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을 말리면서....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호박을 말리면서....

3 3,457 왕하지


딱, 딱, 딱, 너무 두껍게 썰으면 잘 안 마르고 너무 얇게 썰으면 바람에 날아가고 알맞게 썰기가 여간 힘든 게 아니다. 호박을 써는 소리가 얼마나 큰지 집안에 울려 퍼지자 아이들이 나와서 물어본다.

“아빠, 뭐해? 요리해?”

호박나무를 한 20그루 심었더니 한인 몇 집을 나누어주고도 호박이 남아 말리기 시작했다. 호박냄새가 달고 너무 맛있다. 겨울에 볶아 먹으면 얼마나 맛있겠는가, 꼴깍~

따뜻한 햇볕에 호박을 말리다보니 젊은 시절의 한 친구가 떠올랐다. 내가 집을 사기위해 열심히 저축하고 있을 때 그 친구도 열심히 사업을 하고 있었는데 그는 버는 것보다 쓰는 것이 훨씬 많았다. 허풍떨기를 좋아하고 워낙 씀씀이가 크다보니 그의 주변에는 허풍을 들어주며 얻어먹는 친구들이 항상 있었다. 그들은 누가 얻어먹어도 얻어먹는 것은 마찬가지라면서 아예 허리띠 풀어놓고 먹어대는 친구들이었다. 나는 매번 얻어만 먹는 것이 미안해 가끔 사양도 할 줄 아는 꽤 양심적인 편이었다.

“내 나이 30에 방3칸짜리 아파트에 살고 있으니 성공한 거 아니야, 우리 마누라가 산거지만 어차피 집을 샀다는 사실만으로도 나는 성공 한 거지 뭐, 안 그래? 자 한잔씩 쭉 들자고~”

그 친구는 일만 한건 성사되어 계약금을 받으면 술집으로 향하곤 하였다. 돈을 모두 써버려 일을 진행 못하면 부인에게 손을 벌리곤 했는데 납품하면 받을 돈이 있기 때문에 부인이 속더라도 돈을 만들어주곤 하였다. 그런 그에게도 부인이 좋아하는 착한구석이 있었다.

그 친구는 일요일 날 만큼은 친구들과 약속을 하지 않았다. 아무리 재미난 일이 있어도 일요일만큼은 부인을 위하여 집에서 나오지 않았다. 부인은 편하게 누워 TV나 보게 하고 설거지하고 밀린 빨래도 하고 청소하고 커피도 끓여주고 안마까지 해주는 완전 봉사하는 날인 셈이었다. 일요일만큼은 부인을 위해서 살자, 나머지 6일은 개차반으로 살지라도... 이런 확실한 사명감을 갖고 있었다. 그 당시에는 남자가 빨래하고 밥한다는 것은 상상도 못하는 시절이었는데 정말 대단한 친구였다. 천호동에 그런 자상한 남편이 있다는 것이 온 동네에 소문이 났고 그 소문은 성내동인 우리 동네까지 퍼질 정도였다. 많은 부인네들이 그 친구 부인이 부러워 미치겠다는 이야기도 들렸다.

어느 날 그 친구로부터 전화가 왔다. 일을 한건 계약했다면서 당장 술집으로 오라는 것이었다. 안 간다고 해도 악착같이 전화질을 해서 가보니 꽤 비싼 술집이었는데 얻어먹는 친구들은 옆에서 낄낄거리며 양주를 빨고 있었고 그 친구는 웨이터들을 세워놓고 일장 훈계를 하고 있었다.

“야, 이 따식들아~ 나 같은 VIP 손님을 모시는 태도가 그게 뭐야, 서비스정신이 싸가지가 없네, 내가 말이야 갖은 게 돈 밖에 없는 사람인데, 너희들 나를 우습게 봤어, 이 따식들~”

그 친구는 돈뭉치를 안주머니에서 꺼내더니 홀에 쫘악 뿌려 버렸다. 많은 사람들이 눈이 휘둥그레져 쳐다보고 친구의 카랑카랑한 목소리는 계속 울려 퍼졌다. 나는 한 푼이라도 없어 질까봐 열나게 돈만 주워 담았다. 돌아오는 길에 그가 물었다.

“돈 뿌리는 내 모습 폼 났지? 큭크, 근데 없어진 돈은 없지?”

“니미, 몇 장 없어진 것 같은데...”

어느 날 밤, 그는 TV와 비디오를 짊어지고 우리 집에 찾아왔다. 거래처로부터 압류가 들어온다고 숨겨 달라면서 집은 부인 거라 끄떡없다고 낄낄거렸다. 그는 그 후 강남에서 부동산 중개업을 한다는 이야기를 끝으로 내 곁에서 희미하게 사라져갔다.

