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밭에 심기운 꽃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마음밭에 심기운 꽃

0 개 3,078 NZ 코리아포스트
산자와 죽은자가 함께 동거한다는 부산의 어느 언덕바지, 일제 강점기 때 묘소였던 자리라던가, 그런 그대로 옹기 종기 집들이 생기고 동네가 되었다. 작은 뜰 한 귀퉁이에 거의 뭉그러졌지만 불룩한 봉분이 그대로. 어느 집은 뒷곁에도 있고. 집 들어가는 문 옆에도 있다. 그런 것 아랑곳 않는 듯 덕지덕지 누더기로 된 판자문이며 집다운 집보다는 되는 대로 형편대로 지어진 집들이 좁은 골목을 내놓고 어깨를 맞대고 살아간다. 무게에 눌려 갈아 앉을 듯한 큼직한 물탱크가 지붕에 얹혀진 집도 있는걸 보면 수돗물 사정이 여의치 않다는 표시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집집마다 거의 작은 화분들을 곳곳에 놓아 놓은걸 보면 저절로 미소가 어리고 싱그러운 삶의 흔적을 보는 것 같아 흐뭇하다. 집과 집사이 골목길 지붕 한평도 안 되는 공간에 비닐로 싸서 만든 온실에도 꽃들이 화사하게 웃고 있다. 이웃이 한덩어리로 정스럽게 살아가는 모습이 감동스럽다, 꽃은 어디서 보아도 아름답다. 허지만 한뼘의 뜰이 없어도 그들의 마음밭에 가꾼 꽃이기에 더욱 아름답게 보인 것일까? 이젠 너무들 잘 살아서 고층 아파트에 고급 빌라에 불편한 것 없이 가지고 살지만 문 꼭꼭 닫고 마음의 빗장도 단단히 걸어놓고 살아가니 이웃간에 인정이란 걸 잊고 사는지가 오래다, 동네 마당에 커다란 양은솥 걸어놓고 동지팥죽 쑤어서 모두가 함께 나눠 먹는 한 가족같은 이웃들. 오순도순 골목길에 나앉아 담소하는 모습도 이곳 사람들만의 진풍경이다, 아직도 이런 동네가 있다니. . .

인생 살면서 누구나 한번쯤 어려운 시기가 있게 마련인지? 한때 그 비슷한 동네에서 살았던 때가 생각났다. 누군가가 수박 한통 사서 들고 오면 집집마다 한쪽씩이라도 갈라 먹기에 그 다음날은 그 수박맛에 대한 품평회가 자연스레 열리기도 한다. 고혈압 때문에 늘상 생 미나리를 씹으며 오리걸음으로 뒤뚱뒤뚱 걸어다니는 개성 아줌마. 장남을 서울 대학에. 차남을 일류대학 미대에 합격시킨 쾌거의 장본인이기도 하다. 방 두칸짜리 집에서 여섯식구가 복대기를 치면서 그야말로 다락방에서 일궈 낸 신화였다, 사회 일선에서 큰 재목이 되었을 그들의 소식이 궁금하기만 하다. 젊어 한때 그 곳에서 진지한 삶의 자세를 배웠고 인생의 굴곡을 용케 벗어날 수가 있었다.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니 그 때만큼 순수하게 마음을 열고 살기가 쉽지 않았음을 깨닫는다.

어느집 김장 안 한집이 없건만 자기네 김치가 벌써 맛이 들었다고 맛배기를 들고 다니며 그게 뭐 그리 자랑이라고 짜니 싱겁니 맵다는 둥 입맛대로 말하면서 깔깔대고. . . 부질없는 수다였을 뿐인데 풋풋한 삶의 향기로 그리움이 밀려온다, 아 참 그런 일도 있었지! 우리 부부가 빙칭이란 별명을 얻게 된 날의 우스운 이야기가 있다. 바보라는 말이었는데 그게 싫기 보다는 순수한 애칭으로 더욱 깊은 정이 들어갔다.

