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실(過失)–음식을 먹다가 나온 이물질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과실(過失)–음식을 먹다가 나온 이물질

0 개 2,010 이동온
어느 늦은 일요일 오후, 운전을 하다가 새로 생긴 피자 체인점을 보고 생뚱맞게 십여 년 전 신문기사가 생각 났다.

모 피자 체인점에서 치즈 피자 등 채식주의자를 위한 피자를 샀는데, 먹다 보니 피자에 돼지고기로 만들어진 베이컨이 들어 있었고, 미처 발견을 하지 못해 삼켜버린 사람이 있었다. 이 사람은 독실한 이슬람 교도로, 모처럼 가족들과 피자를 먹다가 ‘봉변’을 당한 것이었다.  종교적인 이유에서 살아 있는 돼지는 물론 돼지 고기 근처에도 가지 않는다는 이 가족은 돼지고기를 먹는 중대한 죄를 지었다며, 이슬람교 성지인 사우디 아라비아 메카에 가서 죄를 회개하고, 용서를 받아야 한다며, 피자 회사 측이 그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슬람교의 교리를 알지 못하니, 돼지고기를 먹는 것이 얼마나 큰 죄인지 알 수는 없으나, 대부분의 뉴질랜드 사람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피자 회사 측은 정중한 사과와 함께 무료로 피자를 제공 하겠다고 제안 하였으나, 이 ‘피해자’들은 꼭 메카에 가야만 한다며 완강히 버티었고, 결국 뉴질랜드 이슬람 협회의 권고 하에 원만히 해결되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필자의 생뚱맞은 회상은 거기서 그치지 않고, 어린 시절 본 한국 드라마로 이어졌다. ‘한지붕 세가족’이라는 일요 드라마로 기억하는데, 한 아주머니가 이웃이 준 캔 음료를 마시다가 이물질을 발견했고, 그 회사에 항의 전화를 했더니 회사에서 사건을 무마 하려고 온갖 선물을 가지고 찾아 오는데, 이 선물을 가지고 이웃들이 다툰다는 줄거리였다. 실제로 음료를 마시고 이물질을 발견한 ‘피해자’ 앞으로 배달 온 선물을 집주인이 가로채려 하기도 하고, 애초에 음료를 준 사람이 자기 몫을 챙기려 하고. 결국엔 피해자가 모든 선물을 증거자료로 소비자 보호 센터에 고발한다는 결론이었다.

Tort라 불리는 현대 영미법에는 negligence라는 분야가 있다. 한국식으로는 불법행위를 통한 과실(過失) 정도로 번역이 될 듯 한데, 과실책임 관련 법은 이십 세기 초반 영국 판례인 Donoghue v Stevenson을 통해 정립 되었다. 혹자에 따르면 이 판례는 영국 변호사들이 불문법(不文法)에 기여한 가장 큰 업적이라 하는데, 이 판례가 나오게 된 사건이 참 재미있다.

도노휴라는 아주머니는 어느 날 친구랑 같이 카페에 갔는데, 친구가 진저비어 라는 음료를 사주게 된다. 도노휴 아주머니는 진저비어를 병 채로 마시기 보다는 조금씩 유리잔에 따라 마시고 있었는데, 한참을 마시고 다시 잔을 채우다 보니 진저비어 속에 부식되고 있던 달팽이가 나온 것이었다. 도노휴 아주머니는 그 것을 보고 큰 쇼크에 빠지게 되고 또한 장염 진단을 받게 된다. 이를 근거로 진저비어의 제작자인 스티븐슨씨를 상대로 손해 배상 소송을 제기하였고, 이 소송의 판결이 현대 과실 관련 법의 근간이 되고 있다.

불법행위법(tort) 상의 과실을 주장 하려면 피해자는 여러 사항을 입증 하여야 하는데, 먼저 가해자가 피해자를 보호해야 하는 어떤 ‘의무’가 존재해야 하고, 가해자가 이 의무를 소홀히 하였기에 실제로 피해자가 손실을 입었음을 입증 하여야 한다. 도노휴 아주머니의 사건 전까지만 해도, 물품의 제조자가 소비자에게 어떤 ‘의무’가 있다고 생각하긴 어려웠으나, 이 판결을 기점으로 제조업자는 제조된 물품을 사용하게 될 소비자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을 의무가 있다는 원칙이 만들어지게 된다.

