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국정사에 와서....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남국정사에 와서....

0 개 2,495 동진스님
환경, 생명, 평화가 살아 숨 쉬는 이곳 뉴질랜드는 맑고 깨끗한 나라이다.

천혜의 자연 보국으로 지구상에 남지 않은 몇 안 되는 환경 국가이다.  

사람을 비롯한 동·식물의 모든 생명체들은 생명의 존엄과 자유를 마음껏 누릴 수 있도록 환경적으로 제도적으로 보장된 나라이다.
 
이 곳의 한국 교회는 약 150여 곳이 되고 한국 사찰은 오클랜드에 2곳 크라이스트처치에 1곳으로 열세에 놓여 있다. 남국정사는 1994년 신도들에 의하여 오클랜드에 세워진 최초의 사찰이다. 
 
내가 2003년 10월 오클랜드에 있는 남국정사에 왔을 때 이곳은 신도들이 모든 것을 운영하고 있었다. 스님을 모시려고 해도 제도적으로 경제적으로 어려워 스님들이 6개월, 8개월, 1년, 2년을 살지 못하고 떠나가는 실정이었다. 사찰 운영을 ‘신도 운영 중심제’가 좋다고 하는 신도들과 스님이 중심이 된 ‘스님 운영 중심제’로 전환하자고 하는 신도들과 서로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 온 주지가 설 땅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스님들도 자꾸 떠나가니 신도들도 스님을 의지하고 믿을 수도 없었다. 

남국정사는 이곳 최초의 사찰로써 책임감을 갖고 한인사찰의 역할을 다해야 했으나 내분에 싸여있으니 암담할 수밖에 없었다. 먼저 신도들의 마음을 수습하고자 화합을 제일 덕목으로 하고, 회의와 법회를 통해 그들의 마음을 최대한 존중하고 반영하면서 신뢰를 쌓아 갔다. 
 
이곳에서는 한국처럼 빨리 되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뭐든지 천천히, 조금씩 되어 갔다. 참고 극복하고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했다. 일요법회를 축원법회, 관음법회, 좌선법회, 인등법회, 참회 포살법회로 나누어 신도들의 참여폭을 확대하고 어린이법회를 다시 개설하여 부모와 아이들이 손잡고 절에 나올 수 있는 환경으로 바꾸어 갔다. 

또한 대학생 포교가 시급한 사항으로 대두되어 불자 가정의 청년들을 모아 대학청년법회를 창립하여 그들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고 토론과 신앙을 통해 젊음의 가치를 전하고자 하였다.
 
교민사회에 융화되어 교민들에게 다가가고자 하였으나 종교가 보이지 않는 벽을 만들어 자유롭지 못해 우리의 문화인 다도회를 만들었다. ‘남국다도회’라는 이름으로 박물관 행사, 한인학교, 한인회 행사, 직장 연수에 참여하는 등 종교를 초월한 문화의 만남을 통해 교류가 자유로울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하였다. 초의선사의 <다신전>, <동다송>의 이론수업과 행다를 교육하면서 오클랜드에서 ‘다도=남국정사’라고 하는 문화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 
 
부족한 부분은 중·고등학생회를 창립하는 일이다. 청소년들에게 불심을 심어주고 불교의 문화를 전해줌은 물론 이성의 변화에 따른 인격 형성에 종교적 역할을 해주려고 한다. 그리하여 한 가정의 가족 모두가 일요일 절에 와서 각 분야별로 법회를 볼 수 있는‘토털 법회 시스템’을 완성해 가려고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법회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어린이와 중·고등학생들의 공간인 ‘어린이 법당’을 신축하려고 한다. 
 
그리고 부족한 지도법사와 교재 부분은 계속 보완해 나갈 방법을 찾고 있다.
요즈음은 사찰도 새롭게 신축하고자 설악산 ‘만해마을’과 ‘조계종 국제선센터’를 설계한 국민대학교 교수이자 ‘선(禪) 건축가’인 김개천 교수를 초빙하여 도심사찰의 불교건축에 대한 특강을 듣고 사찰 조감도를 2006년에 의뢰하고 완성하여 점차적으로 신축을 추진해 가려고 준비하고 있다. 많은 스님들과 불자들의 관심과 호응이 필요하다. 
 
