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2] 한 그루의 장미를 위하여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82] 한 그루의 장미를 위하여

0 개 2,911 KoreaTimes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그루의 장미를 길러 보고 싶은 생각을 하게 될 거다. 필자도 여기 와서야 그 꿈을 실현하고 있다. 겨울은 장미를 돌보며 생각하는 뜻 깊은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계절이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탐스러운 꽃을 선사한 장미에 대한 가지 정리라든지, 내년을 대비하며 마음에 드는 색깔의 장미를 새로 심는다든지 그런 일에 적합하다.

  정원에서 낙엽이 진 장미는 가지를 잘라 주어야 한다. 우선 날씨가 맑은 날을 택해서 가지의 중간 정도를 전정가위로 잘라 낸다. 그 다음에 옆으로 난 잔 가지를 모두 제거한다. 한 그루 가운데 충실한 가지 서너 개만 남겨서 바람이 잘 통하는 원통형으로 만든다. 장미 가지 수와 높이는 나무의 세력, 정원과의 어울림 등을 고려해서 정하도록 한다. 이 때 조심해야 할 사항은 누가 말 했던가 장미에는 가시가 있다고. 작업을 할 때는 가죽 장갑으로 무장을 하고 긴 전정가위를 사용해야 안전하다.

  겨울철이 너무 추우면 장미는 얼어 죽게 된다. 날씨가 추운 지방에서는 겨울에 비닐 보온재 등으로 싸매 주어야 한다. 그리고 추위가 가시면 곧 바로 풀어 준다. 그러나 오클랜드에서는 날씨가 따뜻해서 그런 수고를 덜 수 있어 다행이다.

  일반 나무와 마찬가지로 장미도 세력이 약할 경우에는 땅 표면까지 바짝 잘라 주어야 강한 새 가지를 기대할 수 있다. 반대로 가지의 세력이 너무 강해서 웃자랄 경우에는 가지의 중간 정도를 자르게 되면 보다 약한 가지가 나오게 된다. 그러므로 장미가 약하게 자라 가느다란 가지만 나오는 경우에는 가능한 바짝 자르도록 한다. 최근에 인기가 있는 기둥을 높여서 기르는 장미는 특히 가지를 바싹 잘라 주어야 한다. 또한 장미의 세력이 약한 가지에서 꽃이 지고 나서 생기는 열매는 빨리 제거해 주는 것이 나무의 세력관리에 도움이 된다.

  장미는 특히 햇빛을 좋아하는 식물에 속한다. 양지쪽에 심어야 탐스러운 꽃을 기대할 수가 있다. 하루 중 다섯 시간이상을 햇빛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좋다. 그렇지 못한 곳도 장미를 재배 하고 싶을 경우에는 화분을 사용해서 장미를 길러서 꽃이 필 때 원하는 장소로 옮기는 방법도 있다. 여기 오클랜드의 토양은 질참흙이 대부분이라 물 빠짐이 좋지 않은 곳에서는 잘 자랄 수 없다. 장미를 심을 곳은 물 빠짐을 확인하고 그렇지 못한 곳은 물이 잘 빠질 수 있도록 개선해 주어야 한다. 접목한 장미를 심을 경우에는 줄기의 접목 부위가 땅 표면에서 떨어지게 심는다. 또한 퇴비를 챙길 수 없을 경우에는 바크나 우드 칩으로 멀칭(피복)을 해 준다.

  일반 스탠다드 장미는 전통적인 맛이 나서 포인트를 주고 싶은 곳에 심으면 멋을 더할 수 있고, 덩굴장미는 울타리나 정자 지붕에 어울리며, 관목 장미는 정원의 맨 앞쪽이나 길을 따라 심으면 운치를 돋울 수 있다. 향이 짙은 장미는 출입구나 창가에 심으면 제격이고, 장미의 키를 높여서 주두(株頭)를 형성하는 필러(Pillar) 장미는 베란다 또는 입구 표시 나무로 멋을 낼 수  있다.

  장미는 역사이래로 사랑과 멋과 부의 상징으로 뭇 사람의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아 왔다. 장미의 품종은 수천종이 넘는다. 개인의 취향, 색깔, 목적에 따라 선택하는 수 밖에. 또한 장미도 뿌리와 가지가 건강한 묘목을 선정토록 하고, 시들었거나 병든 흔적이 보이면 피해야 한다.  

  장미에 진딧물이나 흰가루병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한두 그루 관리에는 약제를 사용하기 보다는, 진딧물이 심할 경우에는 잎에 물을 자주 뿌려 주고, 병에 걸린 가지는 잘라 내고 새 순을 받는 것이 효과적이다.

