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사 곁에 있는 허브 포트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요리사 곁에 있는 허브 포트

0 개 3,183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
음식물은 나름대로 고유의 향을 가지고 있다. 어떤 때는 이 향에 의해서 끌리게 되지만, 어떤 때는 생선의 비린내 같이 강력한 냄새로 입맛을 잃게 한다. 이러한 음식물의 고유한 향을 중화시켜서 보다 맛있는 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허브가 사용된다. 현대의 요리는 기름기를 덜어 내고, 설탕을 줄여서 맛을 내야 한다. 그러자니 일류 요리사 일수록 생 허브를 많이 사용한다. 그래서 센스 있는 주부는 허브 포트를 부엌에 두려 한다.

요리에 허브를 사용하게 되면 우선 음식에 향을 더해서 입맛을 돋우게 될 뿐 아니라 어떤 것은 소화를 돕기도 한다. 또한 허브의 약리작용을 기대할 수도 있다. 허브는 약초와 마찬가지로 전통적인 유기 재배로만 고유의 향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허브는 안전한 고품질 채소로 간주된다.

그러면 요리사 곁에 있는 허브 포트에는 어떠한 것들이 심겨지는지 알아보자. 먼저 영국의 허브 전문가 McVicar는 샐러드용 채소, 고기, 닭고기류(가금류, Poultry), 생선에 어울리는 허브를 각각 소개한다. 상대적으로 허브가 낯선 우리에게 참고가 될 만하다.

첫째로 샐러드에 사용되는 허브로는 로즈매리, 자소(Purple shiso, Perilla frutescens), 박하(Tashkent mint), 차이브, 셀러리를 들고 있다. 특히 박하와 샐러리는 뿌리채소(근채류)에 잘 어울리고, 차이브는 양파 감자와 궁합이 맞는다. 로즈매리는 토마토 요리에 자소는 볶음요리에 제격이다.

두 번째로 고기 요리에는 로즈매리, 사보리(Winter savory), 오레가노(Golden curly oregano), 백리향(Thyme), 세이지(Israeli sage)를 들고 있다. 이들 허브는 고기의 소화를 촉진시킨다. 특히 로즈매리는 입맛을 돋우는 허브로 입안에 침을 고이게 만들며, 양고기 요리에 잘 어울린다. 사보리는 서양의 스튜요리에 적합하며, 배에 가스가 차는 것을 막아 준다는 말이 전해진다.

세 번째로 닭고기류에는 월계수 잎(Bay), 파슬리(French parsley), 백리향(Lemon thyme), 타라곤(French tarragon), 세이지(Greek sage)를 들고 있다. 닭고기 요리에는 껍질에 문지르든지 배 속에 집어넣는다. 타라곤은 특히 소화 촉진에 도움이 되며, 월계수 잎 세이지 파슬리는 전통적으로 닭요리 배 속에 집어넣은 허브로 유명하다.

네 번째로 생선요리에 들어가는 허브에는 메이스(English mace, Achillea ageratum), 페널(Bronze fennel), 수영(Common sorrel, Rumex acetosa), 백리향(Orange-scented thyme), 파슬리(Curly leaved parsley)를 든다. 생선요리에는 허브 사용이 전통적 비법으로 알려져 온다. 특히 백리향은 냄새가 강한 생선 요리에, 수영은 소스를 만드는 데 많이 활용되며, 메이스는 송어 요리에 빠져서는 안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엌에 마련되는 허브는 개별 포트에 각각 심든지, 대형 포트에 모아 심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초보자에게는 허브의 자람을 조절하기 어려운 관계로 개별 포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나, 전문가는 한 포트에 여러 허브를 같이 심는다. 특히 샐러드 고기 닭고기 생선 등에 각각 잘 어울리는 허브를 분류해서 심을 것을 권장한다.

허브는 유기재배가 원칙이다. 부엌에 놓는 다고 멋을 내기 위해서 멀칭을 해서도 안 된다. 포트의 위치는 반그늘이 적합하며, 대부분 허브의 원산지는 지중해로 건조한 기후에서 잘 자란다. 그러나 포트는 건조하기 쉬우므로 아침저녁으로 관찰하며 물을 자주 주어야 한다. 그리고 허브의 세력이 약해지면 다시 새 것으로 심어 보충해야 한다.

