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rcial Lease (상업용 임대차)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Commercial Lease (상업용 임대차)

0 개 2,635 코리아타임스
뉴질랜드에서 비지니스를 하는 분들은 어떤 식으로든 Commercial Lease (상업용 임대차)와 관련이 되어 있을 것이다.

Commercial Lease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분들은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가 건물을 빌려서 비지니스를 하는 분들이 있고, 그와는 반대로 투자의 목적으로 건물을 보유하면서 임대를 주는 건물주들이 있다.
비지니스를 운영하는 분은 건물을 임차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자신이 건물을 가지고 있어도, 건물의 소유는 개인 명의나 또는 트러스트 명의로, 비지니스는 법인 명의로 하여 건물주(개인/트러스트)가 비지니스(법인)에게 임대를 주는 형식을 택하는 것이 여러모로 유리하다. 자신이 건물주가 아니라면 당연히 건물주에게 임차를 하게 된다.

Commercial Lease는 흔히 말하는 렌트와는 많은 차이점이 있는데, 주거의 목적으로 주택을 임대하고 빌리는 Residential Tenancy와는 별도로 취급된다.

주거용 렌트(Residential Tenancy)는 1986년에 제정된 Residential Tenancies Act의 규제를 받는다. 이 법은 집주인의 권리보다는 세입자의 권익 보호에 조금 더 중점을 둔 법안으로, 세입자에게 유리한 법안이다.
이에 비해 상업용 임대차는 Property Law Act의 규제를 받는데, 비교적 건물주의 입김이 많이 적용된 법안이다. 주거용 렌트 때문에 분쟁이 생긴다면, Tenancy Tribunal이라는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분쟁의 해결책이 있지만 상업용 임대차에는 이러한 간단한 절차가 없다.

세입자가 한 건물을 빌려 주거용 목적과 상업용 목적으로 동시에 사용 한다면, 이는 주거용 렌트에 관련된 Residential Tenancies Act의 규제를 받으므로 주의해야한다.

주거용 렌트의 계약에는 Department of Building and Housing이라는 정부 기관에서 만들어 배포하는 계약서가 널리 사용된다.

상업용 임대차의 계약에는 오클랜드 변호사 협회에서 만들어진 계약서를 기준으로 경우에 따라 변형된 계약서가 사용 된다. 주거용 렌트 계약서가 세장짜리 간략한 계약서이고 따라서 누구나 손쉽게 작성할 수 있는 것에 비해, 상업용 임대차 계약서는 대략 15장에 걸쳐 상세한 조항들이 기재되어 있다. 그만큼 상업용 임대차에는 계약 전에 집고 넘어가야 할 사항이 많다는 뜻이고, 역설적으로 분쟁의 여지도 많다.

필자는 얼마 전 Korea Times 법률 칼럼에 상업용 임대차에서 요구되는 보증과 그의 대안에 관련하여 기재한 적이 있는데, 그 후 많은 고객들의 문의를 받았다. 그 때 교민들이 commercial lease에 관심이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평소 lease에 관한 법률 업무를 보면서 이러한 점은 아쉽다 하고 생각하는 사항들을 정리하여, 지난 10월 29일 Commercial Lease란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이제부터 세미나에서 다룬 내용 중 일부분을 보완하여 약 6회에 걸쳐 법률칼럼에 연재 하고자 한다

전체적으로 상업용 임대차의 overview형식으로, 대략적인 개요와 그와 관련하여 일어날 수 있는 중요한 사항 몇 가지를 설명하려 하는데, 다음과 같은 순서로 풀어 나가 보려 한다.

(그 전에, Commercial Lease에 관련된 내용은 주거용 렌트에는 적용되지 않음을 명확이 밝혀 둔다.)
• Commercial Lease에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
• Commercial Lease의 시작
• Essential Commercial Terms
• Rent Review
• Renewal of Lease
• 수정의 여지가 있는 조항들/주의할 점

다음 호에서는Commercial Lease에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하겠다.

