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코로나 확진•위중증•사망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높은 코로나 확진•위중증•사망

skyblue2014
0 개 3,633 박명윤

코로나19 확진자로 재택 치료를 받던 30대 임신부(姙娠婦)가 병원 병상을 배정받지 못해 119 구급차 안에서 출산(出産)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집에 머무는 코로나 재택치료자는 3만1천537명이다. 전국의 코로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12월 20일 오후 5시 기준 80.7%(1천337개 중 1천79개 사용)로 포화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특히 수도권은 87.7%를 기록했다. 중증병상 가동률이 80%를 넘으면 의료체계에 큰 부담이 된다.

 

우리나라는 코로나19 방역에 비교적 선방한 나라로서 코로나19 백신접종률이 80%를 돌파한 10월 말에는 위드 코로나(Wih Corona)는 피할 수 없는 수순으로 생각했다. 지난 12월 1일은 우리나라가 ‘단계적 일상 회복’을 시작한 지 한 달째인 날이다. 정부가 치밀한 준비 없이 일상회복을 밀어붙였는지를 보여주는 수치인 신규 확진자, 위중증(危重證) 환자, 사망자 수 등 3대 지표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방역 당국은 당초 중증화율을 1.6% 정도로 가정해 병상을 준비했는데 중중화율이 2-2.5%로 높아졌다. 이에 감염병 대응의 기본인 병상 확보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 한국의 인구 1,000명당 병상 수는 7.1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3.7개)의 거의 2배다. 코로나 중환자 병상 확충은 늦어도 지난 11월 1일 위드 코로나를 시작하면서 철저히 준비했어야 할 조치였다.

 

우리는 병상 과잉인 나라인데 왜 감염병만 닥치면 병상을 구하지 못해 대기하다 숨지는 환자가 연이어 나오는 이유는 병상과 의료진 등 의료자원 분배에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 정부와 병원들은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전체 병원의 5%밖에 안 되는 공공병원에 코로나 환자 진료의 70%를 맡기고 있다.

 

병상 확보 등 준비 부족과 함께 각종 통계와 연구에 따르면 60대 이상 고령층이 주로 접종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의 예방 효과가 급격히 떨어졌다는 점이다. 초기 백신 확보 경쟁에서 뒤진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서 쓰지 않거나 쓰다가 접은 AZ 백신을 주로 고령층에 접종한 결과 현재 고령층에서 확진자와 위중증 환가가 급증하고 있다고 상당수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일본에서 코로나 확진자와 사망자가 확 줄어들어 12월 9일 기준 추가 확진자는 136명, 사망자는 3명이다. 우리와 접종 완료율이 비슷한데(한국 80.8%, 일본 77.6%), 다른 점이 있다면 일본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바이러스의 기본 특성은 항체(抗體)가 없는 곳으로 가는 것이다. 이 특성이 현재 우리나라에서 나타나고 있다. 즉 항체가 떨어진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집중적으로 확진자가 나오고 있다.

 

의료 현장에서는 재택(在宅) 치료 기준을 70세 이하로 한 것을 수정해야 한다고 한다. 고령자의 경우 의료진이 있으면 상태가 나빠졌을 때 곧바로 코로나 전담병원으로 이송하여 치료할 수 있는데 손을 쓸 수 없을 정도로 상태가 나빠져서야 병원에 오는 환자가 많다고 한다. 이에 재택 치료 범위를 50세 이하로 좁혀 고령자는 의료진이 직접 보면서 중환자로 가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2월 19일(일요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236명 늘어 누적 확진자 수가 56만5098명이라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 감소는 주말 영향이며, 전날(18일) 신규 확진자 수는 7313명였다. 문제는 위중증 환자 수로 이날 1025명으로 전날 1016명보다 6명 늘면서 이틀째 1000명대를 이어갔다. 사망자는 78명으로, 국내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수는 4722명이 됐다.

 

예방접종 현황은 1차 84.5%(4,341만여명), 2차 81.8%(4,202만여명), 3차(부스터) 21.3%(981만여명)으로 집계됐다. 3차 접종(부스터샷) 속도를 높이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12월 18일 0시 기준 3차 예방접종률은 21.3%(60세 이상 54.8%)이므로 전국에 300개가량 설치한 대규모 접종센터를 다시 가동하여 3차 접종을 하루 100만명이상 빠른 속도로 늘려야 한다.

 

또 현재 약 250만명에 달하는 18세 이상 성인 미접종자도 코로나 확진과 병상 포화의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접종자의 중증화율은 4%에 달할 정도로 심각하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청소년 접종문제는 사실 논란이 생길 일도 없는 것이다. 청소년(12-17세) 접종 이상 반응이 심했으면 주요국에서 접종률이 80%에 이를 수 없다. 싱가포르 청소년 접종 완료율은 93%, 캐나다는 83%, 프랑스 76%, 일본 72%, 미국 52%인데 비하여 우리나라는 33.1%에 불과하다.

