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버니(Burnie)에서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그날, 버니(Burnie)에서

0 개 2,472 오소영
크루즈 중에 배에서 내리는 날은 언제나 바쁘다. ‘타스마니아’는 ‘오스트레일리아’ 땅이긴 하지만 육지 밑으로 외떨어진 남쪽의 아주 조그만 섬이었다. 바람이 차고 쌀쌀했는데 지도상으로 뉴질랜드 남섬에 거의 위치하고 있어서 추웠다는걸 나중에서야 알았다. ‘Welcome Burnie’ 버스곁에 놓인 팻말도 반가운데 일일이 뱃지까지 나눠주니 고향에 온 듯 편안했다. 사람많은 대도시보다 한적한 시골에 갔을 때 인정냄새가 구수하듯이 역시 섬의 작은 항구도시는 사람을 대하는 스타일이 정겨웠다. 맨 처음에 간 곳이 박물관이었다. 규모는 작았지만 1900년대의 거리풍경이 고스란히 재현되어 있어서 타임머신을 타고 한세기전의 시가지에 서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병원, 이발소, 대장간 등 지금 보기엔 마치 고물상처럼 구질구질해 보였지만 옛것을 보며 오늘을 음미 해보는 좋은 경험의 시간이었다.

특별한 관광지는 아닌 것 같아서 그냥 시가지 구경이나 하려고 상가들이 밀집되어 있는 시티에서 머뭇거리다가 제법 큰 기념품 ‘숍’을 들어가 보았다. 재미있는 물건들을 꽤 많이 진열해 놓은 걸로 보아 크루즈 여행객을 상대로 하는 가계임을 알았다. 귀엽고 깜찍한 소품들이 눈길을 붙잡아 시간가는 줄을 몰랐는데 밖에 있던 친구는 따뜻한 국물이 먹고싶다며 한식당을 찾았단다. 이층으로 올라가 보았지만 거기는 어둑침침한 파킹장일뿐, 실망을 하고 내려오는데 쇼핑몰 노점 한 쪽에서 제법 사람들이 많이 웅성거려 기웃거려보지 않을 수가 없었다. 엉성하게 세워놓은 걸대에 그럴듯하게 반짝거리는 악세사리들이 여자들의 발길을 잡고 있었다. 아가씨들 둘이서 파느라고 여념이 없는데 어쩐지 그들이 내 이웃처럼 낯설지가 않았다. 나도 모르게 불쑥 말이 튀어나왔다. “아가씨들 혹시 한국인?.. .” “네 맞아요, 크루즈 여행 오셨어요?” 그들이 나보다 더 반가웠나보다 말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바쁜 일손을 놓고 되물어 왔다. 세상에! 이 멀고 낯선 외지에서 웬 일일까? 우리는 피붙이를 만난 것처럼 반가워서 함께 호들갑을 떨었다. ‘멜번’에 살면서 장사하러 여기까지 왔다는 그들이 너무 대견하고 신통해서 코끝이 찡 해왔다. 내 손녀만큼이나 어린 대학생들처럼 보였는데 용감하기도하지... 한가지 아쉬었던 것은 그들이 파는 물건이 우리 국산품이 아니고 중국산이었던 점이다. 허긴 자존심이 있지. 우리 국산품을 그렇게 헐값에 팔 수는 없는 일이기도 하다. 한식당을 찾는 우리에게 난색을 지으며 여기에 한국 사람은 한 사람도 없어서 한식은 물론 일식당도 없다는 것이다. 장사 잘 하고 열심히 살라고 따뜻하게 격려 해 주고 돌아서면서 그들이 너무나 자랑스러웠다. 요즘 젊은이들은 비지니스라면 세계곳곳 어디든지 달려가 당당하게 맞서는데 그게 우리의 미래이기에 반갑기도 하거니와 그 활발한 의욕의 젊음이 마냥 부럽기만 했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던가. 모처럼 점심을 ‘맥도널’이나 ‘서브웨이’에서 해결 할 바에야 차라리 배로 돌아가자는 생각으로 우리는 리턴버스에 올랐다. 크루즈가 들어오는 날이 이 곳 주민들이 한바탕 들썩이는 장날이지 싶었다. 조용한 도시가 잠깐 사람의 활기로 들뜨다가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나면 잠든듯 다시 고요해 질 Burnie!

