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지분할과 매매에 따른 문제점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택지분할과 매매에 따른 문제점

0 개 4,545 NZ코리아포스트
부동산 붐이 한창일 때 넓은 대지를 분할하여 여러 개의 작은 규모의 택지로 매매하는 것이 빈번하였다. 이는 대규모의 개발업자 외에도 일반 가정집의 소유주도 마찬가지였을 텐데, 분할이 가능한, 예를 들어 대지가 1,000m2 이상의 주거용 부동산은 집값 외에도 분할 가능성에 대한 프리미엄이 조성되어 고가에 팔리는 것이 대세가 되어버렸다.

요즘은 부동산 경기 침체와 금융 시장의 조정으로 인해 택지 분할(subdivision)이 예년보다 뜸하고, 몇 년 전에 분양 받아놓은 택지도 현재 시점에서 매매계약을 파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분할한 택지의 매매계약은 보통 두 가지 형식으로 이뤄지는데, 첫째는 기존 소유주가 이미 분할을 마쳐놓은 택지의 매매를 계약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아직 분할이 시작 또는 종료 되지 않은 토지의 일부분을 매매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다.

첫 번째의 경우에는 기존의 소유주, 즉 매도자가 분할을 마쳐놓았기에, 분할된 각각의 토지에 해당하는 타이틀 (Certificate of Title)이 존재하고, 그렇기에 분쟁이 생길 가능성이 적으며, 보통의 부동산 매매와 다를 것이 없다. 하지만 두 번째의 경우 아직 분할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분쟁의 여지가 많다.

그렇다면 분할이 종료되기 전에 매매계약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토지의 기존 소유주의 편의 때문인데, 택지를 분할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간다. 기존 소유주의 입장에서는 매매가 성사된다는 보장이 없이 섣불리 분할을 시작하기에는 부담이 될 수가 있다. 이에, 분할을 하기 전에 마땅한 구매자를 물색하여 분할 방식을 제시하고 분할된 땅의 매매 계약이 이뤄진 후에야 실제 분할에 착수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나 대규모 개발업자의 경우에는, 분할에 착수하기 위한 자금을 금융사에서 조달하는데, 금융사의 융자 조건에는 분할된 땅의 분양이 특정 날짜까지 몇 퍼센트 이상 되야 한다는 조건이 흔히 포함된다. 그리고 분양/매매계약 체결시 받은 계약금(deposit)을 사용하여 분할에 소요되는 비용을 일부분 충당한다.

문제는, 분할이 이뤄지기 전에 매매계약을 체결하면 실제로 분할이 되는 토지의 경계와 면적 그리고 분할이 종료되어 타이틀이 발행되는 시기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20 에이커(acre) 규모의 택지를 11 에이커와 9 에이커 짜리의 두 개의 택지로 분할하여, 9 에이커 짜리 택지를 $400,000에 매매하기로 계약을 체결한다고 했을 때, 만약 시청의 규제와 허가 조건의 유무로 인해 11:9가 아닌 11.5 에이커와 8.5 에이커로 분할이 되었다면 이는 계약 위반이고 매매계약은 파기되어야 할까? 아니면 기존에 체결한 계약대로 매매를 이행하고 구매자는 잔금을 지불해야 할까?

다른 예로, 큰 규모의 택지 중 바다가 보이는 조망이 좋은 위치의 일부분을 분할하여 매매하기로 하였는데, 계획했던 방식으로는 분할이 불가능 하여 (시청의 분할 허가 조건 및 규제 등으로 인해) 실제로 분할된 토지에서는 바다가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매매 계약은 여전히 유효할까? 만약 구매자가 계약의 파기를 원하고 매도자는 이를 거부한다면 법원은 어떤 판결을 내릴까?

위에서 든 두 가지 예는 실제로 적잖이 발생한다. 매매계약의 세부 조항을 알기 전에는 명쾌한 답을 내리기가 힘들지만, 첫 번째 경우에는 계약이 유효하고 매매가 이행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두 번째의 경우에는 계약이 파기되고 구매자는 계약금을 돌려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계약 당사자들이 어떤 의도로 계약을 했는지가 중요한데, 만약 바다가 보이지 않는 땅이라면 구매자가 애초에 구매를 할 생각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이 입증된다면 법원은 구매자의 손을 들어줄 가능성이 높다.

