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음이 흘리고 간 낭만을 줍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젊음이 흘리고 간 낭만을 줍다

0 개 3,461 NZ코리아포스트
감색 양복에 황금빛으로 번쩍이는 단추와 띠 장식이며. 거기에 검은차양에 흰 모자까지.... 그 날은 퀸스트리트 거리가. 그들의 멋진 정복의 물결로 그 어느 때 보다 색다르게 화려해서 눈이 즐거웠다.

3박 4일간의 공식 일정을 거의 다 마무리하고 마지막 출항시간까지 느긋하게 city 구경을 나온. 우리 ‘해군순항훈련전단’의 학생들, 낯선사람들 속에서 늘 이방인으로 섞여 살다가 삼삼오오 거리를 누비는 당당한 내 조국의 젊은이들 때문에 자랑스러움으로 가슴이 설레었다.

내 피붙이를 함께하는 기분으로 그들 뒤를 따르니 태극기를 펄럭이며 퀸즈항에 정박 해 있는 ‘양만춘’함에 이르렀다. 최첨단의 시설로 만들어졌다는 함내를 경이로움으로 맞이하며 그 배를 타고 왔을 여학생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었지만 그 기대는 접어야만했다.

6.25 때 참전을 했을만큼 육군에는 여군의 간호장교가 진작에 있었다. 또한 굉장한 미모의 ‘김경오’대위가 창공을 가르는 공군의 파일럿으로 우리들 사춘기 때 소녀들의 가슴을 흥분으로 유혹하기도 했었지만 유독 해군에서 여성이 배를 탔다는 이야기는 들어 본적이 없었다. 특별히 탈렌트 ‘강ㅇㅇ’씨가 함내 구경을 하고 돌아간 날 항해하던 함정에 기관고장이 났다던가... 여성을 터부했던 때의 미신같은 이야기가 먼 옛날 이야기가 아닌데 세상 참 많이 변해서 이젠 ‘육해공’ 삼사관학교가 여성에게도 활짝 문이 열려있질 않은가 이 시대에 살고있는 젊은 여성들이 너무나 부럽다.

1999년도 10년 선배들이 다녀갔을 때 교민지에 기고했던 카피를 전해주며 우리 교민들이 당신들을 이렇게 뜨겁게 환영한다고 했더니 대단한 기념품이라며 기쁘게 받아주었다.

이제 두어시간 후면 떠날 그들을 오래오래 기억속에 잡아두려고 아쉬움을 서성거릴 때. 작은 쇼핑백을 들고 돌아오는 네 명 한 팀과 마주쳤다. 다급한 마음으로 그들을 불러세운건 손주들을 대하는 순수한 할머니의 마음 “시간되면 뉴질랜드 커피 한잔 마시고 가요...” 훌륭한 제복의 장정들 네명을 거느리고 까페에 들어서니 모든 시선들이 우리쪽으로 모아졌다. 자랑스러운 내 조국의 청년들 앞에서 나도 모르게 허리가 꼿꼿 해 지고 당찬 자부심으로 우쭐 해 졌다.

사발같은 큼직한 볼에 넘치도록 가득한 커피를 받아들고 모두들 어이없어 하는 표정이 너무 재미있다. 궁굼한 것을 많이 묻고 싶었는데 뉴질랜드가 더 알고 싶은 그들이었다. 시내를 조금만 벗어나면 지천으로 널린 푸른 초원에 양떼가 뛰노는 곳이 여기라니까 모두가 선망의 눈빛으로 반짝였다. 미래의 해군 장교들 앞에서 뉴질랜드를 말 하려니 부족한게 많았지만 참 뿌듯했다.

내 옆에서 커피가 너무 진하다며 연신 설탕봉지를 뜯고있던 청년이 어제 공개 행사장에서 태권도의 마지막 꽃이기도 한 사과격파의 장본인이라고 해서 놀랍고 더욱 반가웠다. 눈을 가리고 세상이 떠나가게 큰 소리로 “얍” 기합을 넣던 그 기상은 어디 숨기었나? 아주 조그맣게 얌전한 글씨로 조심스럽게 이름을 쓰며 수줍게 소년처럼 웃던 모습에서 어제의 용맹스러움은 찾아낼 수가 없었다. “우리 학생들은 기본으로 태권도를 합니다” 겸손한 말투와 목소리가 어린 ‘최종현’ 생도였다.

나는 열혈 청년들 속에서 잠시 청춘을 되살려 낭만을 즐기고. 그들은 고국의 혈육을 만난 기분으로 향수를 달랠 것이다.

