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의 질경이와 초원의 플랜테인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고향의 질경이와 초원의 플랜테인

1 5,079 조병철


봄철 들판은 온통 풀들의 세상이다. 민들레 토끼풀 반지꽃 냉이 질경이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풀들이 꽃망울을 터트림으로써 그들의 존재를 알린다. 고향의 봄 들판 얘기다. 그중에서 질경이는 오솔길을 따라 끈질기게도 자랐던 기억이다.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사뭇 밟아대서 제대로 자라지도 못하면서 올망졸망 모여 그게 꽃인지 열맨지 구분이 어렵게 열매를 맺어대곤 했다. 특히나 생생한 기억은 봄철 논두렁에 탐스럽게 자라던 질경이다. 해마다 봄이면 그랬듯이 논에 물을 가두기 위하여 가래질로 논두렁을 발랐고 어김없이 질경이가 얼굴을 내민다. 거기에 자라는 질경이는 길가의 질경이 보다 깨끗할 뿐 아니라 둥근 잎이 무척 탐스러웠다. 정성스런 어머니는 질경이 나물을 밥상에 올렸고, 덕분에 그 아련한 맛은 아직도 기억한다. 
 
해밀턴에 있는 목장을 방문했을 때 얘기다. 그 농장의 주인은 우유 생산에 유기농 인증을 준비 중이었는데, 우유의 유기 생산에는 초지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설명이었다. 그러면서 목초의 종류를 열거했다. 다른 목장에서와 마찬가지로 라이그라스, 클로버 같은 목초를 안배했다. 그런데 특별히 플랜테인(Plantain; Plantago)의 밀도 관리를 강조했다. 그 당시에는 이것이 무슨 풀인지 몰랐다. 솔직히 말하면 농장 주인이 말하는 Plantain이 무엇을 가리키는 지 알 수가 없었다. 무슨 풀인가 유심히 살폈으나 짐작이 가질 않았다. 길게 자란 다른 목초에 섞여 잎이 길게 변해 있어서 고향에서 보던 질경이와는 사뭇 달랐기 때문이다. 
 
질경이는 유럽인들의 신대륙 진출과 함께 전 세계로 퍼진 들풀이다. 유럽인들이 질경이를 일부러 챙겨 간 건 아닌데, 함께 데려간 가축과 건초 더미를 통해서 동승했던 것이다. 그런데 질경이를 비롯한 이들 풀이 아니었다면, 그들의 가축도 온전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유럽 이민자들조차 오늘날과 같은 번성이 어려웠으리라는 주장이니 고개를 갸우뚱 할 수밖에. 초기 이민 정착기의 신세계에는 초지자원이 무진장 이었다. 그러나 가축이 한번 풀을 뜯고 나면 다시 자라는데 한 동안을 기다려야 했다. 신세계 목초는 가축들에 의한 과도한 공격을 받아 본 적이 없었으니 당연한 일이었다. 그러나 유럽에서 이러한 공격을 일상적으로 받아왔던 풀들은 달랐다. 이 틈을 타서 신세계 풀들이 자라던 자리를 유럽에서 건너온 풀들이 차지해 버렸다. 영국인이 지나간 마차바퀴를 따라 질경이가 자라났고, 그래서 미국 인디언들은 이 질경이를‘영국인의 발’이라 불렀다. 
 
질경이가 가진 끈질긴 생명력에 관한 또 다른 얘기다. 이 질경이는 한 포기에서 보통 만개 이상의 씨앗을 생산해서 자손을 퍼뜨린다. 얼마나 생명력이 강한지 40년이 지난 씨앗에서도 싹이 튼단다. 고향의 질경이에서 보았듯이 단단히 굳어진 길 옆에서도 잘 자란다. 날씨가 추워도 잘 얼어 죽질 않는다. 그래서 남극과 북극을 제외하고는 세계 어디서나 이 질경이가 쉽게 발견된다. 또한 땅 위에서 낫으로 베어내도 옆에서 새로운 싹이 다시 돋아난다. 정말로 대단한 생명력이라 아니 할 수 없다.

또한 질경이는 영국의 앵글로-색슨족이 신성하게 여기는 아홉 가지 약용식물 가운데 하나다. 셰익스피어의 작품 ‘로미오와 줄리엣’에도 질경이는 약용식물로 묘사되어 있다. 예전에 그들은 전쟁터 행군에서 발이 부르텄을 때도 질경이를 짓이겨 발랐고, 부러진 다리를 치료하는 데도 사용했다. 물론 약이라고는 변변한 게 없었던 아주 옛날 얘기지만. 아무튼 그들의 생활과는 뗄 레야 뗄 수 없는 풀이자 약용식물로 함께 해왔으며, 이제는 가축의 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목초로 보살 핌을 받는다.   

