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외스런 자연 Kauri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경외스런 자연 Kauri

0 개 3,333 NZ코리아포스트
카우리는 태고부터 뉴질랜드에 자리 잡은 터줏대감이다. 뉴질랜드 북섬에서만 자라는 세계적인 거목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나무를 처음으로 만나게 되면 그 위풍당당함에 압도 되지만 몇 천년을 산다니 왠지 존경스럽다. 마오리 사람들도 이 땅에서 처음으로 카우리를 만났을 때, 그 위엄으로 산림의 제왕으로 섬겨왔다. 그리고 생활을 통하여 건축자재로, 통나무 카누로, 조각 장식품 재료로 친숙해져 정신적 지주가 되고 있다. 그러나 카우리는 새로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땅에 몰려오면서 수난의 역사가 시작된다.

카우리는 목재가 가볍고 질기며 또한 아름다워 건축, 가구, 철도 침목, 항만 빔 자재 등 여러 가지로 활용되어 왔다. 특히 배를 만드는 데 목재로 널려 알려져 있다. 마오리 사람들은 이 통나무로 카누를 만들어 그들의 전투함으로 사용했다. 18세기 유럽인들의 해양탐험이 시작되면서 어린나무가 그들의 탐험용 선박의 돛대로 각광을 받는다. 또한 1995년 뉴질랜드가 아메리카 컵을 거머쥘 때도 카우리 목재가 요트 제작에 사용됨으로써 숨은 공로자가 된다. 이제는 바이올린 같은 고급 악기를 만드는 데도 활용되어 그 명성을 더 넓혀 나가고 있다. 이런저런 쓰임새가 늘어남에 따라 이 재목들이 무참하게 베어져 나갔다.

뉴질랜드가 처녀지로 존재할 때, 카우리는 북 섬의 절반 정도의 땅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럽인들이 몰려온 19세기 백년 만에 카우리 산림면적은 1/4로 줄어들었다. 그 이후로 뉴질랜드 정부를 비롯한 관련 단체들이 보존대책을 펼치고 있지만, 이제 다시 사분지 일로 줄어들었다. 통계에 의하면 약 8만 헥타 정도만 남았단다. 예전의 카우리가 무성하던 지대는 대부분 가축목장, 과수원 같은 농장지대로 변했거나, 현재 경제림으로 평가받고 있는 라디에타(Radiata) 산림지로 자리를 내 놓은 상태이다.

카우리 나무는 주변의 여러 동식물과 생태계로 연결되어 있다. 카우리 산림에는 카카, 코카코 같은 토종 산새가 함께 살고 있으며, 박쥐 리자드 곤충들의 보금자리가 된다. 또한 카우리 그라스로 알려진 백합과 풀로 둘러 싸여 있으며, 카우리 주변에는 나무 펀, 팜 나무 같은 여러 식물들이 뒤엉켜 살아간다. 카우리 산림이 줄어들면서 이러한 토종 동식물도 함께 사라질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인간들의 탐욕에 의해 태고의 원시림이 설 땅을 잃어 가고 있다.

최근에는 이 카우리에게 또 다른 수난인 이상한 병이 번지고 있다. 나무 주변의 토양을 통하여 전염하는 흔치 않은 병(Phytophthora)으로 알려졌다. 이 병에 전염된 카우리는 송진 같은 액(Kauri gum)을 흘리며 죽어간다. 오클랜드 시청에서도 비상이 걸렸다. 등산객들에게 신발 소독을 강요하고, 전문 사냥꾼을 동원해서 멧돼지 사냥에 나섰으며, 세계의 전문가를 모아서 대책을 논의한다. 이런 종류의 식물 병에 정통한 전문가들은 이 병이 번지고 있는 지역에는 일반 등산객의 출입을 제한하란다. 그래 보통사람들의 주말산행이 제한될까 염려된다.

필자는 고향의 오백년 묶은 은행나무 밑에서 공부하며 자랐다. 그리고 서낭당 느티나무의 늠름했던 모습을 기억한다. 여기에 와 Cascades Kauri Park에서 카우리 나무를 처음으로 만났으며, Pureora Forest Park의 필드 트립에서 쓰러진 천오백년 묶은 카우리 잔재를 본 적이 있다. 그 때 카우리 나무에서 느낀 대자연의 웅장함은 새로운 감동이었다. 또한 주말에 들을 수 있는 카우리 산림의 산새 소리는 또 하나의 살아가는 즐거움이다. 이러한 감동은 필자만이 느끼는 것은 아니리라 생각한다.

