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굴한 선생님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비굴한 선생님

2 4,012 왕하지


우리 뒷집 말 목장 풀밭에는 수꿩의 울음소리가 시도 때도 없이 들린다. 그럴 때마다 생각나는 것이 꿩 요리인데 가슴살은 날 것으로 먹고 샤브샤브요리에다 꿩 만두, 거기에 소주 한잔 곁들이면 캬아~, 푸케코, NZ비둘기, 검정새 이런 새들 고기 맛은 또 얼마나 맛있겠는가,

이렇게 다 늙어 먹을 것만 밝히는 나이에 그림을 시작했어도 잘 그리는데 젊었을 적부터 그림을 그렸다면 도대체 얼마나 잘 그렸을까 하는 생각이 들지만 어쨌든 모든 일은 참 다행인 것 같다. 너무 잘해도 문제는 항상 있기 마련이다.

중학교 때, 나는 수업이 끝나면 쭈볏 쭈볏 창문너머로 데생실을 바라보다가 집에 돌아오곤 했었다. 데생실은 돈을 낸 미술부 아이들만이 갈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미술 선생님은 중학교 처음으로 야심찬 미술 전시회를 갖는다며 참가하고 싶은 학생들은 액자 값을 내라고 하였다.
학교에서 단체로 미술 전시장을 가던 날 나는 깜짝 놀랐다. 내 그림이 몇 점 전시되어 있는 게 아닌가, 그런데 모두 다른 아이 이름이 적혀있었다. 액자 값을 낸 아이들 이름인 것이다. 나는 얼굴이 후끈거려 더 이상 볼 수가 없어 쪼르르 화장실에 달려가 흐르는 눈물을 훔치고 있었다. 관람객들에게 설명을 하며 씨~익 웃고 있는 미술선생님의 얼굴에는 비굴한 냄새가 흘러넘쳤다. 나는 그 후 미술과 담을 쌓았다.

30년이 지난 후 내가 디자인회사를 하고 있을 때 큰조카가 고등학교에 들어갔다. 조카는 그림을 잘 그렸는데 돈이 많이 드는 미술학원을 다닐 수가 없었다. 나는 생각 끝에 마침 건물도 한층 비어있어 미술학원을 설립하였다. 조카뿐만 아니라 우리 아이들도 곧 미술 공부를 해야 하고 대학을 간 후에도 아르바이트를 시킬 수 있다는 여러 가지 생각에서였다.

조카는 학원에 올 때마다 내방에 찾아와 인사를 하고 공부도 열심히 하는 우수한 학생이었다. 미술학원은 우리 회사 인지도로 인하여 1년도 안되어 자체 운영이 될 정도로 자리를 잡아갔다. 그런데 어느 날 부터인가 조카는 내 방에 오지 않았고 건물입구에서 만나면 인사만 한 후 슬그머니 피하는 눈치였다. 무슨 일이 있는 걸까?

며칠 후 조카가 상기된 표정으로 나를 찾아왔다.

“작은아빠, 정말 제가 이래도 되는 건지 고민을 많이 하다가 모두 말씀드리려고 찾아 왔어요.”

조카이야기는 이러했다. 미술선생이 다른 곳에 이미 학원을 차렸고 학생들도 다 가기로 했고 끝으로 조카에게도 선생의 꼬임이 있었다고 했다. 그런데 더 기가 막힌 것은 선생이 아빠를 만났고 아빠도 미술선생을 따라가라고 했다는 것이었다.

형님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니 씨~익 웃으며 말하는 형님말씀이 더 걸작이었다.

“우리 아들이 미술을 잘해서 그 선생님도 학원비 안 받는댔어, 그리고 명문대 합격 보장한댔어. 동생이 우리아들 명문대 합격 보장할 수 있어?”

갑자기 중학교 때 미술선생님의 얼굴이 떠올랐다. 그리고 또 다른 비굴한 냄새가 내 코끝을 스치고 지나갔다.

형님 때문에 더 화가 났기 때문일까, 나는 당장 미술선생을 고소하라고 지시하였다. 몇 차례 경찰서에 조사를 받으러 다니던 선생은 야윈 얼굴로 부모와 함께 찾아와 잘못했다고 빌었다. 다시는 인생을 그렇게 살지 않겠다는 각서를 받고 나는 고소를 취하해 주었다.

“자네가 미술학원을 하고 싶으면 떳떳하게 말하고 하면 되는 거야, 자네를 좋아하는 학생들은 따라갈 수도 있는 거고, 비굴한 방법으로 우리학생들 다 데려갔는데 걔들 공부 끝나면 학원 문 닫을 건가? 앞을 보고 바르게 노력을 해야 냄새가 안나니 명심하게나,”

그 선생은 몇 달 후에 학원 문을 닫고 말았다.