  학창시절에 선생님께서 장미를 심는 것을 가지고 부부 싸움을 한 얘기를 들려 준 적이 있다. 남편은 대문 옆에 심으려 하고 아내는 창가에 심어야 한다고 주장을 한다면, 아니 붉은 장미를 좋아하는 아버지와 노란 장미를 심으려는 딸이 있다면. 사람들은 모두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으니, 조율을 하면서 사는 수 밖에. 그게 사는 재미가 아니겠는가? 이번 겨울은 장미 생각에 푹 빠져 다가오는 여름을 꿈꾸며 지내는 것이 어떠할 런지요.

여름이 지난 후 잔디밭에는

댓글 0 | 조회 3,879 | 2011.02.08
뉴질랜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잔디밭으로 일컬어지는 풀밭은 가지고 있다. 잔디는 아주 드물고 풀이 더 많으니 그리 불러야 옳겠으나 많은 사람들이 잔디밭이라 부른다.… 더보기

새소리가 시끄럽습니까?

댓글 1 | 조회 3,979 | 2011.01.14
예전 기억으로는 고향에는 참새가 무척 많았다. 그래서 가을이면 논과 밭에 참새 떼가 극성을 부렸다. 곡식을 마구 쪼아대는 이들은 없어야 하는 동물로 여긴 적도 있… 더보기

하얀 진이 뚝뚝 떨어지는 상추

댓글 0 | 조회 4,591 | 2010.12.07
상추를 쌈으로 먹은 것은 한국인의 고유한 음식문화 중에 하나이다. 60년대 영화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에서 밥을 상추에 싸서 입이 터지게 먹는 장면을 기억하는 … 더보기

완벽함을 추구하는 아보카도

댓글 2 | 조회 5,484 | 2010.11.10
이런 과일은 어떨까? 우선 영양가가 풍부해서 우리 건강에 좋을 뿐 아니라, 먹기에도 편리하고, 맛에 있어 새로운 미각을 자극하여 무언가 다르게 품위도 있으며, 시… 더보기

치치ˇ 식물원의 봄

댓글 0 | 조회 3,356 | 2010.10.12
크라이스트처치 방문 계획을 세우는 데 지진 소식이 들려왔다. 정말 오랜만에 벼르고 별러서 가려는 데, 좀 실망스러웠다. 그런데 함께 가려는 그룹은 좀 태연하다 “… 더보기

우리의 안전한 먹거리를 생각한다

댓글 0 | 조회 3,119 | 2010.09.15
세상에 먹을 게 넘쳐 나지만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얘기는 끊이질 않는다. 영국의 찰스 황태자는 유기농 신봉자로 유명하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 부부는 백악관 채마… 더보기

우리 곁에 성큼 다가선 GE 농산물

댓글 0 | 조회 3,013 | 2010.08.10
지난해 전 세계 농경지 가운데 3% 정도에 GE(유전자조작, Genetically engineered) 작물이 심겨 졌다. GE 작물이 개발 된지 14년만의 결과… 더보기

한국 동치미와 일본 단무지

댓글 0 | 조회 5,121 | 2010.07.13
1970년대 학창시절 강의실에서 있었던 일화다. 일본 출장을 다녀온 교수님께서 일본에서는 오후 간식으로 차와 단무지를 먹더라. 그러면서 “일본사람들 그리 잘 사는… 더보기

키위 나라 키위 이야기

댓글 0 | 조회 4,069 | 2010.06.09
“뉴질랜드 키위(Kiwi fruit)가 잘 나가고 있다.” “무순 소리냐, 마트에는 이태리 산 키위가 들어 와 있던데.” “그래, 그렇지만 뉴질랜드 키위는 잘 나… 더보기

경외스런 자연 Kauri

댓글 0 | 조회 3,325 | 2010.05.11
카우리는 태고부터 뉴질랜드에 자리 잡은 터줏대감이다. 뉴질랜드 북섬에서만 자라는 세계적인 거목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나무를 처음으로 만나게 되면 그 위풍당당함에… 더보기

기후변화 이야기

댓글 0 | 조회 3,157 | 2010.04.13
지난 1월 중국 북경에는 폭설이 내렸다. 1951년 이래로 가장 심한 눈으로 기록되었다. 도로가 차단되는가 하면 기차 항공기 등 교통이 두절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더보기

