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4] 원예작물의 품질과 제철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64] 원예작물의 품질과 제철

0 개 2,369 KoreaTimes
  사과, 배, 감 같은 우리에게 낯익은 과일에서부터 브로콜리 비트 같은 낯선 채소까지 넘쳐 나는 마트에서 어떠한 기준으로 쇼핑을 하나요? 이제는 시설재배가 일반화되어 겨울에도 여름 채소가 넘치고, 세계적인 교역으로 사시사철 열대과일이 즐비하다. 가족의 건강을 위하여 싱싱하고 맛있는 과일에다, 비타민 미네랄 등 영양가가 풍부한 채소를 고른다고요? 그러면 여러분의 고품질 과일, 채소의 기준은 무엇입니까?

  우리 동양인들은 대부분은 커서 탐스럽고 단 과일을 좋아 한다. 그러나 키위들을 달고 신맛이 조화를 이루면서 향이 짙은 것을 선호한다. 그렇다, 충분히 익어야 달고, 잘 익어야 향이 짙어진다. 개인차이는 있을망정 고품질 농산물을 골라내는 데는 모두 다 나름대로의 견해를 가지고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과일 채소 같은 원예작물의 품질은 크기, 당도와 산도, 색깔, 농약 안전성 등이 중요하다. 채소는 너무 크면 비료를 많이 주었을 가능성이 높다. 우리 선조들은 상추는 손바닥 크기를 골랐고, 너무 큰 배추는 가축의 먹이로 이용했다. 그래서 채소는 품종 고유의 크기로 알맞은 것이 고품질이다. 또한 과일은 충분히 익어서 단맛이 높아야 하고, 품종 고유의 색깔을 나타내야 한다. 또한 나무에서 충분히 익어서 색깔이 짙어야 한다. 이 때 조심할 것은 잘 익은 과일은 저장성이 떨어지므로 빨리 소비해야 한다. 현대 농법에서는 농약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 데, 농약 안전사용 기준을 지키는 믿을 많은 농장에서 생산된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환경론자들은 제철에 생산된 과일과 채소를 최고로 쳐준다. 품질이 높을 뿐 아니라 생산하는 데 환경에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추 브로콜리 같은 저온성 채소는 봄 가을에, 토마토 호박 가지 같은 고온성 채소는 여름철에 제 맛이 나고 품질이 높게 마련이다. 이제 우리가 사철 즐기는 김치도 초겨울에 충분히 담갔다고 여름철까지 두고두고 먹어야 한다. 그래야만 품질이 높은 원료 무 배추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비자의 현명한 구매 패턴으로 농업 생산을 이끌어 갈 수 있다. 그렇게 해야만 환경을 보호하고 나아가서 지구를 보존할 수 있게 된다.

  미국에서 들어 온 복숭아, 자두가 마트에 즐비하다. 애국자 키위는 뉴질랜드에서 생산된 오렌지를 고른다. 다국적 과일 유통업체들의 마케팅 전략에 따라 들여 온 북반구의 제철 과일이다. 물론 품질은 좋으나 조금만 소비하는 것이 현명하리라 생각된다. 애국자 키위처럼 여기의 제철 과일을 많이 사고, 북반구 여름과일은 양념으로 즐겨야 제격이다.

  뉴질랜드는 한국과 6개월의 계절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래서 여기는 봄이 시작되는 데 추석을 맞이하게 되고, 가을이 시작될 때 설을 맞이하게 된다. 추석 기분을 내려고 송편을 먹어 보고, 설 기분을 내려고 떡국을 차려 보지만  어색하다. 왠지 격에 맡지 않은 것 같은 기분이다. 이국생활에 적적한 마음을 달래기에는 그리해도 문안하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제철을 맞는 음식상은 달라야 한다. 여기서 추석에는 한국의 설날 음식을, 설날에는 추석 상차림이 제철을 따라가는 음식준비로 여겨진다. 음식도 계절과 지역을 초월 할 수 없으니 말이다.

