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태평 농법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천하태평 농법

0 개 1,949 조병철
오클랜드는 이제 가을이 깊어 가고 김장철이 다가온다. 이번 김장을 담그는 데 갓이 한단 정도 있다면 어떨까. 김치맛이 한결 상큼해 지리라 생각된다. 손바닥 텃밭에서 막 뽑아낸 갓을 김장에 넣을 수 있다면 이 또한 즐거움이 아니겠는가. 사연인즉 이렇다. 지난해 김장 때에 갓을 쓰고 남아서 몇 포기를 그대로 겨울을 지냈다. 봄철에 되면서 노란 꽃이 피고 새로운 씨앗이 생겼다. 그 걸 그대로 방치해 놓았는 데, 군데군데에서 다시 갓이 자랐고 가을을 접어들면서 비가 내리며, 아주 무성해 졌다. 이번 김장에 다시 뽑아 이용할 수 있으니 이 또한 축복이 아니겠는가. 
 
다음은 서양요리에 빠지지 않고 들어가는 허브인 고수(Coriander, 빈대풀) 얘기다. 태국 같은 동남아지역의 요리에도 ‘약방에 감초’ 격으로 어김없이 들어간다. 한국요리에는 상추쌈과 같이 하면 향긋한 향이 일품이다. 필자도 태국에서 처음 코리앤더을 접했을 땐 역겨운 냄새로 고개를 저었다. 그런데 전북 장수에서 삼겹살과 다시 만난 고수는 새로운 미각을 자극했다. 그래서 이제 우리 텃밭에서는 단골 손님으로 대접 받는다. 봄철에 잎은 먹다 남은 코리앤더가 여름이 되면 꽃대가 나온다. 하얀꽃이 피고 나면 스스로 열매가 맺히고; 그 무게를 이기지 못하면 쓰러지기도 한다. 이 때 열매를 수확해야 하는 데, 때를 놓친 열매는 그대로 땅에 떨어지고; 가을이 되어 비가 내리면 어김없이 다시 싹이 난다. 가을철이지만 손 끝에 스치는 코리앤더 향이 정겹기 까지 하다. 
 
여기서 고수 열매를 이용하는 또 다른 예가 있다. 올리브 기름 병 속에 통째로 넣어 보시라. 키위들은 거기다 월계수나무(Bay laurel)의 마른 잎도 함께 넣기도 한다. 매운맛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마른 통고추를 함께 넣어도 좋으리라. 이렇게 하면 올리브 기름도 한국스타일로 변한다. 또한 인류 요리사는 냄새가 강한 고기나 생선 요리에 고수 씨앗을 절구에 빻아서 넣기도 한다. 육류나 생선 특유의 비린 냄새가 향긋한 허브향으로 바뀌면서 요리의 품격을 한 단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리라. 
 
다음은 가을상추 맛을 볼 차례다. 봄철에 상추 잎을 돌려가면서 따서 먹다보면 한 두 그루에서 꽃대가 나온다. 그대로 놓아 두면 노란꽃이 그런대로 정취가 있으며, 동네의 호박벌과 흰나비가 모여들어 낙원을 연출한다. 꽃이 피면서 아주 넓직한 면적을 차지하는 게 약간은 흠이지만 꽃이 지고나면 하얀 깃털이 달리 씨앗이 여문다. 그대로 방치해 놓아도 좋고, 바람에 흔들리는 열매자루를 꺽어 한 두 번 흔들어 준다. 씨앗이 사방으로 흩어지면서 자리를 잡게 된다. 봄 상추가 자라던 자리에 다시 가을상추가 자라게 된다. 
 
이 때 상추 씨앗이 싹을 트는 데는 햇빛을 충분히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따라서, 상추는 씨앗을 흙으로 깊게 덮어주면 싹이 트질 못한다. 이렇게 싱겁게 뿌려 준 상추 씨앗은 곧 싹이 트며 다시 자란다. 여름 가뭄으로 조금 늦게 나오는 경우도 있다. 조금만 기다리면 싹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조그만 상추는 가을비를 맞으며 쑥쑥 자란다. 가을이야 다른 먹거리가 비교적 풍성한 계절이지만 한두 번은 이들 상추와 함께 한다면 가을상추의 참맛을 느낄 수 있다. 
 