 

이에 정부는 청소년 접종 속도를 내도록 학교 단위로 ‘찾아가는 백신접종’을 실시한다. 또한 접종을 독려하기 위해 내년 2월부터 12-18세 청소년이 학원, 독서실 등에 출입할 대 ‘방역 패스’를 적용하기로 하자 학부모와 학생들이 반발하고 있다. 백신을 맞지 않아 항체가 없는 소아 청소년 사이에서 집중적으로 확진자가 나오고 있다. 소아 청소년은 걸려도 무증상 등으로 가볍게 앓고 넘어하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사람들을 전염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 문제다.


의료 현장에서는 코로나 치료에 치중하면서 일반 환자 진료에 차질이 생기는 부수적 피해(collateral damage)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즉 코로나 중환자 등을 위해 병상을 차출하면서 일반 환자들이 입원할 병상이 부족해졌다. 최근 정부는 대학병원 등에 전체 병상의 4%까지 중환자 병상으로 확보하라는 행정명령(行政命令)을 내렸다. 이에 병원들이 일반 중환자실을 축소하면서 환자들이 입원하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또한 병상이 있더라도 병상을 가동할 의료 인력이 있어야 하는데, 정부는 인력 대책에는 손을 놓고 있다. 이에 병원들은 일반 환자를 진료하던 의료진을 코로나 인력으로 차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일반 환자는 받지 않거나 수술을 연기하는 방식 등으로 대처하고 있어 치료시기를 놓치는 환자들이 속출하고 있다.

 

‘방역망 내 관리 비율’이 11월 1주(10월 31일-11월 6일)에는 40% 수준이었으나 12월 3주(12월 12-15일)에는 24.7%로 떨어졌다. 방역망 내 관리 비율이란 방역당국의 모니터 하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의 비중을 말한다. 이 비중이 낮을수록 관리망 밖에서 확진자가 많이 나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진단검사(Test), 역학추적(Trace), 신속한 치료(Treat) 등을 강화하여 이 비율을 올리면 감염 확산을 막을 수 있다.

 

재택 치료를 하고 있는 코로나19 확진자를 위하여 전문가들은 지역보건 의료체계를 적극 활용할 것을 제언하고 있다. 우선 동네 병원을 백신 접종뿐 아니라 코로나19 경증 자가 격리자 재택치료에 참여하도록 한다. 집중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경증 환자는 동네 병원에서 충분히 진료를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울 강남구 하나이비인후과병원은 코로나 환자 재택치료 협력병원으로 지난 11월 한 달간 환자 298명 재택 치료를 담당했다. 이 중 278명(93.3%)이 응급 상황이나 병원 이송 없이 재택 치료를 마치고 일상으로 복귀했고, 20명은 재택 치료 중 코로나19 전담 병원으로 이송됐다.

 

대부분 환자들은 재택 치료 1-2일차까지는 응급 상황이 생기면 어쩌나 불안감이 높다가 의료진이 24시간 모니터링하고 환자가 원할 때 언제든 통화가 가능하면 신뢰가 쌓인다. 하나이비인후과병원은 전문의 3명과 간호사 8명이 재택 치료 환자를 돌보는 데 투입돼 있다. 현재 환자의 50%가량은 전문의가 화상 통화로 상태를 확인한다.

 

정부는 최근 하루 7000명대 신규 확진자와 1000명대의 위중증 환자가 나오자 12월 18일부터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작했다. 내년 1월 2일까지 시행되는 강화된 사회적 거리 두기는 전국적으로 사적모임은 4명까지 ‘방역패스’가 있어야 하며, 미접종자는 다중이용시설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포장과 배달만 허용된다.

 

식당, 카페, 유흥시설, 목욕탕, 노래연습장, 실내체육시설 등은 밤 9시까지 영업시간이 제한된다. 영화관, 공연장, PC방은 밤 10시까지이며, 청소년 입시학원은 예외이다. 대중교통은 밤 10시 이후에는 감축 운행된다. 종교 활동은 접종 완료자만 모이면 정원의 70% 참석 가능하며, 미접종자가 참여하면 정원의 30%만 허용된다.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모든 입국자는 백신접종과 상관없이 10일간 격리한다.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수는 12월 19일 기준 4,722명이다. 코로나 사망자에 대한 정부 지침은 ‘선(先)화장, 후(後)장례’이며, 이에 동의해야만 장례 지원비 1,0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족들은 “제대로 추모도 하지 못하고 떠나보내게 하는 것은 너무 가혹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즉, 격리 상태로 치료를 받다가 죽어서 장례도 제대로 치르지 못하게 하는 것은 비인륜적(非人倫的)이라는 것이다.