새로 온 선생 밑에서 열심히 공부한 조카는 명문대학에 합격하였다. 나는 조카를 불러 입학금
과 첫 등록금을 내주었고 조카는 입이 함박 만해졌다.

“언제든 아르바이트 하려면 작은아빠에게 오너라.”

조카나이 이제 30대 중반이다. 얼마 전 조카와 통화를 했는데 형님과는 달리 많이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래 열심히 그리고 비굴하지 않게 살아라... 내가 너희 아빠를 도와준 건 후회스러울 때가 많지만 너를 조금 도와준 건 후회스럽지 않게 말이다.
쌔엠
나쁜걸 좋게 생각하기는 힘들지요.ㅎ
특별히 지나간 건 돌이키기가 불가능하지만,
그것 마져도 희망을 걸 수 있다면..^^
하지님 그림 처럼 세상이 넓게 보일거란 생각입니다.

왕하지
쌔엠님 날씨가 화창해 지는가 했더니
여전히 구름낀 날씨입니다.
날씨때문에 채소가 자라다가
그만 늙어버렸어요. ㅎㅎㅎ
올 여름 날씨는 영 좋게 생각이 안들어요.

기후변화 이야기

댓글 0 | 조회 3,163 | 2010.04.13
지난 1월 중국 북경에는 폭설이 내렸다. 1951년 이래로 가장 심한 눈으로 기록되었다. 도로가 차단되는가 하면 기차 항공기 등 교통이 두절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더보기

풀 먹고 자란 소와 곡물사료로 키운 소

댓글 2 | 조회 14,939 | 2010.03.09
지구를 살리려면 소고기를 더 많이 먹어라. 무슨 뚱딴지같은 소린가? 그런데 단지 조건이 있다. 풀밭에서 자란 소의 고기라야만 한다. 그러면 풀을 먹고 자란 소의 … 더보기

고추가 너무 매워요

댓글 1 | 조회 4,060 | 2010.02.09
여름철 저녁 식탁에서 모녀간의 대화다. “어떤 고추가 맵지 않은 거야, 나는 매운 고추는 싫어" 하고 아이가 말하니. 엄마가 식탁 위 고추를 한 입 베어 먹고 나… 더보기

지속 가능한 우리의 생활공간을 위하여

댓글 0 | 조회 3,066 | 2010.01.12
우리의 생활공간은 행복한 삶을 위하여 매우 소중하다. 우리가 이 공간을 어떻게 생각하고 대하느냐에 따라 그에 대한 보상은 현실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 당… 더보기

Hamilton Gardens

댓글 0 | 조회 3,156 | 2009.12.08
뉴질랜드 12월은 장미의 계절이다. 어디서나 쉽게 탐스러운 장미를 만날 수 있어 좋다. 올해는 해밀톤 가든을 찾아 로저스 가든에서 장미 사랑에 흠뻑 빠져 보는 것… 더보기

도대체, 벌에게 무슨 일이

댓글 0 | 조회 3,464 | 2009.11.10
세계적으로 벌에 관한 얘기가 많아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벌들이 꿀을 따러 나갔다가 벌통을 찾아가지 못하는 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 더보기

독감을 이기는 식품에 대한 관심

댓글 0 | 조회 4,015 | 2009.10.13
세계적으로 스와인플루(Swine Flu, H1N1, 신종플루)에 대한 관심이 높다. 북반구 나라에서는 남반구에서 겨울을 지내고 나타날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경계가… 더보기

아시아 채소에 대한 관심

댓글 0 | 조회 3,914 | 2009.09.08
이제는 동서간의 왕래가 빈번해짐에 따라 동양문화와 서양문화에 대한 구분이 점차 희박해진다. 음식문화에서도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서양의 일류 요리사가 텔레비전 프… 더보기

뉴질랜드의 White wine과 호주의 Red wine

댓글 1 | 조회 3,661 | 2009.08.11
뉴질랜드와 호주의 포도주 생산을 살펴보면 뉴질랜드는 대부분 White wine인 반면에 호주는 Red wine이 더 많다. 또한 포도주를 즐기는 사람에 따라 어떤… 더보기

오클랜드에서 나무를 심을 때는

댓글 0 | 조회 3,813 | 2009.07.14
오클랜드는 겨울철에도 땅이 얼지 않아서 나무를 심기에 아주 편리하다. 나무를 심을 수 있은 기간이 어디보다도 길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필자는 지난해 베리류 두… 더보기

감이 노랗게 익어 가면 의사의 얼굴이 노래진다

댓글 1 | 조회 4,402 | 2009.06.09
가을은 탐스럽게 익어가는 감과 함께 우리 곁에 다가 온다. 특히 한국 사람에게는 고향의 감나무에 대한 추억이 어려 있어 이 감이 더욱 정겹다. 뉴질랜드에 와서 가… 더보기