ⓒ 뉴질랜드 코리아타임스(http://www.koreatimes.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희대의 살인사건 – Case of David Bain(Ⅲ)

댓글 1 | 조회 4,191 | 2009.07.27
데이비드 베인의 재판은 여러 의혹과 문제점을 부각 시켰는데, 크게 요약하면 다음의 6가지로 압축된다.1. 그렇다면 범인은 누구인가?데이비드가 무죄라면 베인 일가족… 더보기

희대의 살인사건 – Case of David Bain (II)

댓글 0 | 조회 2,840 | 2009.07.14
데이비드 베인은 1995년 첫 재판 이후 여러번 항소를 시도했지만 매번 항소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데이비드는 이에 마지막으로 영 연방국가 최고 사법기관인 추밀원… 더보기

희대의 살인사건 – Case of David Bain

댓글 0 | 조회 3,327 | 2009.06.23
지난주 David Bain의 재판 결과가 나왔다. 뉴질랜드 역사상 가장 큰 관심을 받은 재판이라 생각되는데, 일가족의 살인사건이라는 점과, 범죄의 피의자가 가족이… 더보기

무죄추정의 원칙

댓글 0 | 조회 2,629 | 2009.06.09
무죄추정의 원칙(Presumption of Innocence)이란 피고인 또는 피의자는 잘못이 증명되어 유죄 판결이 확정될 때까지 무죄로 간주된다는 것을 말한다.… 더보기

은행 구좌에 거금이 입금되었다면

댓글 0 | 조회 2,901 | 2009.05.27
아침에 아무런 생각 없이 은행 잔고를 체크했는데 생각지 못한 거금이 입금 되었다면 어떻게 할까… 은행에 신고를 해야 할까 아니면 조용히 기다려 봐야 할까. 이도저… 더보기

은행 옴부즈맨 (Banking Ombudsman)

댓글 2 | 조회 2,621 | 2009.05.12
영한사전에서 ombudsman을 찾아보면 행정 감찰관 또는 옴부즈맨이라 나온다. 한국에서는 생소한 제도인 듯 한데, 옴부즈맨 제도를 간략히 설명하면, 국민의 권리… 더보기

가격 담합 – Price Fixing

댓글 0 | 조회 2,744 | 2009.04.28
동종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 또는 공급하는 기업들이 서로 가격이나 생산량, 출하량 등을 제한하고 경쟁을 피하는 것을 카르텔(Cartel) 또는 기업연합(企業聯合)… 더보기

90일의 수습기간

댓글 0 | 조회 2,951 | 2009.04.15
2008년 말 고용관계법이 개정 되었다. 개정안이 국회에 상정되고 여러번의 심의를 거치는 동안 정치적으로 뿐만이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다. 개정안… 더보기

부동산 에이전트는 누구의 에이전트인가 – Stevens & Ors v Premi…

댓글 0 | 조회 3,562 | 2009.03.24
최근 부동산 매매와 관련하여 흥미로운 판례가 나왔기에 이번호에서 소개할까 한다. 이번달 초 대법원에서는 Stevens & Ors v Premium Estate L… 더보기

미성년자 계약법(Minors' Contracts Act)

댓글 0 | 조회 2,925 | 2009.03.10
Age of Majority Act 1970 (성년법)에 의하면, 뉴질랜드에서의 '성인'은 만 20세 이상인 사람을 뜻한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성년'과 '성… 더보기

상업용 Lease (Ⅷ)

댓글 0 | 조회 2,143 | 2009.02.24
이번호는 상업용 임대차에 관한 연재의 마지막 편으로, 지면상 지난호에서 얘기하지 못했던 임대차 계약의 여러 사항을 짤막하게 짚고 넘어가려 한다.임대차 계약의 양도… 더보기

Renewal of Lease (리즈의 연장)

댓글 0 | 조회 2,338 | 2009.02.10
렌트비의 조정과 마찬가지로 Lease의 연장권한과 연장기간 역시 애초 lease계약을 할 때 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리즈기간(term)이 6년이고 rights … 더보기