세계적으로 음식이 닮아 가고 있지만 식성은 민족과 개인에 따라 서로 다르다. 서양인이 즐기는 허브라 할지라도 우리 입맛에는 맞지 않을 수가 있고, 또한 허브의 종류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여러분의 허브 포트는 여러분이 채워야 한다. 다가오는 여름에는 허브 향에 취해 보는 것이 어떨 런지요?

* 즐기는 허브를 한 포트에 모아 심으면 사용에 편리하다.

ⓒ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http://www.koreatimes.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마을 공동텃밭(Community Garden)

댓글 1 | 조회 3,730 | 2011.05.10
가정 규모의 텃밭을 운영 하다보면 어느 땐 넘쳐 나는 수확물 처리에 골몰 할 때가 있다. 올해 우리 정원에는 피조아가 풍년이다. 그리고 상추도 그런대로 풍성했다.… 더보기

우리 집 울타리

댓글 0 | 조회 6,495 | 2011.04.12
우리 집 울타리는 이웃과 경계한다. 울타리 안 정원에는 주인이 좋아하는 장미, 목련, 잔디로 가득 하다. 민들레 질경이 같은 잡초나, 달팽이, 슬러지 같은 민망한… 더보기

우리 동네 과일가게

댓글 0 | 조회 3,541 | 2011.03.09
‘당신은 대형 마트에서 쇼핑하는 것을 좋아 합니까, 아니면 동네가게를 자주 들릅니까?’ 영어 작문의 한 제목이다. 찬반양론에 대한 논리적 전개를 보기 위한 훌륭한… 더보기

여름이 지난 후 잔디밭에는

댓글 0 | 조회 3,892 | 2011.02.08
뉴질랜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잔디밭으로 일컬어지는 풀밭은 가지고 있다. 잔디는 아주 드물고 풀이 더 많으니 그리 불러야 옳겠으나 많은 사람들이 잔디밭이라 부른다.… 더보기

새소리가 시끄럽습니까?

댓글 1 | 조회 3,989 | 2011.01.14
예전 기억으로는 고향에는 참새가 무척 많았다. 그래서 가을이면 논과 밭에 참새 떼가 극성을 부렸다. 곡식을 마구 쪼아대는 이들은 없어야 하는 동물로 여긴 적도 있… 더보기

하얀 진이 뚝뚝 떨어지는 상추

댓글 0 | 조회 4,596 | 2010.12.07
상추를 쌈으로 먹은 것은 한국인의 고유한 음식문화 중에 하나이다. 60년대 영화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에서 밥을 상추에 싸서 입이 터지게 먹는 장면을 기억하는 … 더보기

완벽함을 추구하는 아보카도

댓글 2 | 조회 5,486 | 2010.11.10
이런 과일은 어떨까? 우선 영양가가 풍부해서 우리 건강에 좋을 뿐 아니라, 먹기에도 편리하고, 맛에 있어 새로운 미각을 자극하여 무언가 다르게 품위도 있으며, 시… 더보기

치치ˇ 식물원의 봄

댓글 0 | 조회 3,359 | 2010.10.12
크라이스트처치 방문 계획을 세우는 데 지진 소식이 들려왔다. 정말 오랜만에 벼르고 별러서 가려는 데, 좀 실망스러웠다. 그런데 함께 가려는 그룹은 좀 태연하다 “… 더보기

우리의 안전한 먹거리를 생각한다

댓글 0 | 조회 3,123 | 2010.09.15
세상에 먹을 게 넘쳐 나지만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얘기는 끊이질 않는다. 영국의 찰스 황태자는 유기농 신봉자로 유명하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 부부는 백악관 채마… 더보기

우리 곁에 성큼 다가선 GE 농산물

댓글 0 | 조회 3,021 | 2010.08.10
지난해 전 세계 농경지 가운데 3% 정도에 GE(유전자조작, Genetically engineered) 작물이 심겨 졌다. GE 작물이 개발 된지 14년만의 결과… 더보기

한국 동치미와 일본 단무지

댓글 0 | 조회 5,125 | 2010.07.13
1970년대 학창시절 강의실에서 있었던 일화다. 일본 출장을 다녀온 교수님께서 일본에서는 오후 간식으로 차와 단무지를 먹더라. 그러면서 “일본사람들 그리 잘 사는… 더보기

키위 나라 키위 이야기

댓글 0 | 조회 4,075 | 2010.06.09
“뉴질랜드 키위(Kiwi fruit)가 잘 나가고 있다.” “무순 소리냐, 마트에는 이태리 산 키위가 들어 와 있던데.” “그래, 그렇지만 뉴질랜드 키위는 잘 나… 더보기