어떤 사과를 좋아 하시는 지요

댓글 0 | 조회 3,928 | 2009.05.12
뉴질랜드 사과는 환경 친화적인 재배와 북반구에서 생산되지 않은 시기의 공급으로 정평이 나 있다. 또한 사과 색택 같은 품질은 어느 나라 것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 더보기

오클랜드 식물원에는 지금

댓글 1 | 조회 2,949 | 2009.04.15
어느 도시나 식물원을 하나쯤은 가지고 있다. 잘 아시겠지만 오클랜드시도 1번 모터웨이 옆 마누레와에 식물원(www. aucklandbotanicgardens.co… 더보기

뒷마당을 넘겨다보는 옆집 복숭아 나무

댓글 0 | 조회 4,015 | 2009.03.11
옆집에는 우리 뒷마당을 넘겨다 보면서 한창 자라고 있는 복숭아나무 한 그루가 있다. 이 나무 옆에는 노폭파인이 심겨져 있어 자꾸만 담장을 넘본다. 지난해 여름 처… 더보기

여름밤에 불어보는 하모니카

댓글 0 | 조회 2,923 | 2009.02.11
여름밤은 길어서 하모니카를 불기에도 좋다. 그러나 하모니카를 불어 본지가 너무 오래되었고, 어디에 두었는지 찾아내기도 쉽지가 않을 거다. 대신에 옥수수 하모니카를… 더보기

잔디 깎는 재미

댓글 1 | 조회 3,451 | 2009.01.13
장난꾸러기 톰(Tom)은 말썽을 부린 벌로 부모로부터 담장에 페인트를 칠하라는 명을 받게 된다. 톰에게는 페인트를 칠하는 것은 지겨운 일인데, 이것을 바라보는 동… 더보기

Permaculture (퍼머컬처)

댓글 0 | 조회 3,168 | 2008.12.10
우리가 살고 있는 터전은 봄이 되면 꽃과 함께 벌 나비 모여들고, 여름에는 녹음이 우거져 새들이 드나들며, 가을에는 풍성한 열매로 우리와 주변 동물을 포용한다. … 더보기

요리사 곁에 있는 허브 포트

댓글 0 | 조회 3,188 | 2008.11.12
음식물은 나름대로 고유의 향을 가지고 있다. 어떤 때는 이 향에 의해서 끌리게 되지만, 어떤 때는 생선의 비린내 같이 강력한 냄새로 입맛을 잃게 한다. 이러한 음… 더보기

농가월령가와 'Moon Calender'

댓글 0 | 조회 2,958 | 2008.09.10
"솔가지 꺾어다가 울타리 새로 하고 장원(담장)도 수축하고 개천도 쳐 올리소.안팎에 쌓인 검불(지푸라기) 정쇄히 쓸어 내어 불 놓아 재 받으면 거름을 보태리니 육… 더보기

뒷마당에 자라는 과일나무

댓글 0 | 조회 5,008 | 2008.08.13
우리 뒷마당에는 피조아, 아보카도, 구아바, 올리브, 복숭아 등 여러 가지 과일나무가 자라고 있어 바라보기만 해도 흐뭇하다. 올해도 과일이 탐스럽게 달려 그런대로… 더보기

[384] 과수원과 까치

댓글 0 | 조회 3,026 | 2008.07.08
한국의 가을철 사과 배 과수원에서는 까치와의 전쟁이 치열하다. 농업인들은 일 년 내내 가꿔온 탐스러운 과일을 지키느라 눈을 부릅뜬 상태이고, 먹을거리가 마땅치 못… 더보기

[382] 한 그루의 장미를 위하여

댓글 0 | 조회 2,920 | 2008.06.10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그루의 장미를 길러 보고 싶은 생각을 하게 될 거다. 필자도 여기 와서야 그 꿈을 실현하고 있다. 겨울은 장미를 돌보며 생각… 더보기

[380] 김장을 하시나요?

댓글 0 | 조회 2,574 | 2008.05.13
가을이 깊어 가고 초겨울이 다가오면 '김장 하셨나요?'가 인사말이던 시절이 있었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자주 들을 수 있었던 소리였다. 그러나 이제는 바쁜 … 더보기

[378] 사돈집 사과 먹는 법

댓글 0 | 조회 3,165 | 2008.04.08
사과의 계절이 다가온다. 그런데, 아직도 사과를 깎아서 드십니까? 한국에서 들여진 습관이 잘 바뀌지 않아서 그럴 수 밖에 없다면 한 번 생각해 보는 것이 어떨런지… 더보기

[376] 여름철 과일과 채소

댓글 0 | 조회 3,951 | 2008.03.11
여름은 과일과 열매채소의 계절이다. 기온이 높고 낮 시간이 길며 햇빛이 강렬해서 모든 식물들이 왕성하게 자라 풍성한 열매를 맺는다. 이러한 풍요로운 열매들이 있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