택지 분할과 분할될 토지의 매매 계약을 체결할 땐 추후 생길 수 있는 분쟁을 피하기 위해 여러 추가 조항이 권장 되는데, 다음호에서 이를 살펴보겠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증여세 (To gift or not to gift)

댓글 0 | 조회 2,508 | 2011.10.12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셰익스피어의 비극 햄릿에 나오는 대사이다. 요즘 뉴질랜… 더보기

Without Prejudice

댓글 0 | 조회 10,941 | 2011.09.28
법정 드라마를 보시는 분들은 without prejudice라는 단어를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 것이다. 밑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 하겠지만, without prej… 더보기

소송...? 중재...?

댓글 0 | 조회 2,737 | 2011.08.24
필자가 이 칼럼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은 몇년 전, 하루는 칼럼을 즐겨 보신다는 독자분께 전화를 받았다. 여러해 전이라 대화 내용이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지만, … 더보기

한 사람의 집은 바로 그의 성(城)이다?

댓글 2 | 조회 3,954 | 2011.08.13
이웃집에 위치한 나무가 조망을 해칠 때가 있다. 바다나 시내 야경 등 전망이 좋은 집은 그만큼 가치 또한 높기 마련인데, 이웃집 나무가 자라서 시야를 가리게 되고… 더보기

나무야 나무야

댓글 0 | 조회 2,723 | 2011.07.26
뉴질랜드는 나무가 참 많은 나라다. 대부분의 집들은 뒤뜰이나 앞 마당 안에 나무가 한 그루 이상 있기 마련이다. 특히 옆 집과의 경계선 부근에 나무가 많이 심어져… 더보기

렌트 - The Residential Tenancies Act

댓글 1 | 조회 3,691 | 2011.07.12
모든 것이 빠르게 진화하고 정보가 범람하는 요즘, 법 역시 변화하는 세상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숨가쁘게 움직이고 있다. 매달 새로이 제정되는 법령과, 개정이 의논… 더보기

사색(Ⅰ)-변호사에게 가장 큰 재산

댓글 0 | 조회 2,597 | 2011.06.28
업무를 보다보면 여러 사람들을 만나게 되고 그들의 삶에 한 발을 들여놓게 된다. 변호사라는 직업상 다른 직종보다 비교적 짧은 시간에 사람을 더 깊이 그리고 자세히… 더보기

길을 걷다 현금 다발이 든 사과박스를 줍게 된다면?

댓글 1 | 조회 5,464 | 2011.06.14
만약 길을 걸어가다 지갑을 줍게 된다면 독자께서는 어떻게 하실 것인가? 만약 지갑 안에 신분을 증명할만한 아무런 카드나 자료가 없고, 현금 다발이 들어있다면… 아… 더보기

뉴질랜드판 봉이 김선달

댓글 0 | 조회 6,940 | 2011.05.24
다들 대동강물을 팔아먹은 봉이 김선달 이야기는 아실 것이다. 희대의 사기꾼인지 아니면 뛰어난 사업가인지, 사람마다 평가는 다르겠지만, 한푼도 안들이고 대동강물을 … 더보기

“No Refund” - 환불거부

댓글 4 | 조회 6,394 | 2011.05.11
주말이면 쇼핑센터에 사람들이 많아진다. 학생들 방학이나, 비가 오는 주말이면 쇼핑센터가 더욱 분주해지기 마련인데, 이런 날에는 상점들은 발 디딜틈 없을 정도로 바… 더보기

당신 변호사 맞어?

댓글 0 | 조회 3,688 | 2011.04.27
얼마전 ‘나는 변호사다’라는 거창하고도 민망한 제목으로 칼럼이 나간 이후, 여러 독자로부터 피드백을 받았다. 여태까지 혼자서만 막연히 짐작하고 있었지만, 이 칼럼… 더보기

집단소송

댓글 0 | 조회 2,651 | 2011.04.12
집단소송(集團訴訟)이란 공동의 이해관계가 있는 다수가 소송을 제기하는 것을 말한다. 뉴질랜드 법조계에선 흔히 들을수 있는 단어가 아니지만, 최근 크라이스트처치 한… 더보기

‘나는 변호사다’