경외스런 자연 Kauri

댓글 0 | 조회 3,331 | 2010.05.11
카우리는 태고부터 뉴질랜드에 자리 잡은 터줏대감이다. 뉴질랜드 북섬에서만 자라는 세계적인 거목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나무를 처음으로 만나게 되면 그 위풍당당함에… 더보기

기후변화 이야기

댓글 0 | 조회 3,158 | 2010.04.13
지난 1월 중국 북경에는 폭설이 내렸다. 1951년 이래로 가장 심한 눈으로 기록되었다. 도로가 차단되는가 하면 기차 항공기 등 교통이 두절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더보기

풀 먹고 자란 소와 곡물사료로 키운 소

댓글 2 | 조회 14,932 | 2010.03.09
지구를 살리려면 소고기를 더 많이 먹어라. 무슨 뚱딴지같은 소린가? 그런데 단지 조건이 있다. 풀밭에서 자란 소의 고기라야만 한다. 그러면 풀을 먹고 자란 소의 … 더보기

고추가 너무 매워요

댓글 1 | 조회 4,051 | 2010.02.09
여름철 저녁 식탁에서 모녀간의 대화다. “어떤 고추가 맵지 않은 거야, 나는 매운 고추는 싫어" 하고 아이가 말하니. 엄마가 식탁 위 고추를 한 입 베어 먹고 나… 더보기

지속 가능한 우리의 생활공간을 위하여

댓글 0 | 조회 3,060 | 2010.01.12
우리의 생활공간은 행복한 삶을 위하여 매우 소중하다. 우리가 이 공간을 어떻게 생각하고 대하느냐에 따라 그에 대한 보상은 현실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 당… 더보기

Hamilton Gardens

댓글 0 | 조회 3,150 | 2009.12.08
뉴질랜드 12월은 장미의 계절이다. 어디서나 쉽게 탐스러운 장미를 만날 수 있어 좋다. 올해는 해밀톤 가든을 찾아 로저스 가든에서 장미 사랑에 흠뻑 빠져 보는 것… 더보기

도대체, 벌에게 무슨 일이

댓글 0 | 조회 3,457 | 2009.11.10
세계적으로 벌에 관한 얘기가 많아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벌들이 꿀을 따러 나갔다가 벌통을 찾아가지 못하는 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 더보기

독감을 이기는 식품에 대한 관심

댓글 0 | 조회 4,009 | 2009.10.13
세계적으로 스와인플루(Swine Flu, H1N1, 신종플루)에 대한 관심이 높다. 북반구 나라에서는 남반구에서 겨울을 지내고 나타날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경계가… 더보기

아시아 채소에 대한 관심

댓글 0 | 조회 3,909 | 2009.09.08
이제는 동서간의 왕래가 빈번해짐에 따라 동양문화와 서양문화에 대한 구분이 점차 희박해진다. 음식문화에서도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서양의 일류 요리사가 텔레비전 프… 더보기

뉴질랜드의 White wine과 호주의 Red wine

댓글 1 | 조회 3,658 | 2009.08.11
뉴질랜드와 호주의 포도주 생산을 살펴보면 뉴질랜드는 대부분 White wine인 반면에 호주는 Red wine이 더 많다. 또한 포도주를 즐기는 사람에 따라 어떤… 더보기

오클랜드에서 나무를 심을 때는

댓글 0 | 조회 3,806 | 2009.07.14
오클랜드는 겨울철에도 땅이 얼지 않아서 나무를 심기에 아주 편리하다. 나무를 심을 수 있은 기간이 어디보다도 길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필자는 지난해 베리류 두… 더보기

감이 노랗게 익어 가면 의사의 얼굴이 노래진다

댓글 1 | 조회 4,399 | 2009.06.09
가을은 탐스럽게 익어가는 감과 함께 우리 곁에 다가 온다. 특히 한국 사람에게는 고향의 감나무에 대한 추억이 어려 있어 이 감이 더욱 정겹다. 뉴질랜드에 와서 가… 더보기

어떤 사과를 좋아 하시는 지요

댓글 0 | 조회 3,922 | 2009.05.12
뉴질랜드 사과는 환경 친화적인 재배와 북반구에서 생산되지 않은 시기의 공급으로 정평이 나 있다. 또한 사과 색택 같은 품질은 어느 나라 것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