해외사찰의 어려움은 해외에 살아본 스님들이 겪는 고통이자 수행이다. 나보다 남을 위해 살고자 하는 마음이 없으면 자기의 만족과 기쁨을 누릴 수 없는 곳이 해외포교의 명암이다. 그래도 내 노력으로 모두가 불법을 만나고 행복을 느낄 수 있다면 그것이 곧 해외포교를 하는 모든 스님들의 기쁨이다.
 

[288] 영정 사진을 찍으며

댓글 0 | 조회 2,912 | 2005.09.28
아직은 아니에요. 10년쯤 후에나 찍으세요” 누군가가 던진 달콤한 위로의 말에 귀에 솔깃했던 순간을 생각하며 씁쓸하게 웃어본다. 어느 포토 샵에서 영정 사진을 찍… 더보기

[275] 언니가 오셨네

댓글 0 | 조회 2,770 | 2005.09.28
요즈음 제법 살맛이 난다. 사람은 더불어 사는 사람이 있을 때 행복하다는 것을 다시금 실감하면서…. 언니가 오셨다. 인생살이가 그렇듯이 한지붕 밑에서 철없을 때 … 더보기

천백만 불의 집!

댓글 0 | 조회 2,508 | 2013.11.27
人生(인생)에 있어서 좋은 친구와 함께 사는 것이 개인의 기쁨이라면, 좋은 이웃과 사는 것은 가족의 행복입니다. 좋은 이웃과 함께 사는 것은 마치 꽃향기 가득한 … 더보기

가난을 팔고 부자 되세요!

댓글 0 | 조회 2,310 | 2013.11.12
사람들은 모두 잘 살려고 한다. 더 많이 얻고, 더 높이 오르고, 더 유명해 지고, 더 행복해 지기 위해서, 여러 가지 삶의 길을 걸어가고 문을 두드린다. 어떤 … 더보기

때론 거북이가 행복하다

댓글 0 | 조회 1,850 | 2013.10.22
현대 문화를 한마디의 말로 표현하라면 속도의 문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특히나 정보화 시대를 지향하는 지금, 속도는 누구에게나 풀어야 할 과제이며 화두로… 더보기

이 세상에서 가장 이기적인 동물 - 인간

댓글 0 | 조회 4,759 | 2013.10.09
우리의 옛날 속담에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라는 말이 있는데 조금 어려운 말로는 감탄고토(甘呑苦吐)라는 사자성어로 쓴다. 우리의 이기적인… 더보기

번뇌와 수행

댓글 0 | 조회 1,984 | 2013.09.24
절에 있다 보면 가끔씩 평일에 예고 없이 찾아오는 손님들이 있게 마련이다. 물론 나와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거나 절에 업무적으로 볼 일이 있어서 찾아오는 경우를 말… 더보기

나는 착한 사람인가?

댓글 1 | 조회 1,982 | 2013.09.11
우리는 살아 가면서 아주 당연하고 자명한 것들을 너무 쉽게 잊어버리거나 무시하고 지내는 경우가 흔하다. 초등학생이나 심지어 유치원 아이들 조차 아무런 이유를 대지… 더보기

절(寺)과 절(拜) 그리고 참회

댓글 0 | 조회 2,022 | 2013.08.27
“절”이라고 하면 두 가지의 의미를 떠올리게 된다. 하나는 불교의 종교적 공간(寺刹)으로서의 그것과 또 하나는 불교의 종교적 행위(拜)로서의… 더보기

보수와 진보 그리고 중도

댓글 0 | 조회 1,826 | 2013.08.14
전 세계적으로 한국처럼 이념의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사회도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군다나 요즘처럼 단순한 이념간의 대결구도를 뛰어 넘어 세대… 더보기

화엄(華嚴)의 세계=우리는 하나다.

댓글 0 | 조회 2,236 | 2013.07.24
한국의 현대사 중 가장 가슴 뜨거웠던 때를 떠올리라면 나이 든 성인들은 대부분 88서울 올림픽 개막식을 첫 번째로 꼽으리라 짐작된다. 숨가쁘게 몰아치던 개발독재와… 더보기

죽음, 그 피할 수 없는 운명

댓글 0 | 조회 1,978 | 2013.07.09
“生也一片浮雲起, 死也一片浮雲滅” “태어남은 한 조각 구름이 일어남이요, 죽음은 한 조각 구름이 사라지는 것이다.” &… 더보기

행복하십니까?

