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5] Qualifying Company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45] Qualifying Company

0 개 2,485 KoreaTimes
이번 호에는 이미 연재된 ‘Limited Company(이 하‘주식회사')'와‘Capital Gain'과 관련 된   “Qualifying Company”(이하‘자격회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제한된 지면에 상세한 내용을 게재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자격회사'를 간단히 소개하는데 중점을 둔다.(보다 자세한 내용은 필자의 웹사이트 www.jbaccounting.co.nz의 ‘NZ세무정보' 참조)

우선 주식회사와 ‘자격회사'는 전혀 다른 별개의 회사가 아니다. ‘자격회사'는 주식회사 중에 이사(Director)와 주주(Shareholder)에 의해 IRD에 신청/인정되는, 즉 세법상에서만 인정되는 주식회사일 뿐이다.(LAQC로 알려져 있는‘손실 분배 가능 자격회사(Loss Attributing Qualifying Company)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글을 게재할 예정이다.)

그럼 ‘자격회사'가 됨으로써 가지는 ‘자격'은 무엇일까.  가장 큰 장점은 회사의 청산 과정을 거치지 않고 Capital Gain을 세금없이 주주에게 분배가 가능하다는 것이다.(일반적으로 회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Capital Gain은 비즈니스 매매시 발생하는 권리금 차익을 들 수 있다. 또한 회사의 고정자산처분에 대해서도 Capital Gain이 발생할 수 있는데, 감가상각비 이익금 산입액 이외의 이익금을 들 수 있다.) 자격회사가 아닌 주식회사인 경우는 제도적으로 법인세를 납부하지 않은 이익금을 주주에게 분배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원칙적으로는 Capital Gain을 주주에게 세금 납부없이 분배하기가 불가능하다.

그러면, 가장 큰 단점은? ‘자격회사' 각각의 주주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실질적인 주주이권율(Shareholder’s Effective Interest) 만큼 ‘자격회사'에서 발생되는 납세의무에 대해 보증 책임을 지는 것이다. 여기서 실질적인 주주이권율은 주주의 주식보유율로 이해하면 되겠다.(단, 권리가 다른 주식을 발행했을 때는 이권율이 주식보유율과 다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자격회사'에게 Capital Gain을 회사 청산 과정없이 주주에게 분배를 할 수 있는 ‘특권'을 주는 대신, 회사의 납세의무를 주주가 보증하는 것이다.

캐피탈게인(Capital Gain)은 세금없이 주주에게 분배가 가능하다는 ‘자격회사'의 장점을 인용 “‘자격회사'로 하여 투자활동(부동산투자포함)을 하면 투자차익에 대해서는 세금을 납부하지 않고 주주에게 분배할 수 있다.”로 이해하는 납세자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제 소견으로는 특히나 부동산(상업용 제외) 투자인 경우는 주체가 주식회사(‘자격회사’포함)가 아닌 개인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회사가 주택을 구입/렌트 수입발생/처분 할 경우의 GST처리 문제가 복잡하고, 더욱이 IRD로 하여금 부동산 투자 혹은 개발회사라는 잘못된 인상을 심어 줄 수 있다. 또한 회사가 투자자산으로 대지(Land)를 구입할 경우 구입의 목적(Purpose)이나 의도(Intention)가 재매각(resale)부동산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 쉽지 않다.  

[382] 지방세 할인(Rates Rebate)

댓글 0 | 조회 2,832 | 2008.06.10
지난 코리아타임즈 339호 (2006년 8월 22일자)에 지방세(Rates) 할인에 대해 글을 쓴적이 있다. 이번 호에는 내무부 웹사이트 내용을 참고로 지방세 할… 더보기

[381] Rebate Claim (세금환불신청)

댓글 0 | 조회 3,224 | 2008.05.28
최근 IRD에서 2008세무년도(2007년 4월 1일 ~ 2008년 3월 31일)사이에 지출된 헌금(교회헌금, 학교도네이션, 기타 자선단체헌금)등에 대한 “Reb… 더보기

[380] 가족수당(Working for Families Tax Credits)의…

댓글 0 | 조회 4,112 | 2008.05.13
이번 호에는 지난 호에 이어 가족수당(Working for Families Tax Credit)을 구성하는 4가지 수당(Tax Credit)에 대해서 설명해 보도… 더보기

[379] 가족수당(Working for Families Tax Credits) …

댓글 0 | 조회 4,206 | 2008.04.23
교민들로부터 가족수당(Working for Families Tax Credits)에 대한 문의를 자주 받는다. 구체적인 가족수당의 내용을 문의하기도 하지만, 대부… 더보기

[378] 2009년 급여세표(PAYE Table)

댓글 0 | 조회 3,293 | 2008.04.08
2008년 4월 1일부터 2009년 3월 31일까지 지급되는 급여에 대한 급여세(PAYE)는 2009년 급여세표(PAYE Table)에 의해 계산 공제해야 한다.… 더보기

[377] 회계연도말 재고 조사

댓글 0 | 조회 3,862 | 2008.03.26
정확한 사업소득계산을 위해 회계연도말인 3월 31일에는 재고조사를 해야 한다는 것을 숙지하고 있을 것이다. 이번 호에는 연도 말 재고조사가 사업소득계산에 어떻게 … 더보기

[376] 키위세이버 고용주 강제분담 및 이에 따른 고용주 지원

댓글 0 | 조회 3,149 | 2008.03.11
키위세이버의 큰 단점인 "65세까지 인출불가"에도 불구하고, 이미 40만 명 이상이 키위세이버에 가입 하였다(2월 4일자 뉴질랜드헤럴드). 오는 총선에서 정부가 … 더보기

[375] 키위세이버 관련 고용주 업무(Ⅰ)