풀 먹고 자란 소와 곡물사료로 키운 소

댓글 2 | 조회 14,926 | 2010.03.09
지구를 살리려면 소고기를 더 많이 먹어라. 무슨 뚱딴지같은 소린가? 그런데 단지 조건이 있다. 풀밭에서 자란 소의 고기라야만 한다. 그러면 풀을 먹고 자란 소의 … 더보기

고추가 너무 매워요

댓글 1 | 조회 4,043 | 2010.02.09
여름철 저녁 식탁에서 모녀간의 대화다. “어떤 고추가 맵지 않은 거야, 나는 매운 고추는 싫어" 하고 아이가 말하니. 엄마가 식탁 위 고추를 한 입 베어 먹고 나… 더보기

지속 가능한 우리의 생활공간을 위하여

댓글 0 | 조회 3,058 | 2010.01.12
우리의 생활공간은 행복한 삶을 위하여 매우 소중하다. 우리가 이 공간을 어떻게 생각하고 대하느냐에 따라 그에 대한 보상은 현실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 당… 더보기

Hamilton Gardens

댓글 0 | 조회 3,148 | 2009.12.08
뉴질랜드 12월은 장미의 계절이다. 어디서나 쉽게 탐스러운 장미를 만날 수 있어 좋다. 올해는 해밀톤 가든을 찾아 로저스 가든에서 장미 사랑에 흠뻑 빠져 보는 것… 더보기

도대체, 벌에게 무슨 일이

댓글 0 | 조회 3,453 | 2009.11.10
세계적으로 벌에 관한 얘기가 많아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벌들이 꿀을 따러 나갔다가 벌통을 찾아가지 못하는 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 더보기

독감을 이기는 식품에 대한 관심

댓글 0 | 조회 3,999 | 2009.10.13
세계적으로 스와인플루(Swine Flu, H1N1, 신종플루)에 대한 관심이 높다. 북반구 나라에서는 남반구에서 겨울을 지내고 나타날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경계가… 더보기

아시아 채소에 대한 관심

댓글 0 | 조회 3,903 | 2009.09.08
이제는 동서간의 왕래가 빈번해짐에 따라 동양문화와 서양문화에 대한 구분이 점차 희박해진다. 음식문화에서도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서양의 일류 요리사가 텔레비전 프… 더보기

뉴질랜드의 White wine과 호주의 Red wine

댓글 1 | 조회 3,655 | 2009.08.11
뉴질랜드와 호주의 포도주 생산을 살펴보면 뉴질랜드는 대부분 White wine인 반면에 호주는 Red wine이 더 많다. 또한 포도주를 즐기는 사람에 따라 어떤… 더보기

오클랜드에서 나무를 심을 때는

댓글 0 | 조회 3,801 | 2009.07.14
오클랜드는 겨울철에도 땅이 얼지 않아서 나무를 심기에 아주 편리하다. 나무를 심을 수 있은 기간이 어디보다도 길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필자는 지난해 베리류 두… 더보기

감이 노랗게 익어 가면 의사의 얼굴이 노래진다

댓글 1 | 조회 4,392 | 2009.06.09
가을은 탐스럽게 익어가는 감과 함께 우리 곁에 다가 온다. 특히 한국 사람에게는 고향의 감나무에 대한 추억이 어려 있어 이 감이 더욱 정겹다. 뉴질랜드에 와서 가… 더보기

어떤 사과를 좋아 하시는 지요

댓글 0 | 조회 3,918 | 2009.05.12
뉴질랜드 사과는 환경 친화적인 재배와 북반구에서 생산되지 않은 시기의 공급으로 정평이 나 있다. 또한 사과 색택 같은 품질은 어느 나라 것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 더보기

오클랜드 식물원에는 지금

댓글 1 | 조회 2,937 | 2009.04.15
어느 도시나 식물원을 하나쯤은 가지고 있다. 잘 아시겠지만 오클랜드시도 1번 모터웨이 옆 마누레와에 식물원(www. aucklandbotanicgardens.co… 더보기

뒷마당을 넘겨다보는 옆집 복숭아 나무

댓글 0 | 조회 4,002 | 2009.03.11
옆집에는 우리 뒷마당을 넘겨다 보면서 한창 자라고 있는 복숭아나무 한 그루가 있다. 이 나무 옆에는 노폭파인이 심겨져 있어 자꾸만 담장을 넘본다. 지난해 여름 처… 더보기

여름밤에 불어보는 하모니카

댓글 0 | 조회 2,914 | 2009.02.11
여름밤은 길어서 하모니카를 불기에도 좋다. 그러나 하모니카를 불어 본지가 너무 오래되었고, 어디에 두었는지 찾아내기도 쉽지가 않을 거다. 대신에 옥수수 하모니카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