 


‘선화장’ 장례 지침은 코로나19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유행 초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에볼라와 콜레라 외 시신은 일반적으로 감염성이 없다며 코로나 사망자 시신을 화장 처리해야 한다는 것은 미신에 불과하다로 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코로나 감염 여부는 매장과 화장 사이 선택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화장 후 장례’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자 정부는 코로나 사망자 장례 절차를 고치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12월 17일 “사망자의 존엄을 유지하고 유족의 애도를 보장하면서, 방역 측면에서도 안전한 방향으로 장례 지침을 개정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대한변호사협회는 12월 8일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피해 보상 제도를 전면 개편하라’는 성명을 내고 “코로나 백신과 부작용 사이 인과관계를 정부가 입증하라”고 했다. 현재는 백신 부작용에 대한 입증 책임 소재나 절차를 규정한 법 규정은 없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 반응은 총 38만5775건으로 37만1869건은 일반 이상 반응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의 집계(11월 28일 기준)에 따르면, 중대 이상 반응으로 1만1442건은 중환자실 입원, 후유증 등이며, 1525건은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가 의심되며, 939명은 사망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백신 인과성이 불충분한 경우에도 사망자에게 최대 5천만원을 지급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 회원국 중 13국이 국가 예방접종 피해 보상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미접종은 확진•위중증•사망 등 3대 지표를 끌어올리는 주원인 가운데 하나다. 방역대책본부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미접종자의 중증화율은 4%에 달했다. 반면 2차 접종 완료자는 0.8%, 부스터샷 접종자는 0.3%로 내려갔다. 이에 부스터샷 접종률을 최대한 높여야 한다.

관계 재산(Relationship Property): 제 3부

댓글 0 | 조회 1,165 | 2022.01.27
관계재산에 관한 총 3부에 걸친 시리즈 중 제 3부에서는 관계가 법적으로 어떻게 종료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합니다.만약 관계가 종료된다면, 공식적으로 그리고 법적으로… 더보기

내 마음의 방

댓글 0 | 조회 813 | 2022.01.27
■ 시인 박 노해지상에 집 한 채 갖지 못한 나는아직도 유랑자로 떠다니는 나는내 마음 깊은 곳에 나만의 작은 방이 하나 있어눈물로 들어가 빛으로 나오는 심연의 방… 더보기

내 숨이 붙어있는 동안 후원은 계속해야지요.

댓글 0 | 조회 959 | 2022.01.27
“내 숨이 붙어있는 동안 후원은 계속해야지요.” │시각 장애인 할머니와 요양보호사 후원자님 스토리 < 유영애, 최진숙 후원자님>코로나19로 모두가 힘든… 더보기

줄이고 또 줄여야

댓글 0 | 조회 1,378 | 2022.01.27
오늘 저녁에 손님들을 초대하여 함께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그들을 만나면 내 입 꼬리는 자연스레 올라가고 엉터리 영어지만 창피함을 모르고 함께 떠들게 된다. 그들… 더보기

그날 수자타로부터

댓글 0 | 조회 785 | 2022.01.27
수자타는 정성스럽게 소젖을 짜 일곱 차례에 걸쳐 끓이고는,다시 맑은 물을 담은 새 그릇에 깨끗한 쌀을 넣어 정성스럽게 죽을 만들었다.이윽고 깨끗한 발우에 죽을 담… 더보기

오늘은 상체 근력 키우는 날!

댓글 0 | 조회 899 | 2022.01.27
‘1일 1요가 챌린지’매일 정해진 시간에 무언가를 꾸준히 반복적으로 해나간다는 것, 결코 쉽지 않은 것 같아요.1월부터 시작된 ‘눈뜨자 마자 요가’ 1일 1요가 … 더보기

우리집

댓글 0 | 조회 999 | 2022.01.27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처음 내 집이라 갖게 되니뒷마당까지 덤으로 딸려왔습니다복숭아나무는 달랑 두 개만 열리고도 거드름을 피우구요저렇게 많은 별별 꽃들은 집주인을 … 더보기

요즘 갑이 어디있나요, 같이 을 하는 거죠...

댓글 0 | 조회 1,116 | 2022.01.27
다이아윙스 골프공이 거리가 많이 나가는데 왜 프로 선수들은 사용을 안해요? 라는 질문들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실제로 필드에서 경기하는 KPGA나 KLPGA 1부 … 더보기

5-11세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어린이 백신 예방접종에 관한 정보

댓글 0 | 조회 1,380 | 2022.01.27

특별법 영주권 상황 리포트

댓글 0 | 조회 3,496 | 2022.01.26
2021년의 大尾는 특별법 영주권 신청과 승인소식으로 장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기존에 신청해 놓은 영주권의 심사소식을 이제나 저제나 기다려 오던 분… 더보기

살다보니 이런일이...