댓글 0 | 조회 3,227 | 2011.03.23
가수로서 최고봉, 또는 그에 근접한 가수들 일곱명이 모여 생존 경쟁을 벌인다. 단 한곡의 공연을 통해 청중의 평가를 받고, 최하위 점수를 받은 탈락자 한명을 선정… 더보기

디지털 자산

댓글 0 | 조회 2,585 | 2011.03.08
싸이월드, 페이스북, 트위터. 이 단어들이 생소하게 느껴지는 독자가 있다면, 님은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고 계신 분이다. 이십년전, 아니 불과 십오년 전만해도 인터… 더보기

Footlong, 샴페인, 하이타이

댓글 0 | 조회 3,009 | 2011.02.23
간단히 끼니를 때울때에는 햄버거 등의 패스트푸드를 많이들 애용한다. 맥도널드, 버거킹 같은 햄버거 체인점 외에 서브웨이라 불리는 샌드위치 전문점이 있다. 뉴질랜드… 더보기

$10 상당의 주식을 $5에 대량 매입을 시도한다면?

댓글 0 | 조회 5,278 | 2011.02.12
최근 투자자들의 어리숙함을 이용해 주식 거래를 통한 시세차익을 노린 한 사업체의 행각이 발각되어 화제를 일의키고 있다. Energy Securities라는 사업체… 더보기

경쟁 회사를 인수할때

댓글 0 | 조회 2,487 | 2011.01.26
뉴질랜드는 소비자 보호법이 비교적 엄격히 적용 된다.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법안은, 이 칼럼을 통해 전에 소개한 Fair Trading Act (공정 거래법)… 더보기

뭥미… 이거 법 맞어?

댓글 0 | 조회 2,680 | 2011.01.13
최근 비지니스 매매라는 주제로 연재를 하다보니 칼럼이 다소 건조 해진 것 같아 올해 첫 칼럼은 가벼운 주제로 시작하려 한다. 먼저 퀴즈를 하나 내겠다. 다음중 불… 더보기

비지니스 매매계약서(Ⅴ)

댓글 0 | 조회 3,253 | 2010.12.22
경우에 따라서는 vendor finance라는 것이 유용히 사용될수 있다. 매도자나 구매자나 매매에 관한 의지는 뚜렸한데, 매매가가 근소한 차이로 절충이 안된다던… 더보기

비지니스 매매계약서(Ⅳ)

댓글 0 | 조회 2,767 | 2010.12.08
임대차는 ‘비즈니스 매매’와 굳이 같이 연관 짓지 않아도, 그것 자체만으로도 하나의 큰 분야이다. 큰 변호사 사무실에서는 상업용 부동산의 매매와 임대차만 전문적으… 더보기

비지니스 매매계약서(Ⅲ)

댓글 0 | 조회 2,698 | 2010.11.24
마지막으로 매매당사자들이 꼼꼼히 챙겨야 할 상업용 조항으로는 Restraint of Trade가 있는데, ‘거래제한’ 관련 조항이다. 매매가 이루어진 후, 매매가… 더보기

비지니스 매매계약서(Ⅱ)

댓글 0 | 조회 4,279 | 2010.11.10
지난호에 이어 비지니스 계약서 작성시 매매당사자들이 직접 꼼꼼히 챙겨야 할 사항을 살펴보겠다:8. Deposit: 계약금을 뜻한다. 계약이 조건부 계약이라면 모든… 더보기

비지니스 매매계약서(Ⅰ)

댓글 0 | 조회 2,911 | 2010.10.28
비지니스 매매 계약을 할 때, 매매당사자들이 직접 꼼꼼히 챙겨야 할 사항들이 있는데, 이 사항들은 매매계약서의 첫 페이지에 요약되어 있다. 각 항목을 위에서부터 … 더보기

비지니스 매매계약(Ⅴ)

댓글 0 | 조회 5,270 | 2010.10.13
비즈니스를 처음 하는데는 기존 비즈니스를 인수하는 경우와, 처음부터 창업하는 경우가 있다. 창업을 하는 경우에는 매매계약이 필요 없으므로, 이번호에서는 비즈니스를… 더보기

회사설립(Ⅳ)

댓글 0 | 조회 4,981 | 2010.09.28
회사에는 두 가지 주요 직책이 존재한다. Director와 shareholder인데, director는 이사, shareholder는 주주이다. 주주는 회사를 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