그 때는 쥐들의 극성도 대단해서 귀찮은 동거를 해야만 했다. 허술한 집이 제일 싫었던 것도 아마 그 쥐들 등쌀 때문이었을 것이다. 어느날인가 안방 다락에 놓은 쥐덫에 걸린 쥐가 밤새도록 뛰며 난리를 피우는데 남편은 나보다 더 겁보였다. 아침에 다락문을 열어 보지도 못하고 나가면서 "어떡해?" 하는 내게 사람사서 치우란다 (세상에 . . . 덫에 물린 쥐를 사람사서 치우라니) 어이가 없었다. 죽었는지 조용한데 나도 다락문을 열지 못했다. 한나절 밖에 수다판이 벌어진 아줌마들한테 내 걱정꺼리를 얘기했더니 한바탕 웃음꽃이 만발한다. 우리부부가 빙칭이가 되는 순간 아닌가. 걸걸한 경상도 아줌마 말출이 엄마가 나선다. "가 보자 마. 까짓 죽은 쥐 하나 어찌 못하나" 다락문을 벌컥 열어 보니 발에 덫을 단채 계단으로 내리 박힌 쥐가 살기 어린 눈으로 이 쪽을 무섭게 노려보고 있었다. 너무나 무섭고 징그러웠는데 그녀가 끈에 묶인 쥐덫을 들고 골목 밖 시궁창 물이 흐르는 개울로 들고 갔다, 모두 백발이 성성한 할머니가 되었을 그들은 지금 어디에 살고 있을까?.

그 때 그 시절 골목 사람들이 눈에 선하다. 더불어 사는 사람들. 콩 한 톨도 나눠 먹으며 끈끈한 인정 속에 푸근하게 삶을 살아가는 풍경.

아련하게 잊혀져 가는 그런 세상 속에서 지금도 살고 싶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복 외교 2013년 7월 13일

댓글 0 | 조회 1,941 | 2013.07.24
잔치 전날과 소풍가는 전날엔 으례 설렘이 따른다. 우리에겐 공연 있는 전 날이 잔칫날을 앞둔 설렘으로 잠을 설치게 마련이다. 하지만 몽롱한 정신을 가다듬고 오늘 … 더보기

포화(砲火) 속에서 찾은 즐거운 추억

댓글 0 | 조회 1,657 | 2013.06.25
6.25전쟁. 한창 봉오리진 내 아름다운 사춘기의 꿈을 몽땅 짓밟아 놓은 어둠의 세월. 피난민으로 정처없던 혼란속에서 사랑하는 동생의 죽음을 맞아야했던 처절한 슬… 더보기

‘피죠아’의 계절에

댓글 0 | 조회 2,620 | 2013.05.28
머리 다듬기를 관심마져 져버린듯 ‘미용실’ 가기까지 꽤나 망서려지는 게으름. 그 과정의 시간들. 기다리는 무료함이 짜증나서 늘 모자속에 가두…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노르웨이) 2편

댓글 1 | 조회 2,060 | 2013.04.24
그동안 가방 차지만 하던 두툼한 파카가 드디어 빛을 보는 날이다. 세계에서 가장 크고 오래 되었다는빙원의 한 자락에 섰을 때. 그 하염없이 펼쳐진 옥색의 빙하를 …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노르웨이) 1편

댓글 0 | 조회 1,977 | 2013.03.27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노르웨이 오슬로’까지 밤새 북쪽으로 올라 간 페리(D. F. D. S WAYS)에서 아침을 먹고 …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 (덴마크) 편

댓글 0 | 조회 1,773 | 2013.02.27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네 나라가 서로 자신의 나라가 …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 (스웨덴)편

댓글 0 | 조회 2,578 | 2013.01.31
실야라인(silja line) 크루즈의 선상 뷔페식사 분위기가 더 없이 푸근하고 즐거워 피곤한 여정에 달콤한 활력소가 되어 주었다. 낯선 음식을 맘껏 두루 맛보는…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핀란드)편

댓글 0 | 조회 1,916 | 2012.12.21
‘러시아’를 떠난 고속철이 질펀히 깔린 밀밭 사이를 힘차게 달린다. 어디쯤 국경이 있었을텐데 친구와 밀린 수다 좀 떨다보니 벌써 &lsquo…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 러시아(상트 페테르 부르크)편

댓글 0 | 조회 2,065 | 2012.11.27
모스크바에서 항공편으로 한 시간 반쯤. ‘상트 페테르 부르크’에 도착했다. 1703년 ‘표트르’ 대제에 의해 지어진 이…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 러시아(모스크바) 편

댓글 0 | 조회 1,929 | 2012.10.25
나이를 먹어가면서 자신감은 없어지고 의욕이 있어도 매사에 겁부터 앞서는걸 깨닫는다. 여행계획을 세운지 삼년만의 긴 우여곡절 끝에 지난 7월 어느날. 인천공항에서 … 더보기

미나리, 미나리 강회

댓글 1 | 조회 2,469 | 2012.09.25
지겹도록 비가 내려 지루하기만 하던 한 겨울. 그래도 그 비 덕분일까? 통통하게 살이 오른 원 줄기에 마냥 나긋하게 자란 미나리를 만나니 반갑다. 그 것을 보는 … 더보기