※ 반갑습니다. 앞으로 원예작물의 품질과 텃밭을 포함한 정원관리에(Gardening) 관해서 함께 생각하는 장을 마련코자 합니다. 또한 뉴질랜드의 유기농업에 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성원을 부탁 드립니다. ※

오클랜드 식물원의 텃밭 디자인

댓글 1 | 조회 2,650 | 2012.05.08
오클랜드 식물원에서는 방문객센터 왼편에 새로 텃밭을 조성한다. 시민들의 텃밭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시점에 시작해서 올해가 두 번째 해를 맞이한다. 첫해는 구획… 더보기

웨스트 오클랜드 와인어리

댓글 1 | 조회 2,435 | 2012.04.12
주말 웨스트 오클랜드 와인어리는 무척 북적댄다. 포도주를 사러 들리는 방문객에다, 가족단위 외식 나들이 손님에다, 또는 클럽모임에 참석한 사람들도 있으리라. 비교… 더보기

열무김치

댓글 1 | 조회 3,216 | 2012.03.13
‘아가리 딱딱 벌려라 열무김치 들어간다.’ 어릴 적 들었던 동요의 일부분 이다. 그 밖의 내용은 잘 기억이 잘 나질 않는데, 아무튼 분명한 … 더보기

에코투어리즘(Ecotourism)

댓글 0 | 조회 2,574 | 2012.02.15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 존재하는 것일까? 아니면 자연의 이용자로 태어났을까? 개인에 따라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질 수 있다. 카슨 (Rachel Carson, 190… 더보기

퀸스타운 가든(Queenstown Gardens)의 할미꽃

댓글 0 | 조회 2,495 | 2012.01.17
퀸스타운은 남섬 멀리 남쪽에 있는 관광도시이다. 여왕의 휴양지로도 손색이 없대서 퀸스타운이라는 말이 있고, 또한 골드러쉬 시절에 황금을 찾아서 여왕 부럽지 않게 … 더보기

밀포드사운드 유람

댓글 0 | 조회 2,451 | 2011.12.13
뉴질랜드에도 연간 강수량이 육천 미리가 넘는 지역이 있다. 대표적인 예가 밀포드사운드(Milford Sound)인데, 전국 평균 강수량의 다섯 배나 된다. 지구의… 더보기

다이어트

댓글 0 | 조회 2,378 | 2011.11.09
우리 몸은 우리가 먹는 거 자체라는 말이 있다. 어떤 음식을 먹느냐에 따라 우리의 몸이 달라진다는 의미도 된다. 송충이는 솔잎만, 누에는 뽕잎만 먹고 자란다. 그… 더보기

화요일 저녁

댓글 1 | 조회 2,781 | 2011.10.12
어떤 모임이든 한 달에 한 번씩 모이면 월례회다. 예전에 한국 농촌에서 개최하던 4H 구락부(클럽) 월례회를 기억하시는 분도 계시리라. 마을회관에서 동네의 청소년… 더보기

왜 ‘쓰리-코스-밀(a three-course meal)’인가?

댓글 0 | 조회 3,493 | 2011.09.14
우리의 식탁은 한 상에 모든 음식을 차려 놓고 개인 취향에 따라 골라 먹는 게 특징이다. 요즈음 인기 있는 뷔페도 그렇다고 볼 수 있다. 개인의 식성을 만족 시킬… 더보기

건강한 식단을 위하여

댓글 0 | 조회 2,572 | 2011.08.09
우리는 지금 먹을 게 넘쳐 나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지만 저가 지향적 가공품, 미각을 자극하는 현란한 식품 등으로 식단의 균형이 흔들린다. 모든 걸 개인 선택의 결… 더보기

겨울 삼총사를 바라보며

댓글 0 | 조회 2,604 | 2011.07.12
올해는 가을부터 많은 비가 내리고 있다. 집안 온통 축축하고, 주변의 잔디밭은 물이 흥건하게 고여 있다. 가끔 반가운 햇살이 비추긴 해도 잠시 뿐이다. 이런 집안… 더보기

쌀 이야기

댓글 0 | 조회 3,931 | 2011.06.15
“어떤 쌀을 드세요?” “한국 쌀을 먹고 있습니다.” “어떤 브랜드 쌀인데요?” “한가위, 이천쌀 인데, 밥맛이 괜찮던데요?” “그래요, 원산지를 확인해 보셨나요… 더보기

마을 공동텃밭(Community Garden)