댓글 0 | 조회 3,293 | 2008.02.26
2007년 7월부터 시행된 키위세이버와 관련한 고용주 의무에 대해서는 신문지상을 통해서 이미 많은 홍보가 되어왔다. 하지만 최근까지도 "모든 직원이 반드시 키위세… 더보기

[374] DIY 세금신고

댓글 0 | 조회 3,073 | 2008.02.12
DIY 는 주로 주택수리, 리노베이션 등에 자주 듣는 Do It Yourself 의 약자로 '스스로 하는 것'을 뜻한다. 그럼, DIY 세금 신고는 어떨까? 사실… 더보기

[373] 고려해야 할 사업관련 지출

댓글 0 | 조회 2,791 | 2008.01.31
많은 사업자들은 투자하는 자본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빠듯한 재무계획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업의 직접적인 운영경비 이외에 생각지도 않았던 추가지출이 발생할 경… 더보기

[372] 인터넷상의 비지니스

댓글 0 | 조회 2,811 | 2008.01.15
최근 인터넷상의 상품매매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이는 비지니스 환경의 변화로 많은 인터넷 쇼핑몰이 생겨나는 이유도 있겠지만, TradeMe와 같은 인터넷 경매사이… 더보기

[371] 자선기관 등록 개요

댓글 0 | 조회 2,821 | 2007.12.20
이번호에는 교민 종교단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Charities Commission 등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미 자선단체 등록을 마쳐 있는 종교 기관도… 더보기

[370] 부동산 관련세법의 이해

댓글 0 | 조회 3,321 | 2007.12.11
지난 6회에 (364~369호) 걸쳐 뉴질랜드 소득세법중 부동산과 관련된 조항을 주어진 공간안에 가능한한 자세히 기술하였다.필자는 가끔 고객으로부터 부동산세법에 … 더보기

[369] Major Development or Division (CB 11)

댓글 0 | 조회 2,572 | 2007.11.28
이번 호에는 부동산관련 조항 중 과세대상을 명시 한 최종 조항인 CB11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아래의 내용들은 극히 일반적이다. 즉, 다른 변수가 있을 경… 더보기

[368] 대지 용도 변경에 따른 부동산 소득

댓글 0 | 조회 2,836 | 2007.11.13
이번 호에는 대지용도변경(Re-zoning)에 따른 부동산 매매차익에 대한 소득세과세 여부를 규정한 CB 12와 인정경비(Deduction) 계산법을 규정한 DB… 더보기

[367] 개발/분할 Undertaking or Scheme

댓글 0 | 조회 2,534 | 2007.10.24
이번호에는 부동산관련세법 중 부동산업자(부동산매매, 개발, 신축업자)가 아닌 일반투자자가 대지를 개발 혹은 분할 할 경우 적용될 수 있는 조항 CB 10에 대해서… 더보기

[366] 부동산개발업자 & 신축업자(CB8&CB9)

댓글 0 | 조회 2,921 | 2007.10.09
지난 호에 이어서 이번 호에는 부동산관련 소득세 법 중 부동산개발 및 신축업자 관련조항인 CB 8과 CB 9의 "10년 Rule"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다. … 더보기

[365] Land Dealing Business & 10 Year Rule

댓글 0 | 조회 2,701 | 2007.09.26
지난 호에 이어서 이번 호에는 부동산업자(부동산 매매, 개발, 신축업자)의 부동산 매매에 대한 소득세규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아래의 내용들은 극히 일반적이다. … 더보기

[364] Land Acquired for Disposal

댓글 0 | 조회 2,576 | 2007.09.12
아직도 "뉴질랜드에서는 양도소득세가 없다" 라고 알고 있는 투자자들이 있다. 물론, 뉴질랜드에서는 Capital Gain에 대한 세금은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비투… 더보기

[363] 세금회피(Tax Avoidance) 관련조항

댓글 0 | 조회 3,110 | 2007.08.28
소득세법에 의하면, 납세자가 어떤 세금회피계획 (Tax Avoidance Arrangement)에 의해 세금회피나 세금혜택을 받았을 경우, IRD는 이에 대해 대… 더보기

[362] 저축상품으로써의 키위세이버

댓글 0 | 조회 2,876 | 2007.08.15
키위세이버에 관한 많은 홍보로 대부분의 교민 납세자들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은 충분히 숙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면에 다른 무엇인가 있을 것이… 더보기

[361] 부동산거래 감사(監査)예산 확대

댓글 0 | 조회 2,757 | 2007.07.24
2007년 정부예산 (지난 5월 17일 발표)에는 부동산 거래 감사예산 $14.6milion(3년간)을 추가로 산정, 포함 하고 있다. 이번 호에는 정부예산 발표… 더보기

[360] 키위세이버(KiwiSaver)의 장 단점

댓글 0 | 조회 4,787 | 2007.07.10
지난 7월 1일부터 키위세이버 제도가 시행됐다. 이미 IRD를 비롯한 각종 언론에 의해 키위세이버가 소개 되어지고 있지만, 많은 찬반(贊反)언론에 때문에 납세자에… 더보기

[359] 키위세이버 관련 고용주 의무

댓글 0 | 조회 2,499 | 2007.06.27
오는 7월 1일부터 키위세이버(KiwiSaver)가 시행된다. 이번 호에는 키위세이버 관련 주된 고용주의 의무에 대해 IRD자료를 바탕으로 소개하도록 하겠다. 개… 더보기

[358] 키위세이버 (KiwiSaver)

댓글 0 | 조회 2,392 | 2007.06.13
지난 5월 17일 정부예산 발표에 키위세이버(KiwiSaver)와 관련한 보완정책을 발표했다.오는 7월 1일 키위세이버 시행일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 갑작스런 발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