카우리는 우리 인류의 역사 보다 더 긴 세월을 이 땅에서 살아 왔다. 우리는 인류의 역사가 대단하다고 자랑하지만, 카우리는 그들의 역사를 가슴에 품고 그냥 묵묵히 서 있다. 우리 보다 더 오랫동안 이 땅에서 살아온 카우리 나무에게 우리 모두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물어 봐야 하지 않을까?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11] 키위 홈스테이 잘하는 방법

댓글 0 | 조회 2,644 | 2005.09.28
영어를 배우기 위한 유학지로 많은 한국인들이 뉴 질랜드를 선택하고 있다. 영어를 배우기 위해 12시간 비행기도 마다 않고 찾아오는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영어는 … 더보기

[310] 대학교 입학준비과정 파운데이션 코스에 관하여

댓글 0 | 조회 2,652 | 2005.09.28
뉴질랜드의 대학교에 입학하고자 하면 이에 필요한 일 정 구비조건이 필요하다. -------------------------- 뉴질랜드 대학교 입학조건 ------… 더보기

[308] 뉴질랜드 칼리지 선택 요령

댓글 0 | 조회 2,671 | 2005.09.28
현재 뉴질랜드에서 학생비자를 소지하고 공부하는 학생의 수는 2005년 1월 현재 대략적으로 87,000명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 중에 한국인이 차 지 하는 수는 … 더보기

[307] 미국대학교 준비하기 유리한 뉴질랜드 칼리지 선택하기

댓글 0 | 조회 3,167 | 2005.09.28
미국으로 대학교를 보내기 위해 가야 하는 칼리지 가 따로 있는가?그럴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많은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대학교는 미국에서 다니기를 희망… 더보기

[306] 미국 교환학생 프로그램 Q&A

댓글 0 | 조회 2,443 | 2005.09.28
미국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관해 연재를 하다보니 참으로 많은 문의를 받게 됩니다. 그 질문들이 많이 중첩되는 것을 느꼈습니다. 미국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대해 관심을… 더보기

[305]미국 교환학생 프로그램

댓글 0 | 조회 2,295 | 2005.09.28
교환학생 프로그램의 의미 교환학생이란 어의 자체에서 보듯이 국가간 또는 학교간 에 학생을 서로 교환하는 학습체험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미국 교환학생 프로그램은 통… 더보기

[304] 뉴질랜드 학제

댓글 0 | 조회 2,885 | 2005.09.28
우리는 우리가 사는 곳을 지구촌이라 부른다. 미디어나 인터넷이 그것을 가능하게 했다. 이제 컴퓨터를 이용한다면 누구든지 지구의 어느 곳이라도 그에 대한 정보를 쉽… 더보기

주림을 고치는 데는 밥이 으뜸

댓글 0 | 조회 2,096 | 2013.11.13
「세상에서 몸에 좋다는 복령 인삼 구기자(拘杞) 같은 세 가지 약을 먹고 나서 다시 음식을 먹지 못한지 백 일만에 숨결이 가빠 곧 죽게 되었을 때. 이웃집 할멈이… 더보기

어느 도심의 Eco-village

댓글 0 | 조회 2,129 | 2013.10.08
대부분의 사람들이 도시에서 살기를 좋아 한다. 그러다보니 주위 환경에 어울려 살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아주 작은 손바닥 정원에 과일나무를 심고, 상추를 가꾸며,… 더보기

고향의 질경이와 초원의 플랜테인

댓글 1 | 조회 5,090 | 2013.09.10
봄철 들판은 온통 풀들의 세상이다. 민들레 토끼풀 반지꽃 냉이 질경이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풀들이 꽃망울을 터트림으로써 그들의 존재를 알린다. 고향의 봄 들… 더보기

선주후식(先酒後食)

댓글 0 | 조회 2,543 | 2013.08.14
인류가 발견한 가장 오래된 기호식품, 마시면 기분이 좋아지는 독특한 음식 바로 술이다. 서민들의 밥상에도, 나라간의 정상외교의 만찬에도, 시중잡배의 의기투합의 자… 더보기

일백 개의 촛불을 바라보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1,796 | 2013.07.10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보통 사람의 기대수명은 80세 정도이다. 이와 달리 장수족으로 분류되는 백세족(百歲族, Centenarian)은 이 보다 이십년 정도… 더보기