과실로 인해 입은 상해에 대한 소송은 뉴질랜드를 제외한 영미법 국가에서는 생각보다 흔한데, 뉴질랜드에서는 흔히 ACC라 불리는 accident compensation scheme으로 인해 과실로 인한 인체 상해는 소송을 제기할 수 없게 되어있다. 위에서 언급한 피자 사건에서 불 수 있듯이, 음식을 먹다가 나온 이물질로 인해 신체적 (또는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 할지라도, 딱히 민사상의 책임을 추궁하기 보다는 ACC를 통한 보상을 알아보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견공(犬公)의 생존권의 가치

댓글 0 | 조회 1,602 | 2012.10.24
인간의 가장 좋은 친구는 개라는 말이 있다. 아직 증명되지 않은 학설에 의하면 삼만삼천년 경 전에도 개는 이미 가축화 되어 있었다고 하니, 개는 아마도 인간의 가… 더보기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댓글 0 | 조회 2,718 | 2012.10.10
같은 말이라도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라는 속담이 있다.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고, 상대방이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뜻이다. 법 … 더보기

그래 이거야!

댓글 0 | 조회 1,709 | 2012.09.26
간혹 예고없이 기발한 아이디어나 아이템이 떠오를 때가 있다. 소위 말하는 대박이란 걸 칠 것 같은 아이템이 떠오르면 다른 사람이 비슷한 아이템을 내놓을까 싶어 재… 더보기

음주운전 - 알코올 인터락

댓글 0 | 조회 4,761 | 2012.09.11
한 잔 정도는 괜찮겠지…? 차를 놔두고 그냥 택시를 타고가…? 운전면허를 소유한 애주가라면 한번쯤은 해본 고민이 아닐까 싶다. 음주운전은… 더보기

사색(Ⅲ) - 아저씨의 재발견

댓글 0 | 조회 1,598 | 2012.08.28
얼마 전 고객 한 분과 식사를 하는데, 고객께서는 자녀를 대동하고 나오셨다. 이런 저런 대화를 하며 식사를 하는 도중, 자녀분이 고객께 “아저씨는 왜 … 더보기

법정 모독

댓글 1 | 조회 1,901 | 2012.08.15
법정 모독(contempt of court)은 법원의 권위를 침해하는 행위, 그리고 그로 인해 법원이 내리는 명령을 뜻한다. 영미법에서는 법원이 그 권위를 유지하… 더보기

착한 사마리아인 법 - 방관자 신드롬

댓글 0 | 조회 5,511 | 2012.07.25
피를 흘린 채 길가에 쓰러져 있는 사람을 방관하고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 몇 주 전 미국 버지니아주 한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의 CCTV에 찍힌 영상이다. 피를 흘… 더보기

금지된 결혼

댓글 0 | 조회 2,260 | 2012.07.11
‘내가 맘에 들어 하는 여자들은 꼭 내 친구 여자친구이거나 우리 형 애인, 형 친구 애인 아니면 꼭 동성동본’ 요즘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 더보기

버려진 땅

댓글 0 | 조회 2,765 | 2012.06.27
2007년경부터 시작된 경제 위기의 여파에서 서서히 벗어나고 있는 지금, 은행 융자를 갚지 못하여 강매되는 부동산의 숫자는 여전히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더보기

사색(Ⅱ)-우리나라

댓글 0 | 조회 1,759 | 2012.06.13
필자에게 한국이라는 단어는 자주 쓰는 단어 중에 하나다. 이 칼럼에서도 뉴질랜드와 대한민국을 비교할 때면 서슴지 않고 대한민국을 한국이라고 말하곤 한다. 한국에서… 더보기

일하는 시간

댓글 0 | 조회 2,726 | 2012.05.23
일월부터 십이월까지 뉴질랜드에는 11일의 공휴일이 있다. 대부분의 공휴일은 주말과 겹치지 않게, 어느 달 몇 번째 주 월요일 또는 금요일 이런 식으로 지정되어 있… 더보기

Land Information Memorandum(LIM)