바쁘게 배로 돌아오니 늦은 시간임에도 식당에선 여전히 배식을 해주어 다행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벌써 돌아와 있는 걸보아 외식을 한 사람은 별로 없는 것 같았다. 우리와 헤어졌던 다른 팀들도 결국은 배에 와서 점심을 해결하고 다시 나갔다니 다람쥐 쳇바퀴돌듯 좁은 곳에서 북적였던 그런게 나름 재미였던 것 같다. 별 특징없는 평범한 항구도시. 그러나 웬지 모르게 포근하게 안아주는 것 같은 인정을 느끼겠끔 편안했던게 특별했다. 투어를 마치고 귀선을 서두르는 사람들을 태운 버스가 속속 돌아오고. 때를 같이 해 입구에선 ‘백 파이프’로 곧 떠날 우리를 환송 해 주는 ‘스코틀랜드’ 전통 복장의 남자들 십여명이 한시간이 넘도록 계속해서 연주를 하고 있으니 감동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환영도 따뜻하게 환송도 멋지게 그들은 그렇게 아름답게 사는 사람들이었다.

나약한 여성의 몸이지만 강인한 정신으로 세상을 이겨나가는 우리 동포 아가씨들에게 ‘파이팅’을 외치며 내 서랍속에서 반짝이는 브럿지를 볼 때마다 그들을 떠올려 행운을 빌어준다. 그리고 황혼무렵 ‘백파이프’ 고운 연주로 내가 마치 ‘스코틀랜드’ 동화의 궁전에 온듯 착각을 하도록 인상깊게 환송을 해 주던 그들을 잊을 수 없어 Burnie는 내 마음속에 오래오래 남아 있을 것만 같다.

여행은 새로운 곳을 보고 경험하는 것도 좋지만 항상 깊은 인상을 심어주는 사람들이 있어 보람이 있다. 오늘도 그들은 또 다른 사람들을 위하여 정성스럽게 연주를 할 것이다. 낯선 사람들에게 행복을 심어주고 추억으로 남겨질 그들이야말로 진정 행복한 사람들이라는 생각을 해 본다.

[357] 임대(賃貸) 주택

댓글 0 | 조회 3,482 | 2007.05.23
이번호에는 투자자산으로 임대주택을 보유할때의 메리트에 대해 그리고 임대주택에 관련하여받은 문의사항에 대해 답변해 보도록 하겠다. 이자율이 높은 이시점에 모게지를 … 더보기

[356] Salary Sacrifice

댓글 0 | 조회 4,082 | 2007.05.09
오는 7월 1일자 KiwiSaver 시행을 앞두고 Salary Sacrifice란 단어를 자주 듣게 될 것이다. 이번 호에는 Salary Sacrifice가 무엇… 더보기

[355] 해외주식세 개요

댓글 0 | 조회 3,400 | 2007.04.24
지난해 11월14일자 연재된 “Capital Gain” (344호) 에 ‘해외주식투자에 대한 과세’ 를 내용으로 하는 법안을 소개한 적이 있다. 이 법안은 지난해… 더보기

[354] 비(非)사업 납세자의 소득세신고

댓글 0 | 조회 3,407 | 2007.04.12
전화상담을 하면서 느끼는 점은 아직도 많은 비(非) 사업 납세자들이 소득세 신고 의무에 대해 부정확 정보를 가지고 있구나 하는 것이다. 이번호에는 그동안 다루지 … 더보기

[353] 4월1일자 변경/시행되는 내용

댓글 0 | 조회 2,458 | 2007.03.27
◎ 가족수당(Family Tax Credit) - Family Assistance로 알려졌던 가족수당이 Family Tax Credit로 이름이 변경되었다.4월 … 더보기

[352] 재고조사 (Stocktaking)

댓글 0 | 조회 2,750 | 2007.03.12
상품매매를 업으로 하는 사업자는 매해 3월 31일 자로 재고조사를 하여야 한다.이번 호에는 세무적인 측면에서 재고조사를 왜 해야 하는지 재고조사 준비는 어떻게 해… 더보기

[351] Home Office 경비

댓글 0 | 조회 2,812 | 2007.02.26
회계연도말일은 사업자가 정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매해 3월 31일이다. 따라서 시기에 맞추어 3월의 연재 글은 회계연도말 준비사항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다… 더보기

[350] Entertainment 경비

댓글 0 | 조회 2,677 | 2007.02.13
뉴질랜드에서 처음으로 사업을 시작하는 교민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부분중의 하나는 “접대비 손비인정 한도액은 있는지, 접대비는 어떻게 손비인정되는지" 일 것이다. … 더보기

[349] 부가세 영세율 (0%) 수입(收入)

댓글 0 | 조회 3,959 | 2007.01.30
이번 호에는 부가세 영세율(0%) 수입(收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선, “부가세 영세율 수입”을 “부가세 면세수입”과 혼돈하지 않기를 바란다. 공통점은… 더보기

[348] 비거주자(Non-Resident)의 소득신고

댓글 0 | 조회 3,140 | 2007.01.15
세법상 비거주자인 경우에도 뉴질랜드에서 발생한 수입에 대해서는 뉴질랜드에 소득세 납부를 해야 한다.참고로, 세법상 거주자/비거주자 구분은 우리가 알고 있는 이민법… 더보기

