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 뉴질랜드에서 꼭 필요한 IELTS에 대해서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23] 뉴질랜드에서 꼭 필요한 IELTS에 대해서

0 개 3,117 코리아타임즈
IELTS는 International English Language Testing System의 약자로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나라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영어능력을 평가하는 영어시험이다. 대부분의 영국, 호주, 캐나다 및 뉴질랜드의 대학 및 교육기관에서 인정하는 시험이다.

IELTS는 현재 전세계 105개국 230 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다. 뉴질랜드에서는 오클랜드 대학, 메시대학, UNITEC,마누카우 폴리텍 등을 포함해서 15곳에서 시험을 치를 수 있다. 시험일정은 각 대학교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토요일에 시험 일정이 있다.

이 시험은 Speaking, Listening, Writing, Reading 등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서 치르기 때문에 종합적인 평가를 통하여 자신의 영어실력을 구체적으로 평가 할 수 있다. IELTS 시험은 전체 평점 뿐 아니라 각기 4가지 모든 영역의 결과를 알 수 있어 자신의 취약분야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점수는 각기 9.0 만점으로 되어 있고, 각 점수를 합산하여 평균점수를 준다. 시험 시간은 Listening 30분, Reading 60분, Writing 60분, Speaking 10~30분으로 3 시간 동안 치러진다.

그러나 Speaking의 경우 개인의 배정시간에 따라 시험을 보는 시간이 달라지므로 휴식시간을 포함하여 소요 되는 시간이 적게는 4시간에서 많게는 5시간이 소요된다.

IELTS 시험 날짜는 유동적이며, IELTS는 전세계 대부분의 시험기관에서 최소 1 달에 1 번 이상 시험을 시행하고 있으며, 응시자가 많을 경우 추가로 시험을 시행하기도 한다.IELTS는 일반 영어시험(General Module)과 대학 진학을 위한 영어시험 (Academic Module)으로 구분되어 있다.

1. Academic Module
Academic Reading 과 Writing module은 대학과 대학원 진학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을 위한 시험이다. 대학진학을 원하는 학생은 Academic Module 6.0~6.5, 대학원의 경우는 6.5~7.0의 점수가 필요하다. 이 시험을 보기 위해서는 정해진 시간 내에 문제를 풀 수 있는 연습이 필요하다. Academic Module은 대학 정규 과정, 대학원 입학 등 학생들의 유학을 목적으로 하시는 분들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시험이다.학교 입학 전 영어의 4가지 영역 (Listening, Reading, Writing, Speaking) 중 취약한 영역을 정확하고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입학 자격에 미달 되었을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영어 연수가 더 필요한지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2. General Module
General Reading 과 Writing module은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등의 영어권 국가로의 이주나 학위를 위한 공부가 아닌 일반적인 영어교육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시험이다. General Module은 전반적인 사회 교육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평가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뉴질랜드로의 이민을 원하는 사람들은 최소한 5.0~6.5 이상 받아야 한다.

                           IELTS 시험구성
                          ****************
                  Listening        Reading        Writing         Speaking
Academic
Module        공통 30분           60분            60분        공통 11-14분

* Listening (공통: 4 영역, 40 문항, 30분)

이 영역은 4부분, 4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고 30분간 진행된다. 네 부분 중 처음 두 부분은 일반적인 것에 관한 문제로 여행이나, 주택임대, 대학시설에 관한 문의 등이 두 명의 대화로 이루어지고, 마지막 두 부분은 좀 더 학문적인 것으로 연구과제에 관한 교수와 학생들간의 대화, 학술회의에서의 강연 등 최고 네 명 간의 대화로 이루어진다. 문항들은 다항식 선택, 문장 완성, 요약, 표 또는 테이블의 완성 그리고 연결하기 등 다양한 유형들로 이루어진다. 문제는 순서대로 진행되며, 단 한 번의 들을 기회가 주어지므로, 집중력과 빠른 문제 해석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평소에 뉴스 및 시사 프로그램 등을 자주 듣고 뉴스를 녹음한 후 반복하여 들으면서 topic 및 뉴스의 main을 체크하는 연습을 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