텃밭에 들깨(Wild Sesame; Perilla Leaves)를 재배한 경험이 있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다 잘 이해하고 있으리라 생각되는 데, 씨앗이 생기는 그루가 너무 많으면 온통 그들의 세상이 된다. 그대로 방치하다보면 그들을 뽑아내는 데 너무 많은 수고를 해야 한다. 손바닥 텃밭에서는 한두 그루면 충분하고, 보다 많은 때는 열매를 따로 받아서 이웃과 나누면 기쁨이 두배가 된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이들 채소류가 꽃을 피게 되면 자랄 때보다 훨씬 넓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그들이 열매를 맺도록 하려면 좀 넓게 자리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이밖에도 천하태평 농법을 활용할 수 있는 작목은 수도 없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마 여러분이 더 많이 알고 계시리라. 이런 원칙을 적용해서 손바닥 텃밭을 가꾼다면, 힘도 적게 들뿐 아니라 종묘를 사느라 추가로 돈을 들일 필요도 없게 된다. 이래저래 텃밭을 가꾸는 재미가 두배로 늘어난다.  
 

[351] 호주 Macquarie 대학교와 SIBT

댓글 0 | 조회 3,204 | 2007.02.26
호주의 대학들도 뉴질랜드에서 치대 하면 오타고 대학교, 의대ㆍ법대 하면 오클랜드 대학교라고 하듯이 학과마다 유명한 대학들이 있는데 매쿼리대학교는 상경대 하면 호주… 더보기

[350] 대학교 1년 빨리가는 방법

댓글 0 | 조회 3,626 | 2007.02.13
지난 호의 뉴질랜드 대학 가는 좋은 방법에 이어서 이번호에는 대학교 1년 빨리 가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자. 많은 수의 학생들이 필자에게 고등학교 … 더보기

[349] 뉴질랜드 대학 가는 좋은 방법

댓글 0 | 조회 5,003 | 2007.01.30
뉴질랜드 대학가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뉴질랜드에서 공부한 학생이라면 대부분이 NCEA를 통해서 또는 캠브리지 과정이나 IB 과정을 통해서 들어가는 방법… 더보기

[348] 유학 후 이민(간호사 – Nursing)

댓글 0 | 조회 4,852 | 2007.01.15
간호사는 의료업계 곳곳에 필요하지 않은 곳이 없으며 세계 어느 나라든 부족한 직업군에 속해 있어서 졸업 후 취업이 용이하다. 간호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에서는 … 더보기

[347] 유학 후 이민(필름 에니메이터 - Film Animator)

댓글 0 | 조회 2,819 | 2007.01.15
요즈즘 각광을 받고 있는 인기 직업 분야로 영화나 인터넷상에서 에니메이션을 담당하는 에니메이터가 있는데 이 직업군은 현재 뉴질랜드 장기부 족직업군 리스트에 올라가… 더보기

[346] 정착서비스 요령 안내

댓글 0 | 조회 3,406 | 2006.12.11
조기 유학을 생각하는 많은 학부모들이 실제적으로 유학을 실행하는데에는 고초가 한 두가지가 아니다. 학교를 정하는 일도 일이거니와 설령 정했다 하더라도 해야 할 일… 더보기

[345] ACG 스트라쌀란(Strathallan)

댓글 0 | 조회 2,993 | 2006.11.27
공립학교가 좋을까? 사립학교가 좋을까? 필자가 유학업무를 하면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의 하나이다. 사견으로는 ‘공립도 좋고 사립도 좋다’ 뉴질랜드의 공립학교의… 더보기

[344] 미국 교환학생 프로그램(2)

댓글 0 | 조회 2,633 | 2006.11.13
지난 호에 미국 교환학생 프로그램(I)에 대해 설명하였다. 오늘은 그에 연하여 필요한 것들에 대해설명 해보겠다. 비자 준비 ********* 교환학생으로 입학을 … 더보기

[343] 미국 교환학생 프로그램( I )

댓글 0 | 조회 2,997 | 2006.10.24
한국에서 유학을 가고자 하면 단연 미국이다. 여건만 허락한다면 누구나 미국을 희망한다. 뉴질랜드에 유학을 온 학생의 경우도 기회만 주어진다면 미국으로 가고 싶어한… 더보기

[342] Auckland International College

댓글 0 | 조회 2,884 | 2006.10.09
Auckland International College(이하AIC)는 2003년 7월에 설립되었고 Y11-13을 운영하고 있다. AIC는 특별히 IB(Intern… 더보기

[341] SAT와 IB 프로그램

댓글 0 | 조회 3,102 | 2006.09.25
장차 미국 대학을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익히 알고 있어야 할 용어 중의 하나가 SAT와 IB프로그램이라는 용어이다.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있어야 좋은 대학교를 … 더보기

[340] 새로운 파넬 칼리지(2)