[347] 직원의 해고(Dismissal)

댓글 0 | 조회 3,560 | 2006.12.22
고용주로부터 가끔 “이러 이럴 때 직원을 해고할 수 있느냐”문의를 받는다. “공정하고 적절한 절차에 따라야 합니다.”고 답변하면, “직원이 잘못을 했는데, 사장인… 더보기

[346] 세금 지연납부 범칙금 및 이자

댓글 0 | 조회 3,314 | 2006.12.11
상담을 하다 보면, 세금 지연납부 시에 부과되는 범칙금과 이자에 대하여 대소롭지 않게 생각하는 고객들을 접하게 된다. 이번 호에는 세금을 지연납부 함으로써 부과되… 더보기

[345] Qualifying Company

댓글 0 | 조회 2,485 | 2006.11.27
이번 호에는 이미 연재된 ‘Limited Company(이 하‘주식회사')'와‘Capital Gain'과 관련 된 “Qualifying Company”(이하‘자격… 더보기

[344] Capital Gain(캐피탈 게인)

댓글 0 | 조회 3,193 | 2006.11.13
"뉴질랜드에서는 양도소득세가 없다”이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민들이 알고 있는 사항이다. 하지만 보다 정확히 하자면 “뉴질랜드에서는 Capital Gain에 대한 … 더보기

[343] KiwiSaver 개요(槪要)

댓글 0 | 조회 2,830 | 2006.10.24
지난 9월 최종수정된 KiwiSaver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됐다.KiwiSaver제도의 시행은 2007년 7월 1일부터 이어서 이른 감이 있지만, 납세자의 미래계… 더보기

[342] Limited Company (주식회사)

댓글 0 | 조회 3,339 | 2006.10.09
이번 호에는 주식회사인 Limited Company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Limited Company(이하 ‘주식회사’)는 법적인 실체로써, 사업의 형태를… 더보기

[341] 회계사무소에 의한 급여세신고

댓글 0 | 조회 2,812 | 2006.09.25
이번 호에는 회계사무소에 의한 급여세(PAYE) 신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고용주는 지급되는 직원급여에 대하여 적절한 세금(PAYE)를 공제하고 다음달 2… 더보기

[340] GOING CONCERN

댓글 0 | 조회 2,759 | 2006.09.11
이번 호에는 비즈니스, 농장 및 상업용 부동산의 매매시 (이하, 과세사업의 매매)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Going Concern” issue에 대해서 알아보… 더보기

[339] 지방세 할인/환불 (Rates Rebate) 신청

댓글 0 | 조회 2,751 | 2006.08.21
1973년부터 저소득 지방세 납세자의 지방세 납세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방세 할인/환불 (Rates Rebate- 이하 “지방세할인”)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더보기

[338] Gift Duty(증여세)

댓글 0 | 조회 3,416 | 2006.08.08
한국에서는 증여, 상속에 대한 세금을 구분하여 납부하고 있지만, 뉴질랜드에서는 구분하지 않고 Gift Duty로 세금을 납부하고 있다. 이번 호에는 Gift Du… 더보기

[337] ACC Levy (ACC 보험료)

댓글 0 | 조회 2,911 | 2006.07.25
뉴질랜드에서는 사고로 다쳤을 경우 ACC에서 의료비 및 재활경비를 부담하며, 상해 입은 자의 소득 정도에 따라 소득손실액을 보상한다.매년 이렇게 ACC에서 약 $… 더보기

[336] 고용관계 (Employment) or 독립된 도급(都給)관계 (Inde…

댓글 0 | 조회 2,732 | 2006.07.11
사업체 (이하 “C”)에서 사업의 운영을 위해 도움이 필요할 경우 직원을 고용하거나, 다른 회사의 서비스를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하지만, 고용부담을 없애고 높은… 더보기

[335] Paid Parental Leave (신생아 보육수당) & Parent…

댓글 0 | 조회 3,312 | 2006.06.26
자녀를 출산하였을 경우 정부로부터 수당의 형태로 금전적 지원을 받게 된다.두 가지 수당이 있는데, 하나는 근로자가 출산 후 신생아 보육휴가 기간 동안에 지급되는 … 더보기

[334] 조기(早期) 개인종합소득세 신고의 이점(利點)

댓글 0 | 조회 3,040 | 2006.06.12
회계사무소를 의뢰하지 않는 자가신고자의 경우 각종 소득세(법인, 파트너쉽, 개인종합소득세신고 등) 신고기한은 7월7일까지이다. 반면 회계사무소에 의뢰할 경우에는 … 더보기

[333] 신규이민자의 해외소득신고 면제 및 KiwiSaver 관련

댓글 0 | 조회 3,184 | 2006.05.22
신규이민자의 해외소득신고 면제(2006년4월 1일 이후 입국) *****************************************************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