댓글 1 | 조회 3,734 | 2011.05.10
가정 규모의 텃밭을 운영 하다보면 어느 땐 넘쳐 나는 수확물 처리에 골몰 할 때가 있다. 올해 우리 정원에는 피조아가 풍년이다. 그리고 상추도 그런대로 풍성했다.… 더보기

우리 집 울타리

댓글 0 | 조회 6,501 | 2011.04.12
우리 집 울타리는 이웃과 경계한다. 울타리 안 정원에는 주인이 좋아하는 장미, 목련, 잔디로 가득 하다. 민들레 질경이 같은 잡초나, 달팽이, 슬러지 같은 민망한… 더보기

우리 동네 과일가게

댓글 0 | 조회 3,548 | 2011.03.09
‘당신은 대형 마트에서 쇼핑하는 것을 좋아 합니까, 아니면 동네가게를 자주 들릅니까?’ 영어 작문의 한 제목이다. 찬반양론에 대한 논리적 전개를 보기 위한 훌륭한… 더보기

여름이 지난 후 잔디밭에는

댓글 0 | 조회 3,896 | 2011.02.08
뉴질랜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잔디밭으로 일컬어지는 풀밭은 가지고 있다. 잔디는 아주 드물고 풀이 더 많으니 그리 불러야 옳겠으나 많은 사람들이 잔디밭이라 부른다.… 더보기

새소리가 시끄럽습니까?

댓글 1 | 조회 3,996 | 2011.01.14
예전 기억으로는 고향에는 참새가 무척 많았다. 그래서 가을이면 논과 밭에 참새 떼가 극성을 부렸다. 곡식을 마구 쪼아대는 이들은 없어야 하는 동물로 여긴 적도 있… 더보기

하얀 진이 뚝뚝 떨어지는 상추

댓글 0 | 조회 4,608 | 2010.12.07
상추를 쌈으로 먹은 것은 한국인의 고유한 음식문화 중에 하나이다. 60년대 영화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에서 밥을 상추에 싸서 입이 터지게 먹는 장면을 기억하는 … 더보기

완벽함을 추구하는 아보카도

댓글 2 | 조회 5,493 | 2010.11.10
이런 과일은 어떨까? 우선 영양가가 풍부해서 우리 건강에 좋을 뿐 아니라, 먹기에도 편리하고, 맛에 있어 새로운 미각을 자극하여 무언가 다르게 품위도 있으며, 시… 더보기

치치ˇ 식물원의 봄

댓글 0 | 조회 3,363 | 2010.10.12
크라이스트처치 방문 계획을 세우는 데 지진 소식이 들려왔다. 정말 오랜만에 벼르고 별러서 가려는 데, 좀 실망스러웠다. 그런데 함께 가려는 그룹은 좀 태연하다 “… 더보기

우리의 안전한 먹거리를 생각한다

댓글 0 | 조회 3,129 | 2010.09.15
세상에 먹을 게 넘쳐 나지만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얘기는 끊이질 않는다. 영국의 찰스 황태자는 유기농 신봉자로 유명하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 부부는 백악관 채마… 더보기

우리 곁에 성큼 다가선 GE 농산물

댓글 0 | 조회 3,025 | 2010.08.10
지난해 전 세계 농경지 가운데 3% 정도에 GE(유전자조작, Genetically engineered) 작물이 심겨 졌다. GE 작물이 개발 된지 14년만의 결과… 더보기

한국 동치미와 일본 단무지

댓글 0 | 조회 5,131 | 2010.07.13
1970년대 학창시절 강의실에서 있었던 일화다. 일본 출장을 다녀온 교수님께서 일본에서는 오후 간식으로 차와 단무지를 먹더라. 그러면서 “일본사람들 그리 잘 사는… 더보기

키위 나라 키위 이야기

댓글 0 | 조회 4,077 | 2010.06.09
“뉴질랜드 키위(Kiwi fruit)가 잘 나가고 있다.” “무순 소리냐, 마트에는 이태리 산 키위가 들어 와 있던데.” “그래, 그렇지만 뉴질랜드 키위는 잘 나… 더보기

경외스런 자연 Kauri

댓글 0 | 조회 3,333 | 2010.05.11
카우리는 태고부터 뉴질랜드에 자리 잡은 터줏대감이다. 뉴질랜드 북섬에서만 자라는 세계적인 거목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나무를 처음으로 만나게 되면 그 위풍당당함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