여자는 예뻐지고 싶다

댓글 0 | 조회 2,651 | 2012.08.28
몸에 탄력을 잃으니 윤끼도 사라지고. 머리카락도 변변찮아 매만져봐야 그렇고 그런 모양새. 미용실 가야할 의욕도 잃은지 오래되었다. 어느날 오래 벼르던 끝에 찾아간… 더보기

마지막 건배

댓글 0 | 조회 2,268 | 2012.06.27
‘술에 너그러운 문화, 범죄 키우는 한국’ 하루 600만명이 맥주, 소주 1800만병을 마신다는 한국의 요즘. 삶이 고달퍼 마시고 취해서 잊… 더보기

어느 이민 남자의 비애

댓글 0 | 조회 3,909 | 2012.05.22
불황의 수렁은 하염없이 깊어만 가는가? 주변에서 한국으로 돌아가는 교민들 이야기가 끊임없이 들려온다. 신천지를 찾아 보따리를 끌고 꿈에 부풀어왔던 사람들의 돌아가… 더보기

그러시면 안돼죠

댓글 0 | 조회 2,365 | 2012.04.26
“엄마, 이모한테 전화 좀 드려보세요.” 언제나 장난끼 넘치는 응석조로 전화 해 오던 한국의 딸아이 목소리가 오늘은 영 아니었다. (무슨일이… 더보기

그날, 버니(Burnie)에서

댓글 0 | 조회 2,478 | 2012.03.28
크루즈 중에 배에서 내리는 날은 언제나 바쁘다. ‘타스마니아’는 ‘오스트레일리아’ 땅이긴 하지만 육지 밑으로 외떨어진 … 더보기

‘시드니’ 그리고 ‘다이아나’

댓글 1 | 조회 2,725 | 2012.02.29
잠에서 깨일 때마다 이층침대 머리맡 창밖을 내다보면 시커먼 바다. 그 검푸른 물결을 가르고 하얗게 부서지는 포말속을 달리기만 하는 배. 항상 늦잠이 달아 잠뽀인 … 더보기

Happy new year

댓글 0 | 조회 2,561 | 2012.01.31
2012년. 첫날 새 아침. 현관문을 열고 나서려는데 기다렸다는 듯 반갑게 들려오는 낯익은 목소리. “happy new year_” 언제나처… 더보기

12월의 노래

댓글 0 | 조회 2,770 | 2011.12.23
‘하늘을 쳐다보며 사-뿐 귀에다 손을 대보라 구름이 방긋 웃는 소리 고요하게 들린다.’ 밝고 맑은 꿈을 꾸던 어린시절. 푸른풀밭에 누워 드넓… 더보기

호박잎에 싸 보내는 할머니 마음

댓글 1 | 조회 2,864 | 2011.11.23
얼마 전 점심초대를 받아 어느 식당에 갔었다. 한식에 맞는 깔끔한 기본반찬 서너가지와 작은 뚝배기에 걸죽한 강된장이 함께 식탁에 올라왔다. 웬 강된장? 그것을 보… 더보기

그 벗꽃 길, 그리움이 있다

댓글 0 | 조회 2,835 | 2011.10.27
엊그제만 해도 죽은듯이 다소곳하던 헐벗은 벗 나무에 뽀오얀 꽃봉오리들이 툭툭 터져 화사한 꽃을 피워 웃고 있다. 아직은 어려 가녀린 몸매지만 버겁도록 무겁게 꽃짐… 더보기

아름다운 고별

댓글 1 | 조회 3,392 | 2011.09.27
옆집 할머니 ‘엘리자벳’이 갑자기 돌아가셨다."일년 중에 더도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우리들의 추석날. 명절다운 분위기로 조촐하게 잔치가 벌어진 작은… 더보기

‘포우투카와’ 꽃잎 날리던 교정

댓글 0 | 조회 2,847 | 2011.08.24
우리가 살아가면서. 지난 일들 가운데 보람있었던 시간들을 추억하는 것처럼 행복한 일은 없을 것이다. 여러가지 자기 하는 일에 성취감이 곧 보람이겠지만 무엇보다 순… 더보기

차 사랑 할아버지

댓글 0 | 조회 2,848 | 2011.07.26
‘허버트’ 노인이 또 차를 바꿨다. 방궤같이 앙징스럽고 예쁜 신 차다. 그는 언제나 같은 스타일의 차들만 타는 취향임이 틀림없다. 주인을 닮은듯한 아담한 모양이 … 더보기

그 남자의 6. 25

댓글 0 | 조회 3,293 | 2011.06.28
시니어클럽 ‘무지개’에 나오시는 분들 가운데 남자 세 분이 참전용사였음을 이번에 알게 되면서 그 타고나신 천운(天運)이 새삼스럽게 놀랍고 부러웠다. 6. 25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