Rent Review(렌트비의 조정)-Ⅴ

댓글 0 | 조회 3,687 | 2009.01.28
처음 Lease계약을 할 때 얼마간의 주기로 렌트비를 조정할지를 정한다. 2~3년에 한번씩 렌트비를 조정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lease 계약서에 나와 있는 조항… 더보기

Essential Commercial Terms (필수 상업조항)

댓글 0 | 조회 3,170 | 2009.02.10
임대차 계약의 조항들을 검토하고 수정하는 것은 변호사가 해야 할 일이지만, 변호사가 건물에 직접 가 보거나 비지니스에 관련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Lease 계… 더보기

상업용 임대차의 시작 (Ⅲ)

댓글 0 | 조회 2,473 | 2009.02.10
세입자가 lease를 시작하는 방법은 보편적으로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건물주와 직접 lease계약을 하는 경우가 있고, 기존에 있던 비지니스를 인수하면서 l… 더보기

상업용 임대차 (Ⅱ)

댓글 0 | 조회 2,556 | 2009.02.10
Commercial Lease에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영어로 된 법을 한글로 풀어 설명하고, 이해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나 임대차 계약은 특정 단어가 자… 더보기

현재 Commercial Lease (상업용 임대차)

댓글 0 | 조회 2,636 | 2009.02.10
뉴질랜드에서 비지니스를 하는 분들은 어떤 식으로든 Commercial Lease (상업용 임대차)와 관련이 되어 있을 것이다. Commercial Lease와 밀… 더보기

유언장 - Will

댓글 0 | 조회 3,526 | 2009.02.11
우리 한국사회에서는 유언장은 언급하기 꺼려지는 주제이다. 변호사 일을 하다 보면 유언장을 작성, 수정 검토하는 일을 자주 하게 된다. 현지 사회에서 유언장은 일상… 더보기

Mortgagee Sale (Ⅱ)

댓글 0 | 조회 2,642 | 2009.02.11
Mortgagee Sale에서 주의해야 할 점을 몇 가지 살펴보겠다.첫째로, Mortgagee Sale시 작성하는 매매계약서는 구매자측에서 볼 땐 uncondit… 더보기

Mortgagee Sale (Ⅰ)

댓글 0 | 조회 2,466 | 2009.02.11
경제가 어려워 지면서 Mortgagee Sale이 부쩍이나 많아졌다.워낙 신문이나 텔레비젼 등 미디아에서 자주 언급이 되다 보니 다들 Mortgagee Sale이… 더보기

Family Trust

댓글 0 | 조회 2,415 | 2009.02.11
이 번호에서는 트러스트와 관련하여 증여 및 유언장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해 보겠다.<증 여>트러스트 설립 후 개인의 자산을 트러스트에 이전시킬 때에는 증… 더보기

Family Trust의 개요 (Ⅱ)

댓글 0 | 조회 2,370 | 2009.02.11
불문법(common law등의)방식을 따르는 영연방 국가의 법제 아래서는 트러스트는 equity라는 형평법으로 보호받기에 등기상 소유주가 관리자로 되어 있어도 관… 더보기

Family Trust의 개요 (Ⅰ)

댓글 0 | 조회 3,072 | 2009.02.11
회사/법인을 설립할 때 정관이 필요하듯이, 트러스트를 설립할 때도 기본 문서가 필요한데, 이를 Trust Deed라 부른다. 이 문서에 트러스트의 전반적인 내용과… 더보기

Family Trust (Ⅳ)

댓글 0 | 조회 2,102 | 2008.08.01
3. 미래 세법의 변화현재 뉴질랜드에는 Capital Gains Tax(양도차익/소득세)가 존재하지 않는다. OECD에 가입된 국가 중 유일하게 비슷한 종류의 세… 더보기

[384] Family Trust (Ⅲ)

댓글 0 | 조회 2,211 | 2008.07.08
정부 보조금의 극대화 뉴질랜드 정부에서 나오는 여러 보조금과 혜택들은 수혜자의 자산과 소득을 비교해 수혜 가능 여부와 금액이 달라지는데 이를 영어로 means 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