까치 밥

댓글 0 | 조회 2,470 | 2013.06.12
가을철 감이 익어가면서 대부분 추위가 닥치기 전에 딴다. 감이 서리를 맞으면 더 달다고 해서 아주 늦게까지 두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자연 그대로 자란 감나무에서… 더보기

천하태평 농법

댓글 0 | 조회 1,953 | 2013.05.14
오클랜드는 이제 가을이 깊어 가고 김장철이 다가온다. 이번 김장을 담그는 데 갓이 한단 정도 있다면 어떨까. 김치맛이 한결 상큼해 지리라 생각된다. 손바닥 텃밭에… 더보기

강낭콩에 대한 추억

댓글 0 | 조회 2,858 | 2013.04.10
거룩한 분노는/ 종교보다도 깊고/ 불붙은 정열은/ 사랑보다도 강하다./ 아! 강낭콩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 위에/ 양귀비꽃보다도 더 밝은/ 그 마음 흘러라./… 더보기

수퍼프루트(Superfruit)

댓글 0 | 조회 2,684 | 2013.03.13
어떤 과일을 즐겨 드시는지요? 세계에서 인기 있는 과일은 좀 엉뚱하게도 바나나와 감귤이다. 왜 그러냐 하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즐길수 있기 때문이다. 칼 같은 … 더보기

안경을 벗어던진 존스 할머니

댓글 0 | 조회 2,149 | 2013.02.13
안경은 한번 쓰기 시작하면 계속해서 써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안경을 쓰던 도중에 홀연히 벗어던지고, 현재 90세에 달했지만 안경을 다시 찾지 않는 존스… 더보기

달콤한 유혹 설탕

댓글 0 | 조회 2,054 | 2013.01.16
여름철 땀나는 운동 후에는 갈증과 함께 달콤한 게 그립다. 그리고 겨울철 추위를 이겨내는 데도 단음식이 인기를 모은다. 현대인은 이러한 달콤한 에너지원의 욕구를 … 더보기

기후는 변하고 있는 데

댓글 0 | 조회 2,079 | 2012.12.11
지난 10월 오클랜드에서는 거센 바람으로 큰 나무가(오톤 정도) 쓰러지면서 집 두채를 덮쳤다. 이 사고로 두집은 지붕이 크게 무너졌다. 그 중 한 집에서는 식구들… 더보기

‘모닝 커피’와 ‘애프터눈 티’

댓글 0 | 조회 2,579 | 2012.11.14
아침 일과전에 커피 한컵 마시고 산뜻하게 시작해야지; 나른한 오후 차 한잔으로 차분하게 여유를 가져야지. 이건 너무 평범한 얘기 같고, 아니 좀 발랄하게, 밤세워… 더보기

우리는 왜 매운 맛에 열광하는가?

댓글 0 | 조회 1,875 | 2012.10.09
고추는 아메리카 대륙을 찾은 컬럼버스 일행에 의해 유럽으로 처음 전파되었고, 그 후 동·서양의 무역경로를 통해서 한국에 들어왔다. 외국에서 들어 온 … 더보기

접시 위에 올라온 꽃잎

댓글 0 | 조회 1,967 | 2012.09.12
‘진달래꽃이 피는 봄이 오면 나는 언니하고 화전(花煎)놀이 간다.’ 옛 동요에 나오는 구절이다. 화전이란 말 그대로 꽃잎을 넣어 부친 전을 … 더보기

마오리(Maori) 새해

댓글 1 | 조회 2,326 | 2012.08.15
인류의 문명은 일 년을 주기로 반복하면서 발전해 왔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해와 달을 포함한 우주의 운행과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달력 … 더보기

텔레비전의 요리 프로그램

댓글 1 | 조회 1,861 | 2012.07.10
텔레비전에는 요리 프로그램이 아주 다양하다. 그런대로 재미도 있을 뿐 아니라 서양 요리는 어찌하나 하는 관심으로 자주 보게 된다. 전국의 지방을 돌아가면서 그 곳… 더보기

‘퀸스랜드 과일파리(Queensland fruit fly)’ 한 마리

댓글 1 | 조회 2,723 | 2012.06.13
지난 5월초 오클랜드 주택가에서 ‘퀸스랜드 과일파리’ 한 마리가 당국의 예찰 트랩에서 발견되었다. 일차산업부(MPI, 새로운 조직의 농림수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