*General Reading / Academic Reading (3 영역, 40 문항, 60분)

이 영역은 3부분, 4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고 60분간 진행된다. 이 영역의 지문들은 잡지, 정기간행물, 단행본, 신문 등에서 발췌된 것이며, 비전문가들을 위해 쓰여진 내용들이 주로 선택된다. 모든 주제는 특정분야나 전문적인 것이 아닌 일반적인 관심사에 관한 것들이며 그래픽이나 도형으로 이루어진 지문과 논리적 논의가 포함된 지문으로 구성된다. 문항들은 다항식 선택, 문장 완성, 표나 테이블의 완성, 주제선정, 글쓴이의 관점, 주장 파악 등의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긴 예문이 3개 정도 주어지므로, 한 예문 당 읽는 시간을 미리 배정해 놓고, 시간 내에 읽고 해당 문제를 풀 수 있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다. 시간 내에 예문을 읽고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예문이 긴 만큼 자세히 한 문장 한 문장 읽는 것보다는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매일매일 시간 내에 풀 수 있도록 연습을 한다면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General Writing / Academic Writing (2 문항 - 150 & 250 단어, 60분)

이 영역은 2가지 문제로 구성되어 있고 60분간 진행된다. 첫 번째 문제는(150단어로 작성) 도표나 테이블에 제시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고 그러한 데이터에 이르게 한 과정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이다. 두 번째 문제는(250단어로 작성) 제시된 특정 문제나 논의에 대한 문제해결 방법제시, 그 방법/의견에 대한 타당성 제시, 상대방 설득 등의 능력을 본다. 이 영역의 주제들은 특정 전공과 관계없는 일반적인 관심사 위주이며, 에세이나 보고서의 형식으로 논술하여야 한다. 시험 유형과 비슷한 주제를 가지고 정해진 시간 내에 작성하는 연습을 한다. Writing은 할수록 실력이 향상되므로 매일매일 일정한 시간을 정해두고 연습을 하고, 그 글이 논리적인 글이 되었는지, 주제에 일치하는 논거를 제시했는지 등을 검토한다. 그리고 Writing은 주제에 맞게 논거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시사성 문제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Speaking (공통: 10-15 분)

이 영역은 시험관과 응시자 1:1로 이루어지는 인터뷰, 대화로 11~14분간 진행되며 대화 내용은 녹음되어 다른 시험관에 의하여 재 채점된다. Speaking 시험은 다음단계로 이루어진다.

- 1단계 : 시험관이 자기 소개, 응시자의 신분증을 확인한 후 친숙한 주제에 관하여 질문한다.
- 2단계 : 주어진 주제에 관하여 1~2분간 Presentation 을 한 후 그 주제에 관한 질문에 대답한다.
- 3단계 : 시험관과 함께 2단계에서 주어졌던 주제에 관하여 좀 더 심층적인 토론을 하게 된다.

실생활 속에서 꾸준히 연습하는 것이 좋다. 시험관이 묻는 질문을 잘 파악하여 조리 있게 대답해야 한다. 시험 시간에 시험관이 학생이 답하는 내용을 녹음하는데, 이때 대부분의 학생들이 겁을 먹어 제대로 문제를 못 듣거나 대답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가장 중요한 것은 겁을 먹지 말아야 한다 시험관이 아닌 친구와 대화를 나눈다는 생각으로 임하면 편안하게 자신의 생각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351] 호주 Macquarie 대학교와 SIBT

댓글 0 | 조회 3,203 | 2007.02.26
호주의 대학들도 뉴질랜드에서 치대 하면 오타고 대학교, 의대ㆍ법대 하면 오클랜드 대학교라고 하듯이 학과마다 유명한 대학들이 있는데 매쿼리대학교는 상경대 하면 호주… 더보기