조국의 바다를 책임질 미래의 청년장교들. 외국에 살면서 외롭지 않느냐고 물어주는 자상함이 꼭 내 피붙이 같아 몹시 정스러웠다. 또 다시 만날 수 없는 사람들이지만 오래오래 추억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랄 뿐이다.

헤어지는 교차로에서 손을 내밀었더니 누군가가 덥석 내 품으로 안겨 들었다. 다음 또 다음 다음 네 사람 모두를 뜨겁게 포옹 해 주며 아쉬운 작별을 했다. 멀리 사라지면서 자꾸 뒤돌아보며 손을 흔들어 주던 그들을 남기고 먼저 그 자리를 떠날수가 없었다. 그들이 나를 잊더라도 나는 오래도록 기억 해 둘 것이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복 외교 2013년 7월 13일

댓글 0 | 조회 1,941 | 2013.07.24
잔치 전날과 소풍가는 전날엔 으례 설렘이 따른다. 우리에겐 공연 있는 전 날이 잔칫날을 앞둔 설렘으로 잠을 설치게 마련이다. 하지만 몽롱한 정신을 가다듬고 오늘 … 더보기

포화(砲火) 속에서 찾은 즐거운 추억

댓글 0 | 조회 1,657 | 2013.06.25
6.25전쟁. 한창 봉오리진 내 아름다운 사춘기의 꿈을 몽땅 짓밟아 놓은 어둠의 세월. 피난민으로 정처없던 혼란속에서 사랑하는 동생의 죽음을 맞아야했던 처절한 슬… 더보기

‘피죠아’의 계절에

댓글 0 | 조회 2,620 | 2013.05.28
머리 다듬기를 관심마져 져버린듯 ‘미용실’ 가기까지 꽤나 망서려지는 게으름. 그 과정의 시간들. 기다리는 무료함이 짜증나서 늘 모자속에 가두…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노르웨이) 2편

댓글 1 | 조회 2,060 | 2013.04.24
그동안 가방 차지만 하던 두툼한 파카가 드디어 빛을 보는 날이다. 세계에서 가장 크고 오래 되었다는빙원의 한 자락에 섰을 때. 그 하염없이 펼쳐진 옥색의 빙하를 …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노르웨이) 1편

댓글 0 | 조회 1,977 | 2013.03.27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노르웨이 오슬로’까지 밤새 북쪽으로 올라 간 페리(D. F. D. S WAYS)에서 아침을 먹고 …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 (덴마크) 편

댓글 0 | 조회 1,773 | 2013.02.27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네 나라가 서로 자신의 나라가 …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 (스웨덴)편

댓글 0 | 조회 2,578 | 2013.01.31
실야라인(silja line) 크루즈의 선상 뷔페식사 분위기가 더 없이 푸근하고 즐거워 피곤한 여정에 달콤한 활력소가 되어 주었다. 낯선 음식을 맘껏 두루 맛보는…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핀란드)편

댓글 0 | 조회 1,916 | 2012.12.21
‘러시아’를 떠난 고속철이 질펀히 깔린 밀밭 사이를 힘차게 달린다. 어디쯤 국경이 있었을텐데 친구와 밀린 수다 좀 떨다보니 벌써 &lsquo…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 러시아(상트 페테르 부르크)편

댓글 0 | 조회 2,065 | 2012.11.27
모스크바에서 항공편으로 한 시간 반쯤. ‘상트 페테르 부르크’에 도착했다. 1703년 ‘표트르’ 대제에 의해 지어진 이…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 러시아(모스크바) 편

댓글 0 | 조회 1,929 | 2012.10.25
나이를 먹어가면서 자신감은 없어지고 의욕이 있어도 매사에 겁부터 앞서는걸 깨닫는다. 여행계획을 세운지 삼년만의 긴 우여곡절 끝에 지난 7월 어느날. 인천공항에서 … 더보기

미나리, 미나리 강회

댓글 1 | 조회 2,469 | 2012.09.25
지겹도록 비가 내려 지루하기만 하던 한 겨울. 그래도 그 비 덕분일까? 통통하게 살이 오른 원 줄기에 마냥 나긋하게 자란 미나리를 만나니 반갑다. 그 것을 보는 … 더보기

여자는 예뻐지고 싶다

댓글 0 | 조회 2,651 | 2012.08.28
몸에 탄력을 잃으니 윤끼도 사라지고. 머리카락도 변변찮아 매만져봐야 그렇고 그런 모양새. 미용실 가야할 의욕도 잃은지 오래되었다. 어느날 오래 벼르던 끝에 찾아간… 더보기