댓글 0 | 조회 2,210 | 2012.05.08
얼마전 모 방송사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에는 특별한 사전 조사 없이 집을 구입했다가 큰 손실을 입은 사람의 이야기가 방영되었다고 한다. 필자가 직접 시청한 방송이 … 더보기

보증(Ⅱ)

댓글 0 | 조회 2,070 | 2012.04.24
보증인의 책임은 보증(계약)서의 조항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뉴질랜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증은 엄밀히 따지면 guarantee(보증) 이기도 하고 indemn… 더보기

보증(Ⅰ)

댓글 0 | 조회 2,278 | 2012.04.12
보증을 잘못 서서 집이 넘어갔다, 빚더미에 앉았다 또는 망했다더라… 이런 얘기를 종종 듣곤 한다. 물론 한국 얘기다. 한국에서 청장년기를 보내고 이민… 더보기

법무장관 - 검찰총장

댓글 1 | 조회 3,228 | 2012.03.28
이 칼럼을 쓰기 시작한 이후 번번히 느끼는 고충이 하나 있다. 이 단어는 한글로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인데, 일례로, 영어로는 익숙한 단어 depreciation이… 더보기

성가신 소송

댓글 0 | 조회 2,148 | 2012.03.14
뉴질랜드 권리장전이라 불리는 New Zealand Bill of Rights Act 1990의 스물일곱 번째 조항은 정의에 대한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특히 법원… 더보기

뒷담화

댓글 0 | 조회 2,639 | 2012.02.28
‘뒷다마를 깐다.’ 일상생활에서 들으면 아무런 생각 없이 넘어가게 되는 말인 듯 한데, 매거진을 통해 발행되는 칼럼에서 사용하기에는 무언가 … 더보기

법정 최고 이율

댓글 0 | 조회 4,043 | 2012.02.15
한국에는 법정 최고 이율이란 것이 존재 한다. 이자 제한법 상의 최고 이자율은 현재 연 30%로 알고 있고, 대부업법이라 불리는 ‘대부업 등의 등록 및… 더보기

현재 과실(過失)–음식을 먹다가 나온 이물질

댓글 0 | 조회 2,011 | 2012.02.01
어느 늦은 일요일 오후, 운전을 하다가 새로 생긴 피자 체인점을 보고 생뚱맞게 십여 년 전 신문기사가 생각 났다. 모 피자 체인점에서 치즈 피자 등 채식주의자를 … 더보기

Surcharge - 할증

댓글 0 | 조회 2,598 | 2012.01.18
할증이라는 단어는 뉴질랜드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필자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단어다. 아주 가끔 한국을 방문하여 늦은 저녁 택시를 탈 때나 들어보는 단어인데, 이와 반… 더보기

나의 소원

댓글 0 | 조회 2,485 | 2011.12.24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하느님이 내게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라고 대답할 것이다.그 다음 소… 더보기

부르카, 장옷 그리고 피우피우

댓글 0 | 조회 3,273 | 2011.12.13
대부분의 사람들이 결과를 예측할 수 있었던 2011년 국회의원 선거가 끝났다. 그리고 뉴질랜드 제일당의 당수 윈스턴 피터스는 또 한번 화려하게 정계에 복귀했다. … 더보기

소송펀드 - 소송 자금의 원조(援助)

댓글 0 | 조회 4,840 | 2011.11.23
오래된 영미 불문법에는 maintenance와 champerty 라는 개념이 있다. 역사를 뒤돌아 볼 때, 부유한 개인이 자신의 정적(政敵)이나 경쟁자에게 경제적… 더보기

무덤까지 가져가야 할 비밀

댓글 0 | 조회 2,400 | 2011.11.10
변호사가 지켜야 할 근본적인 덕목과 윤리 중 수위를 다투는 항목이 의뢰인에 대한 비밀 엄수이다. 모든 변호사는 의뢰인과 변호사의 관계 안에서 알게 된 의뢰인의 모… 더보기

알몸으로 달리는 사람

댓글 0 | 조회 2,708 | 2011.10.26
월드컵 열기가 절정에 달해 있는 이 시점, 필자의 사무실 밖에서는 아침부터 하루 종일 밴드가 연주를 하고 있다. 제목을 알 순 없지만, 나이를 떠나서 모두 따라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