댓글 0 | 조회 2,016 | 2013.06.25
“당신은 행복하십니까?”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당당하게 “예”라고 말 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 우리는 주… 더보기

우리는 정말 깨어 있는가?

댓글 0 | 조회 2,004 | 2013.06.11
절에서 있다 보면 불교를 처음 찾는 예비신도들이나 타종교인들의 방문을 흔히 경험하게 된다. 이때 이들이 가장 흔하게 묻는 질문이 “불교는 간단하게 한마… 더보기

모란과 연꽃의 상징적 의미?

댓글 2 | 조회 11,438 | 2013.05.29
연꽃은 불교에서는 깨달음과 지고지순의 상징을 의미하는 상징적인 꽃이다. 그리고 불교에서는 연꽃과 모란을 대조적인 의미로도 표현한다. 모란은 겉은 화려하지만, 향기… 더보기

세상에 희망을....

댓글 0 | 조회 1,630 | 2013.05.15
불기 2557년 5월 17일 오늘은 우리들의 스승이요 인류의 성자이신 석가모니 부처님이 이 세상에 오신 날입니다. 경건한 신심으로 두 손 모으고 환희로운 마음으로… 더보기

행복의 조건!

댓글 0 | 조회 1,721 | 2013.04.24
행복의 조건 중에 하나가 검소함이다. 지금 훌륭한 집, 좋은 음식, 좋은 옷, 좋은 차에 남부럽지 않은 생활을 한다고 해서 절약하지 않고 함부로 낭비와 허영과 사… 더보기

임자 없는 돈!

댓글 0 | 조회 2,108 | 2013.04.10
세간에 이런 유머가 있습니다. 사랑을 나누며 산 사람은 금메달, 사랑을 받으며 산 사람은 은메달, 사랑을 기다리며 산 사람은 동메달, 사랑을 잊어버리며 산 사람은… 더보기

인생에 시작점은 어디일까?

댓글 0 | 조회 1,732 | 2013.03.27
인간은 세상을 살면서 언제나 시작점에 서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본다. 봄을 맞이한 자연은 각각의 역량에 의해 물오름이 다르다. 먼 산에 아지랑이 피는 봄날을 … 더보기

권력을 다 사용 하지 말라!

댓글 0 | 조회 2,637 | 2013.03.12
불완전한 세상을 사는 지혜로 법연사계(法演四戒:법연 선사의 네 가지 경책)가 있다. 1. 세불가사진 (歲不可使盡) 권력을 다 쓰지 말라. 2. 복불가수진 (福不可… 더보기

기도의 응답

댓글 0 | 조회 2,181 | 2013.02.26
지금은 돌아가셨지만 울산 동광병원의 이사장으로 있던 박영철 선생을 아들로 둔 김보운화(金寶雲華)라는 불자님이 계셨습니다. 불교에 대한 믿음이 독실하였던 보운화불자… 더보기

이제 내려 놓읍시다

댓글 0 | 조회 2,043 | 2013.02.13
매미소리에 꽃들은 피어나고 그 빛깔과 향기는 바람을 타고 온갖 생명들에게 뜨겁게 전해지는 성하의 계절이다. 일조량이 많음으로 해서 동식물의 발육과 성숙도는 높아진… 더보기

돼지, 토끼, 양띠 생들은 주의 하세요! 3가지 재앙, 삼재(三災)

댓글 0 | 조회 17,450 | 2013.01.31
삼재(三災)란 계절에 비유하면 혹한기(酷寒期)로 만물의 성장이 위축 되고 정지 상태와 같아서 활동이 부자연스럽고 잘못하면 사고가 많이 일어나는 기간입니다. 부(富… 더보기

겸손합시다!

댓글 0 | 조회 1,733 | 2013.01.15
이제 2013년 계사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자연은 온통 신록이 무성하고 온갖 꽃들은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내며 향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날씨는 온화하고 섬머 매미 … 더보기

부자되는 비결

댓글 0 | 조회 3,698 | 2012.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