물론 한국을 비롯한 동양에서도 질경이는 약초로 유명하다. 신대륙에서 이주민의 마차바퀴를 따라 자란 걸로 유명하지만, 동양의 한약에서도 이미 그 이름까지 이러한 특징을 잘 나타내서 차전초(車前草)로 불린다. 질경이는 통째로 말려서 차로 달여 마시기도 하고, 씨는 차전자(車前子)로 불리며 한약재로 쓰인다. 봄철 나물로도 일품이고, 일본의 요리책에는 튀김 재료로도 소개한다. 뭐니 뭐니 해도 봄나물은 최고의 보약이라 하지 않는가.   


초원에서 자라는 질경이는 고향의 그 것과 좀 다르다. 어느 건 잎이 둥글고 아담해서 쉽게 알아 볼 수 있으나, 초지에서 자란 건 잎자루가 가늘고 길어서 자세히 살펴봐야 한다. 주위의 풀들이 모두 키가 크니 질경이도 잎자루를 길게 내밀었다. 또한 어떤 건 잎 뒷면에 털이 나 있는 것도 있다. 물론 이것도 일종의 질경이다. 
 
햇볕이 따뜻한 봄날, 산 너머 북촌 초원에서 고향의 질경이를 만난다면 그 얼마나 반가울까?
 
doyo
조박사 안녕, 남국정의 박덕권 doyo입니당
재미존--수다방 방장으로 근무중임 ㅋㅋ
가끔 들려용

[348] 유학 후 이민(간호사 – Nursing)

댓글 0 | 조회 4,846 | 2007.01.15
간호사는 의료업계 곳곳에 필요하지 않은 곳이 없으며 세계 어느 나라든 부족한 직업군에 속해 있어서 졸업 후 취업이 용이하다. 간호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에서는 … 더보기

[347] 유학 후 이민(필름 에니메이터 - Film Animator)

댓글 0 | 조회 2,817 | 2007.01.15
요즈즘 각광을 받고 있는 인기 직업 분야로 영화나 인터넷상에서 에니메이션을 담당하는 에니메이터가 있는데 이 직업군은 현재 뉴질랜드 장기부 족직업군 리스트에 올라가… 더보기

[346] 정착서비스 요령 안내

댓글 0 | 조회 3,400 | 2006.12.11
조기 유학을 생각하는 많은 학부모들이 실제적으로 유학을 실행하는데에는 고초가 한 두가지가 아니다. 학교를 정하는 일도 일이거니와 설령 정했다 하더라도 해야 할 일… 더보기

[345] ACG 스트라쌀란(Strathallan)

댓글 0 | 조회 2,986 | 2006.11.27
공립학교가 좋을까? 사립학교가 좋을까? 필자가 유학업무를 하면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의 하나이다. 사견으로는 ‘공립도 좋고 사립도 좋다’ 뉴질랜드의 공립학교의… 더보기

[344] 미국 교환학생 프로그램(2)

댓글 0 | 조회 2,627 | 2006.11.13
지난 호에 미국 교환학생 프로그램(I)에 대해 설명하였다. 오늘은 그에 연하여 필요한 것들에 대해설명 해보겠다. 비자 준비 ********* 교환학생으로 입학을 … 더보기

[343] 미국 교환학생 프로그램( I )

댓글 0 | 조회 2,990 | 2006.10.24
한국에서 유학을 가고자 하면 단연 미국이다. 여건만 허락한다면 누구나 미국을 희망한다. 뉴질랜드에 유학을 온 학생의 경우도 기회만 주어진다면 미국으로 가고 싶어한… 더보기

[342] Auckland International College

댓글 0 | 조회 2,880 | 2006.10.09
Auckland International College(이하AIC)는 2003년 7월에 설립되었고 Y11-13을 운영하고 있다. AIC는 특별히 IB(Intern… 더보기

[341] SAT와 IB 프로그램

댓글 0 | 조회 3,095 | 2006.09.25
장차 미국 대학을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익히 알고 있어야 할 용어 중의 하나가 SAT와 IB프로그램이라는 용어이다.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있어야 좋은 대학교를 … 더보기

[340] 새로운 파넬 칼리지(2)

댓글 0 | 조회 2,780 | 2006.09.11
ACG의 Junior College가 이름을 변경하여 파넬 파넬 칼리지로 다시 태어났다. 파넬 칼리지는 유학생에게도 유명하지만 이곳 현지인들에게 더욱 유명하다. … 더보기

[338] 새로워진 파넬 칼리지(1)

댓글 0 | 조회 3,082 | 2006.08.08
뉴질랜드에서 대표적인 사립 명문 교육재단을 말하라면 단연 ACG일 것이다. ACG보다는 주니어 칼리지, 시니어 칼리지로 더 많이 알려져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최근… 더보기

