 희생자와 건물 파괴로 정부는 비상사태로 정신을 차리지도 못했는데 이번에는 일본 북동부 지역이 규모 9.0의 … 더보기

행복한 언어

댓글 0 | 조회 3,281 | 2011.03.09
많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나누는 대화는 늘 기대와 희망을 갖게한다.만나서 즐겁고 유익한 사람이 있는가 하면 만나서 더 실망하고 멀어지는 사람도 있고 내가 사랑과 관… 더보기

부부의 하모니!

댓글 0 | 조회 2,963 | 2011.02.23
뉴질랜드에 이민 오신 교민 분들 동기는 여러 가지로 많다. 그 중에는 자녀 교육이 가장 많은 것 같고, 살기 좋은 환경이 좋아 이상을 꿈꾸며 부부가 온 경우도 많… 더보기

마음의 방사선!

댓글 0 | 조회 3,160 | 2011.01.26
마음의 방사선이란 분산되어 있는 마음을 집중하여 레이저를 쏘는 것처럼 암 세포를 생각하며 암 세포가 죽어 가는 것을 강력하게 명상하는 방법이다.1년 전 어느 신도… 더보기

한해의 감사 고맙습니다!

댓글 0 | 조회 3,321 | 2010.12.08
마지막 남은 잎새처럼 금년 한해도 이제 한 장의 달력 만 남기고 있다.시작하는 1월에는 언제 12월까지 가나 멀게만 느껴졌는데 12월을 두고 가는 해 오는 해를 … 더보기

순간 순간의 행복

댓글 0 | 조회 3,269 | 2010.12.02
인생의 긴 여정은 순간순간들이 모여 이루어진다. 그 순간들이 아름다우면 현재도 과거도 미래도 행복하다. 순간순간들이 의미 없다면 지금도 어제도 내일도 무의미 해진… 더보기

사랑과 나눔, 배려

댓글 0 | 조회 3,119 | 2010.11.10
요즘 교민 사회의 개인과 이웃, 단체와 단체 간에 사랑과 나눔 그리고 배려가 부족하여 서로 베풀고 포용하지 못해 반목하고 마이 웨이로 가는 갈등을 표출하고 있어 … 더보기

녹차를 마시자!

댓글 0 | 조회 3,609 | 2010.10.28
뉴질랜드에 와서 카페에서 모임을 하다보면 먼저 차를 마시는 경우가 많다. 이곳은 영국의 문화가 많은 키위 사회인데도 홍차보다는 커피를 선호한다. 커피도 맛있고 향… 더보기

아름다운 사회!

댓글 0 | 조회 2,800 | 2010.10.13
삶의 현장에는 언제나 도전과 응전이 있고, 선악이 있고, 너와 나, 기쁨과 슬픔, 멀고 가까움이 있다. 그 속에서 행복한 삶과 아름다운 인생을 걱정 없이 살아가려… 더보기

내가 먼저 변해야 성공한다

댓글 1 | 조회 3,941 | 2010.09.29
세상이 자기 뜻대로 잘 되지 않을 때 자신의 생각대로 잘 풀리지 않을 때 고정 관념에 사로 잡혀 있으면 상대를 움직이게 할 수 없고 성공 할 수 없다. 그렇다고 … 더보기

인생이란 무엇인가?

댓글 0 | 조회 3,580 | 2010.09.15
어떤 국왕이 국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학자들에게 “인생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연구하라고 국정과제를 주었다.각 분야에서 선발 된 수십 명의 저명한 학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