지금쯤 그 친구는 무얼 하고 있을까? 전원주택에 살면서 여름이 되면 나처럼 호박이나 썰어 말리고 있을까? 아니아니, 필시 그 버릇을 못 고쳐 이혼당하고 쪽박 찼을지도 모르지, 아니야, 화끈한 성격에 한몫 잡아 떵떵거리며 살고 있는지도 모르지,

만약, 그 친구가 호박말리는 내 모습을 보게 된다면 뭐라고 말할까?

“어라, 일요일만 호박을 말리는 게 아니라 나머지 6일도 호박만 말리고 있네, 한국으로 수출하려고? 별꼴~”

그럼 나는 마른 호박 한 봉지를 잔디밭에 쫘악 뿌리는 거야, 그리고 묻는 거야, 내 모습 폼 났니? 빠짐없이 주워라 이놈아,

바람이 분다. 얇게 썰어진 호박은 바람을 타고 훨훨 날아간다. 마치 지폐가 날아가듯이...
오키씨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늘 특유의 글냄새가 있어 정겹고 소박하니 좋답니다.^^늘 애써주세요,
왕하지
오키씨님에게서 풍기는
달콤한 향기가 왕가레이까지 퍼지는 군요.
늘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달중이
ㅋㅋㅋ 하지님, 너무 재미있어요 ^^ 마른호박 한봉지를 확 뿌린다고요?? ㅋㅋ

잔디 깎는 재미

댓글 1 | 조회 3,441 | 2009.01.13
장난꾸러기 톰(Tom)은 말썽을 부린 벌로 부모로부터 담장에 페인트를 칠하라는 명을 받게 된다. 톰에게는 페인트를 칠하는 것은 지겨운 일인데, 이것을 바라보는 동… 더보기

Permaculture (퍼머컬처)

댓글 0 | 조회 3,161 | 2008.12.10
우리가 살고 있는 터전은 봄이 되면 꽃과 함께 벌 나비 모여들고, 여름에는 녹음이 우거져 새들이 드나들며, 가을에는 풍성한 열매로 우리와 주변 동물을 포용한다. … 더보기

요리사 곁에 있는 허브 포트

댓글 0 | 조회 3,177 | 2008.11.12
음식물은 나름대로 고유의 향을 가지고 있다. 어떤 때는 이 향에 의해서 끌리게 되지만, 어떤 때는 생선의 비린내 같이 강력한 냄새로 입맛을 잃게 한다. 이러한 음… 더보기

농가월령가와 'Moon Calender'

댓글 0 | 조회 2,950 | 2008.09.10
"솔가지 꺾어다가 울타리 새로 하고 장원(담장)도 수축하고 개천도 쳐 올리소.안팎에 쌓인 검불(지푸라기) 정쇄히 쓸어 내어 불 놓아 재 받으면 거름을 보태리니 육… 더보기

뒷마당에 자라는 과일나무

댓글 0 | 조회 4,993 | 2008.08.13
우리 뒷마당에는 피조아, 아보카도, 구아바, 올리브, 복숭아 등 여러 가지 과일나무가 자라고 있어 바라보기만 해도 흐뭇하다. 올해도 과일이 탐스럽게 달려 그런대로… 더보기

[384] 과수원과 까치

댓글 0 | 조회 3,002 | 2008.07.08
한국의 가을철 사과 배 과수원에서는 까치와의 전쟁이 치열하다. 농업인들은 일 년 내내 가꿔온 탐스러운 과일을 지키느라 눈을 부릅뜬 상태이고, 먹을거리가 마땅치 못… 더보기

[382] 한 그루의 장미를 위하여

댓글 0 | 조회 2,911 | 2008.06.10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그루의 장미를 길러 보고 싶은 생각을 하게 될 거다. 필자도 여기 와서야 그 꿈을 실현하고 있다. 겨울은 장미를 돌보며 생각… 더보기

[380] 김장을 하시나요?

댓글 0 | 조회 2,562 | 2008.05.13
가을이 깊어 가고 초겨울이 다가오면 '김장 하셨나요?'가 인사말이던 시절이 있었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자주 들을 수 있었던 소리였다. 그러나 이제는 바쁜 … 더보기

[378] 사돈집 사과 먹는 법

댓글 0 | 조회 3,149 | 2008.04.08
사과의 계절이 다가온다. 그런데, 아직도 사과를 깎아서 드십니까? 한국에서 들여진 습관이 잘 바뀌지 않아서 그럴 수 밖에 없다면 한 번 생각해 보는 것이 어떨런지… 더보기

[376] 여름철 과일과 채소

댓글 0 | 조회 3,938 | 2008.03.11
여름은 과일과 열매채소의 계절이다. 기온이 높고 낮 시간이 길며 햇빛이 강렬해서 모든 식물들이 왕성하게 자라 풍성한 열매를 맺는다. 이러한 풍요로운 열매들이 있기… 더보기

[374] 유기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

댓글 0 | 조회 2,401 | 2008.02.12
여러분은 유기 농산물에 대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요? 배부른 사람들의 사치스런 행각으로 보나요? 아니면, 사보지만 왠지 값이 비싸고 신뢰가 가지 않는다는 생… 더보기