댓글 0 | 조회 2,789 | 2006.09.11
ACG의 Junior College가 이름을 변경하여 파넬 파넬 칼리지로 다시 태어났다. 파넬 칼리지는 유학생에게도 유명하지만 이곳 현지인들에게 더욱 유명하다. … 더보기

[338] 새로워진 파넬 칼리지(1)

댓글 0 | 조회 3,091 | 2006.08.08
뉴질랜드에서 대표적인 사립 명문 교육재단을 말하라면 단연 ACG일 것이다. ACG보다는 주니어 칼리지, 시니어 칼리지로 더 많이 알려져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최근… 더보기

[337] 유학 후 이민(유아교육학과 – Early Childhood …

댓글 0 | 조회 3,946 | 2006.07.24
유아 교육학을 전공한 유치원 교사는 현재 장기부족직업군 리스트에 올라있는 직업으로 뉴질랜드의 childcare centre 및 year 0 학생들을 가르치고 돌보… 더보기

[336] 유학 후 이민(사회복지사 - Social Worker 과정)

댓글 0 | 조회 4,203 | 2006.07.11
장기 부족직업군에 속해 있는 학과 중에 사회복지사 과정이 있다. 사회복지사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소화해 내는 직업으로 대부분 정부기관이나 병원에서 일을 … 더보기

[335] 유학 후 이민(배관공 Plumber 과정)

댓글 0 | 조회 5,880 | 2006.06.26
장기 부족직업군에 속해 있는 학과 중에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또 뉴질랜드에서 유망한 학과로 배관학과가 있는데, 1년 과정 Certificate Level 4만 … 더보기

[334] 유학 후 이민(자동차 정비과정)

댓글 0 | 조회 3,694 | 2006.06.13
장기 부족직업군에 속해 있는 학과중에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또 인기가 있는 학과로 자동차 정비학과가 있는데, 1년 과정 Certificate Level 4만 마… 더보기

[333] 유학 후 이민(목수과정)

댓글 0 | 조회 3,885 | 2006.05.22
최근 전례없이 뉴질랜드의 부동산 열기가 달아올라 많은 목수가 필요하게 되었다. 매년 발표되는 장기 부족 직업군에도 뉴질랜드의 모든 주요 지역에서 부족하다고 발표가… 더보기

[332] 유학 후 이민(컴퓨터 과정)

댓글 0 | 조회 3,335 | 2006.05.09
컴퓨터 과정은 1년부터 3년까지 다양한 과정이 있지만 장기부족직업군 학과에 속하려면 학사과정(NZQA Level 7이상)이어야 한다. NZQA의 Level7의 학… 더보기

[331] 유학 후 이민(요리과정)

댓글 0 | 조회 3,648 | 2006.04.26
장기부족직업군에 속한 학과를 공부하면 배우자의 웍퍼밑을 통하여 자녀의 학비가 면제되고 아울러 본인의 영주권 신청 자격도 준비할 수 있으니 많은 학부모가 관심을 갖… 더보기

[330] 유학 후 이민 (원예학과)

댓글 0 | 조회 3,706 | 2006.04.10
자녀의 학비를 면제 받으면서 영주권을 준비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장기부족 직업군에 속한 학과를 등록한다는 것은 이제 어느 정도 인식이 되어 있는 것 같다. 뉴질랜… 더보기

[329] 2006년 대입 캠브리지 시험 수상자 명단과 학교명(Ⅱ)

댓글 0 | 조회 2,733 | 2006.03.30
2006년 대입 캠브리지 시험 수상자 명단과 학교명

[328] 2006년 대입 캠브리지 시험 수상자 명단과 학교명

댓글 0 | 조회 2,800 | 2006.03.15
지난 호에서는 2006년 대입 캠브리지 시험 결과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이 번호는 지난 호에 시험결과에 대한 분석의 근간이 된 수상자 학생의 명단과 학교의 이름… 더보기

[327] 2006년 대입 캠브리지 시험 결과 분석

댓글 0 | 조회 2,853 | 2006.02.27
NCEA시험은 뉴질랜드 대학교를 입학하기 위한 시험제도이다. 매년 말에 시행되는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실력을 변별해내는 역할을 한다. 한국에서 대학교를 … 더보기

[325] 교육전문재단 Academic College Group

댓글 0 | 조회 2,375 | 2006.01.31
시니어 칼리지나 오클랜드 대학교 파운데이션 과정은 이제 사람들의 귀에 친숙하다. 이미 충분하게 증빙되어 유명해 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들이 교육 전문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