댓글 0 | 조회 2,315 | 2022.01.26
온종일 정신없이 일을 해 냈으니 몸이 젖은 솜뭉치처럼 무거웠다. 오랫동안 쓰지않던 근육들이 놀랐는지 뻐근하고 아팠다.여름날 긴 긴 하루가 번개처럼 지나갔다.긴장이… 더보기

귀속에서 삐~ 하는 소리가 들리시나요?

댓글 0 | 조회 2,967 | 2022.01.26
별다른 이유 없이 갑작스럽게 삐~, 또는 치~ 하는 소리가 귓속에서 들리기 시작한다. 특히 조용한 곳에 있다던 지 밤에 자려고 할 때 유독 또렷하게 잡소리를 느끼… 더보기

이대남의 생각

댓글 0 | 조회 939 | 2022.01.26
■ 오 길영오늘자 토요판 종이신문에서 이대남(20대 남성)이 생각하는 페미니즘 기획 기사를 읽었다.(기사는 댓글) 시의성 있는 기획이다. 토요판이 알차진 느낌이다… 더보기

거지같다니요!

댓글 0 | 조회 1,274 | 2022.01.26
‘거지같아요!’한다. 복불복프로그램에서 집어든 잔을 한 모금 마시고는 커피 아닌 까나리 액젓임을 알고 뱉은 일성이다. ‘거지같아요!’는 거지가 된 기분 이라는 것… 더보기

피로를 푸는 방법

댓글 0 | 조회 1,292 | 2022.01.26
피로는 대개 마음의 피로입니다. 마음이 가볍고, 스트레스가 없고, 명상을 하여 기운을 많이 받으면 피로하지 않습니다.피로를 푸는 데는 수면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더보기

비자 만료시 고용주의 의무 2

댓글 0 | 조회 1,358 | 2022.01.26
피고용인의 비자 만류를 사유로 고용관계를 종료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고용법을 위반했을 경우 피고용인의 임금손실에 대한 보상을 하거나 정신적인 피해에 대한 피해 보상… 더보기

늘 새차처럼! 자동차 수명 연장법

댓글 0 | 조회 1,407 | 2022.01.26
먼 거리를 효과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자동차는 처음 만들어졌지만,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취향을 표현하고, 드라이브를 즐기고, 어디든 함께하는 동반자로 여겨지… 더보기

검은 호랑이의 해

댓글 0 | 조회 925 | 2022.01.22
2022년 임인년(壬寅年) 호랑이의 해가 힘차게 솟아올랐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호랑이를 두려워하면서도 의로운 이를 수호하고 잡귀를 물리치는 영물(靈物)로 여겨… 더보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댓글 0 | 조회 1,866 | 2022.01.20
시간이란 무엇인가?한창 방황하던 20대때 호주머니 쌈지돈 탈탈 털어서 나름 굳은 결심을 하고샀던 스티븐호킹의 책 제목이다.막상 책을 펼치고선 단 한 페이지도 제대… 더보기

[포토스케치] 거듭나기

댓글 0 | 조회 873 | 2022.01.17

새해 아침

댓글 0 | 조회 918 | 2022.01.12
시인 송 수권새해 아침은 불을 껐다 다시 켜듯이그렇게 떨리는 가슴으로 오십시오답답하고 화나고 두렵고또 얼마나 허전하고 가난했습니까?그 위에 하얀 눈을 내리게 하십… 더보기

아마추어 골프는 쉬워야 하고 즐거워야 한다

댓글 0 | 조회 1,673 | 2022.01.12
다이아윙스 브랜드는 기존의 고정 관념을 탈피하여 현실적으로 제품을 구성한다. 핵심을 파악하고 핵심에 집중을 한다. 아마추어 골프는 쉬워야 하고 즐거워야 한다는 생… 더보기

아가의 웃음소리

댓글 0 | 조회 1,003 | 2022.01.12
까르르르~~ 유은이의 웃음소리가 우리 집 전체에 울려 펴졌다. 유은이는 둘째 딸이 작년 6월 말에 낳은 아기이다. 코비드가 잠시 종식이 되었을 시기에 태어난 덕분… 더보기

지금 당신의 집에 '화장실'이 없다면?

댓글 0 | 조회 1,317 | 2022.01.12
우리나라 인구의 약 11배에 달하는 사람들이 마실 물이 없고, 9배가 넘는 이들은 매일 야외에서 배변을 하고 있습니다. (출처: 유니세프 식수위생 보고서, 202… 더보기

천둥 치던 날

댓글 0 | 조회 848 | 2022.01.1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흐르는 숲 속 물에아내와 발을 담갔을 때뽀오얀 아내의 허벅지에내 가슴 설렌 줄 아내는 모를 겁니다하늘은 내 마음 알아천둥 소리 내어 웃는데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