[372] 한국인이 찾는 순한 매운 맛

댓글 0 | 조회 2,713 | 2008.01.15
해외여행을 다녀와서는 얼큰한 것이 먹고 싶다고 한다. 김치 고추장 매운탕 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과연 한국인이 찾는 이 얼큰한 맛은 무엇일까? 누구나 쉽게 짐작이… 더보기

[370] 푸드 마일(Food Miles)

댓글 0 | 조회 2,796 | 2007.12.11
지난해 미국의 대형 유통업체인 월마트에서 유기 농산물 취급을 늘린다고 발표함에 따라 유기 농산물에 대한 논쟁이 뜨거워 졌다. 그래서 시사주간지 타임(Time, 2… 더보기

[368] 서양채소와 향신채 허브

댓글 0 | 조회 3,289 | 2007.11.13
서양채소, 한국채소의 분류는 기준이 모호한 면이 있다. 서양채소는 원산지가 서양으로 주로 서양인들이 즐겨 먹는 채소류로 정의하는 것이 문안할 것이다. 세계 여행이… 더보기

[366] 채소와 과일 색깔로 즐겨라

댓글 0 | 조회 2,370 | 2007.10.09
빨간 사과, 노란 레몬, 자주색 포도 소리만 들어도 입에 침이 고인다. 여태껏 이들 원예 농산물은 비타민과 미네랄의 영양원으로만 강조해 왔었다. 그런데 이제는 섬… 더보기

[364] 원예작물의 품질과 제철

댓글 0 | 조회 2,359 | 2007.09.26
사과, 배, 감 같은 우리에게 낯익은 과일에서부터 브로콜리 비트 같은 낯선 채소까지 넘쳐 나는 마트에서 어떠한 기준으로 쇼핑을 하나요? 이제는 시설재배가 일반화되… 더보기

늙은 암탉

댓글 1 | 조회 2,697 | 2013.01.30
더운 날씨에 내가 데크에 나가 바람이라도 쏘이고 있으면 우리 집 개는 네다리 쭉 뻗고 잔디밭에 누워 있다가 고개를 슬쩍 들고는 나를 보는 둥 마는 둥 한다. 마치… 더보기

새해인데 인사는 드려야지요

댓글 0 | 조회 2,741 | 2013.01.15
뉴질랜드 시골에 살다보니 새해가 되었어도 인사하는 법을 잊어버리고 살아간다. 해가 바뀌고 올해 환갑을 맞는 친구가 몇이 있고 손자를 본 친구가 누군지... 밥들은… 더보기

할아버지 하나 잘 사귀면...

댓글 4 | 조회 3,030 | 2012.12.11
엘렌 할아버지가 배낚시를 가자고 했다. 날씨가 샤워링이라는데 비가 오면 비를 피할 곳도 없는 작은 보트인데 찝찝했다. 어쨌거나 비가 왕창 쏟아지면 감기 걸릴 확률… 더보기

그림속의 레즈비언

댓글 2 | 조회 2,882 | 2012.11.28
요즘 하루에도 몇 번씩 나를 찾아오는 여자가 있다. 초롱초롱한 눈가에 흰 분칠을 하고 머리를 곱게 빗어 넘기고 야들야들한 몸매에 나를 만나면 몸 둘 곳을 모르고 … 더보기

걸어서 중국집까지....

댓글 0 | 조회 3,113 | 2012.11.13
후배에게 전화가 왔다. 큰 딸이 대학교 전체수석에다가 교사자격증까지 땄다고 한다. “야 대단하군, 정말 자네를 안 닮았어. 우리 딸내미도 수석이지...… 더보기

양고기와 아보카도

댓글 2 | 조회 3,774 | 2012.10.24
어느 날 우리 집 길목에 앞집 양 한마리가 돌담을 넘어 길가에 풀을 뜯어먹고 있었다. 우두머리 양이 돌담을 넘자 다른 양들도 따라 돌담을 넘어 풀을 뜯어먹었다. … 더보기

말 많은 동네...

댓글 1 | 조회 3,143 | 2012.10.09
우리 집으로 들어오는 길목의 작은 집 하나는 몇 년 사이에 집주인이 세 번이나 바뀌었다. 맨 처음 노부부가 1헥타르 정도의 땅을 사서 게라지 하우스 같은 작은 집… 더보기

뒤집기 한판

댓글 0 | 조회 2,306 | 2012.09.25
어머니가 병원에 입원했었는데 잘 퇴원했다고 여동생에게 전화가 왔다. “오빠, 원무부장님도 병실에 다녀가시고 의사들도 참 잘해줬어요. 그리고 병원비가 조… 더보기

괜히 왔다간다

댓글 2 | 조회 4,054 | 2012.09.12
“뉴질랜드에 사는 둘째며느리인데요. 우리 어머니 좀 바꿔주세요.” 아내가 한국의 경로당으로 전화를 하니까 전화를 받은 할머니는 어머니가 다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