마지막 건배

댓글 0 | 조회 2,268 | 2012.06.27
‘술에 너그러운 문화, 범죄 키우는 한국’ 하루 600만명이 맥주, 소주 1800만병을 마신다는 한국의 요즘. 삶이 고달퍼 마시고 취해서 잊… 더보기

어느 이민 남자의 비애

댓글 0 | 조회 3,909 | 2012.05.22
불황의 수렁은 하염없이 깊어만 가는가? 주변에서 한국으로 돌아가는 교민들 이야기가 끊임없이 들려온다. 신천지를 찾아 보따리를 끌고 꿈에 부풀어왔던 사람들의 돌아가… 더보기

그러시면 안돼죠

댓글 0 | 조회 2,365 | 2012.04.26
“엄마, 이모한테 전화 좀 드려보세요.” 언제나 장난끼 넘치는 응석조로 전화 해 오던 한국의 딸아이 목소리가 오늘은 영 아니었다. (무슨일이… 더보기

그날, 버니(Burnie)에서

댓글 0 | 조회 2,478 | 2012.03.28
크루즈 중에 배에서 내리는 날은 언제나 바쁘다. ‘타스마니아’는 ‘오스트레일리아’ 땅이긴 하지만 육지 밑으로 외떨어진 … 더보기

‘시드니’ 그리고 ‘다이아나’

댓글 1 | 조회 2,725 | 2012.02.29
잠에서 깨일 때마다 이층침대 머리맡 창밖을 내다보면 시커먼 바다. 그 검푸른 물결을 가르고 하얗게 부서지는 포말속을 달리기만 하는 배. 항상 늦잠이 달아 잠뽀인 … 더보기

Happy new year

댓글 0 | 조회 2,561 | 2012.01.31
2012년. 첫날 새 아침. 현관문을 열고 나서려는데 기다렸다는 듯 반갑게 들려오는 낯익은 목소리. “happy new year_” 언제나처… 더보기

12월의 노래

댓글 0 | 조회 2,770 | 2011.12.23
‘하늘을 쳐다보며 사-뿐 귀에다 손을 대보라 구름이 방긋 웃는 소리 고요하게 들린다.’ 밝고 맑은 꿈을 꾸던 어린시절. 푸른풀밭에 누워 드넓… 더보기

호박잎에 싸 보내는 할머니 마음

댓글 1 | 조회 2,864 | 2011.11.23
얼마 전 점심초대를 받아 어느 식당에 갔었다. 한식에 맞는 깔끔한 기본반찬 서너가지와 작은 뚝배기에 걸죽한 강된장이 함께 식탁에 올라왔다. 웬 강된장? 그것을 보… 더보기

그 벗꽃 길, 그리움이 있다

댓글 0 | 조회 2,835 | 2011.10.27
엊그제만 해도 죽은듯이 다소곳하던 헐벗은 벗 나무에 뽀오얀 꽃봉오리들이 툭툭 터져 화사한 꽃을 피워 웃고 있다. 아직은 어려 가녀린 몸매지만 버겁도록 무겁게 꽃짐… 더보기

아름다운 고별

댓글 1 | 조회 3,392 | 2011.09.27
옆집 할머니 ‘엘리자벳’이 갑자기 돌아가셨다."일년 중에 더도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우리들의 추석날. 명절다운 분위기로 조촐하게 잔치가 벌어진 작은… 더보기

‘포우투카와’ 꽃잎 날리던 교정

댓글 0 | 조회 2,847 | 2011.08.24
우리가 살아가면서. 지난 일들 가운데 보람있었던 시간들을 추억하는 것처럼 행복한 일은 없을 것이다. 여러가지 자기 하는 일에 성취감이 곧 보람이겠지만 무엇보다 순… 더보기

차 사랑 할아버지

댓글 0 | 조회 2,848 | 2011.07.26
‘허버트’ 노인이 또 차를 바꿨다. 방궤같이 앙징스럽고 예쁜 신 차다. 그는 언제나 같은 스타일의 차들만 타는 취향임이 틀림없다. 주인을 닮은듯한 아담한 모양이 … 더보기

그 남자의 6. 25

댓글 0 | 조회 3,293 | 2011.06.28
시니어클럽 ‘무지개’에 나오시는 분들 가운데 남자 세 분이 참전용사였음을 이번에 알게 되면서 그 타고나신 천운(天運)이 새삼스럽게 놀랍고 부러웠다. 6. 25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