[350] 대학교 1년 빨리가는 방법

댓글 0 | 조회 3,626 | 2007.02.13
지난 호의 뉴질랜드 대학 가는 좋은 방법에 이어서 이번호에는 대학교 1년 빨리 가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자. 많은 수의 학생들이 필자에게 고등학교 … 더보기

[349] 뉴질랜드 대학 가는 좋은 방법

댓글 0 | 조회 5,003 | 2007.01.30
뉴질랜드 대학가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뉴질랜드에서 공부한 학생이라면 대부분이 NCEA를 통해서 또는 캠브리지 과정이나 IB 과정을 통해서 들어가는 방법… 더보기

[348] 유학 후 이민(간호사 – Nursing)

댓글 0 | 조회 4,850 | 2007.01.15
간호사는 의료업계 곳곳에 필요하지 않은 곳이 없으며 세계 어느 나라든 부족한 직업군에 속해 있어서 졸업 후 취업이 용이하다. 간호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에서는 … 더보기

[347] 유학 후 이민(필름 에니메이터 - Film Animator)

댓글 0 | 조회 2,819 | 2007.01.15
요즈즘 각광을 받고 있는 인기 직업 분야로 영화나 인터넷상에서 에니메이션을 담당하는 에니메이터가 있는데 이 직업군은 현재 뉴질랜드 장기부 족직업군 리스트에 올라가… 더보기

[346] 정착서비스 요령 안내

댓글 0 | 조회 3,406 | 2006.12.11
조기 유학을 생각하는 많은 학부모들이 실제적으로 유학을 실행하는데에는 고초가 한 두가지가 아니다. 학교를 정하는 일도 일이거니와 설령 정했다 하더라도 해야 할 일… 더보기

[345] ACG 스트라쌀란(Strathallan)

댓글 0 | 조회 2,992 | 2006.11.27
공립학교가 좋을까? 사립학교가 좋을까? 필자가 유학업무를 하면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의 하나이다. 사견으로는 ‘공립도 좋고 사립도 좋다’ 뉴질랜드의 공립학교의… 더보기

[344] 미국 교환학생 프로그램(2)

댓글 0 | 조회 2,632 | 2006.11.13
지난 호에 미국 교환학생 프로그램(I)에 대해 설명하였다. 오늘은 그에 연하여 필요한 것들에 대해설명 해보겠다. 비자 준비 ********* 교환학생으로 입학을 … 더보기

[343] 미국 교환학생 프로그램( I )

댓글 0 | 조회 2,997 | 2006.10.24
한국에서 유학을 가고자 하면 단연 미국이다. 여건만 허락한다면 누구나 미국을 희망한다. 뉴질랜드에 유학을 온 학생의 경우도 기회만 주어진다면 미국으로 가고 싶어한… 더보기

[342] Auckland International College

댓글 0 | 조회 2,882 | 2006.10.09
Auckland International College(이하AIC)는 2003년 7월에 설립되었고 Y11-13을 운영하고 있다. AIC는 특별히 IB(Intern… 더보기

[341] SAT와 IB 프로그램

댓글 0 | 조회 3,102 | 2006.09.25
장차 미국 대학을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익히 알고 있어야 할 용어 중의 하나가 SAT와 IB프로그램이라는 용어이다.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있어야 좋은 대학교를 … 더보기

[340] 새로운 파넬 칼리지(2)

댓글 0 | 조회 2,788 | 2006.09.11
ACG의 Junior College가 이름을 변경하여 파넬 파넬 칼리지로 다시 태어났다. 파넬 칼리지는 유학생에게도 유명하지만 이곳 현지인들에게 더욱 유명하다. … 더보기

[338] 새로워진 파넬 칼리지(1)

댓글 0 | 조회 3,090 | 2006.08.08
뉴질랜드에서 대표적인 사립 명문 교육재단을 말하라면 단연 ACG일 것이다. ACG보다는 주니어 칼리지, 시니어 칼리지로 더 많이 알려져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최근… 더보기