[337] 유학 후 이민(유아교육학과 – Early Childhood …

댓글 0 | 조회 3,940 | 2006.07.24
유아 교육학을 전공한 유치원 교사는 현재 장기부족직업군 리스트에 올라있는 직업으로 뉴질랜드의 childcare centre 및 year 0 학생들을 가르치고 돌보… 더보기

[336] 유학 후 이민(사회복지사 - Social Worker 과정)

댓글 0 | 조회 4,194 | 2006.07.11
장기 부족직업군에 속해 있는 학과 중에 사회복지사 과정이 있다. 사회복지사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소화해 내는 직업으로 대부분 정부기관이나 병원에서 일을 … 더보기

[335] 유학 후 이민(배관공 Plumber 과정)

댓글 0 | 조회 5,872 | 2006.06.26
장기 부족직업군에 속해 있는 학과 중에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또 뉴질랜드에서 유망한 학과로 배관학과가 있는데, 1년 과정 Certificate Level 4만 … 더보기

[334] 유학 후 이민(자동차 정비과정)

댓글 0 | 조회 3,690 | 2006.06.13
장기 부족직업군에 속해 있는 학과중에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또 인기가 있는 학과로 자동차 정비학과가 있는데, 1년 과정 Certificate Level 4만 마… 더보기

[333] 유학 후 이민(목수과정)

댓글 0 | 조회 3,883 | 2006.05.22
최근 전례없이 뉴질랜드의 부동산 열기가 달아올라 많은 목수가 필요하게 되었다. 매년 발표되는 장기 부족 직업군에도 뉴질랜드의 모든 주요 지역에서 부족하다고 발표가… 더보기

[332] 유학 후 이민(컴퓨터 과정)

댓글 0 | 조회 3,329 | 2006.05.09
컴퓨터 과정은 1년부터 3년까지 다양한 과정이 있지만 장기부족직업군 학과에 속하려면 학사과정(NZQA Level 7이상)이어야 한다. NZQA의 Level7의 학… 더보기

[331] 유학 후 이민(요리과정)

댓글 0 | 조회 3,644 | 2006.04.26
장기부족직업군에 속한 학과를 공부하면 배우자의 웍퍼밑을 통하여 자녀의 학비가 면제되고 아울러 본인의 영주권 신청 자격도 준비할 수 있으니 많은 학부모가 관심을 갖… 더보기

[330] 유학 후 이민 (원예학과)

댓글 0 | 조회 3,692 | 2006.04.10
자녀의 학비를 면제 받으면서 영주권을 준비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장기부족 직업군에 속한 학과를 등록한다는 것은 이제 어느 정도 인식이 되어 있는 것 같다. 뉴질랜… 더보기

[329] 2006년 대입 캠브리지 시험 수상자 명단과 학교명(Ⅱ)

댓글 0 | 조회 2,728 | 2006.03.30
2006년 대입 캠브리지 시험 수상자 명단과 학교명

[328] 2006년 대입 캠브리지 시험 수상자 명단과 학교명

댓글 0 | 조회 2,795 | 2006.03.15
지난 호에서는 2006년 대입 캠브리지 시험 결과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이 번호는 지난 호에 시험결과에 대한 분석의 근간이 된 수상자 학생의 명단과 학교의 이름… 더보기

[327] 2006년 대입 캠브리지 시험 결과 분석

댓글 0 | 조회 2,851 | 2006.02.27
NCEA시험은 뉴질랜드 대학교를 입학하기 위한 시험제도이다. 매년 말에 시행되는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실력을 변별해내는 역할을 한다. 한국에서 대학교를 … 더보기

[325] 교육전문재단 Academic College Group

댓글 0 | 조회 2,366 | 2006.01.31
시니어 칼리지나 오클랜드 대학교 파운데이션 과정은 이제 사람들의 귀에 친숙하다. 이미 충분하게 증빙되어 유명해 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들이 교육 전문재… 더보기

[324] 유명 어학원/비즈니스 스쿨 Crown Institute of Studi…

댓글 0 | 조회 2,977 | 2006.01.16
좋은 어학원을 고르기란 쉽지 않다. 백화점에서 옷 사는 것처럼 모든 상품을 펼쳐놓고 함께 비교하면서 살 수 없기 때문이다. 좋은 어학원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설… 더보기

[323] 뉴질랜드에서 꼭 필요한 IELTS에 대해서

댓글 0 | 조회 3,113 | 2005.12.23
IELTS는 International English Language Testing System의 약자로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나라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영… 더보기

[322] 현명한 어학 연수 방법

댓글 0 | 조회 2,876 | 2005.12.12
어학연수를 계획하고 뉴질랜드에 입국 할 때 대략 기간은 1-2년 정도를 잡는다. 막상 와보니 조용한 뉴질랜드는 일년에 한 두번씩 여행이나 오면 딱 좋을 나라처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