[337] 유학 후 이민(유아교육학과 – Early Childhood …

댓글 0 | 조회 3,945 | 2006.07.24
유아 교육학을 전공한 유치원 교사는 현재 장기부족직업군 리스트에 올라있는 직업으로 뉴질랜드의 childcare centre 및 year 0 학생들을 가르치고 돌보… 더보기

[336] 유학 후 이민(사회복지사 - Social Worker 과정)

댓글 0 | 조회 4,203 | 2006.07.11
장기 부족직업군에 속해 있는 학과 중에 사회복지사 과정이 있다. 사회복지사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소화해 내는 직업으로 대부분 정부기관이나 병원에서 일을 … 더보기

[335] 유학 후 이민(배관공 Plumber 과정)

댓글 0 | 조회 5,878 | 2006.06.26
장기 부족직업군에 속해 있는 학과 중에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또 뉴질랜드에서 유망한 학과로 배관학과가 있는데, 1년 과정 Certificate Level 4만 … 더보기

[334] 유학 후 이민(자동차 정비과정)

댓글 0 | 조회 3,694 | 2006.06.13
장기 부족직업군에 속해 있는 학과중에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또 인기가 있는 학과로 자동차 정비학과가 있는데, 1년 과정 Certificate Level 4만 마… 더보기

[333] 유학 후 이민(목수과정)

댓글 0 | 조회 3,885 | 2006.05.22
최근 전례없이 뉴질랜드의 부동산 열기가 달아올라 많은 목수가 필요하게 되었다. 매년 발표되는 장기 부족 직업군에도 뉴질랜드의 모든 주요 지역에서 부족하다고 발표가… 더보기

[332] 유학 후 이민(컴퓨터 과정)

댓글 0 | 조회 3,335 | 2006.05.09
컴퓨터 과정은 1년부터 3년까지 다양한 과정이 있지만 장기부족직업군 학과에 속하려면 학사과정(NZQA Level 7이상)이어야 한다. NZQA의 Level7의 학… 더보기

[331] 유학 후 이민(요리과정)

댓글 0 | 조회 3,648 | 2006.04.26
장기부족직업군에 속한 학과를 공부하면 배우자의 웍퍼밑을 통하여 자녀의 학비가 면제되고 아울러 본인의 영주권 신청 자격도 준비할 수 있으니 많은 학부모가 관심을 갖… 더보기

[330] 유학 후 이민 (원예학과)

댓글 0 | 조회 3,705 | 2006.04.10
자녀의 학비를 면제 받으면서 영주권을 준비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장기부족 직업군에 속한 학과를 등록한다는 것은 이제 어느 정도 인식이 되어 있는 것 같다. 뉴질랜… 더보기

[329] 2006년 대입 캠브리지 시험 수상자 명단과 학교명(Ⅱ)

댓글 0 | 조회 2,733 | 2006.03.30
2006년 대입 캠브리지 시험 수상자 명단과 학교명

[328] 2006년 대입 캠브리지 시험 수상자 명단과 학교명

댓글 0 | 조회 2,799 | 2006.03.15
지난 호에서는 2006년 대입 캠브리지 시험 결과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이 번호는 지난 호에 시험결과에 대한 분석의 근간이 된 수상자 학생의 명단과 학교의 이름… 더보기

[327] 2006년 대입 캠브리지 시험 결과 분석

댓글 0 | 조회 2,853 | 2006.02.27
NCEA시험은 뉴질랜드 대학교를 입학하기 위한 시험제도이다. 매년 말에 시행되는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실력을 변별해내는 역할을 한다. 한국에서 대학교를 … 더보기

[325] 교육전문재단 Academic College Group

댓글 0 | 조회 2,375 | 2006.01.31
시니어 칼리지나 오클랜드 대학교 파운데이션 과정은 이제 사람들의 귀에 친숙하다. 이미 충분하게 증빙되어 유명해 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들이 교육 전문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