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람의 집은 바로 그의 성(城)이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한 사람의 집은 바로 그의 성(城)이다?

2 3,955 NZ코리아포스트
이웃집에 위치한 나무가 조망을 해칠 때가 있다. 바다나 시내 야경 등 전망이 좋은 집은 그만큼 가치 또한 높기 마련인데, 이웃집 나무가 자라서 시야를 가리게 되고, 더 이상 바다가 보이지 않는다면, 불편함은 물론이고 부동산 가치의 하락으로 적지 않은 피해가 예상된다. 이웃집 나무가 우리 집으로 넘어오지는 않았지만, 그로 인해 해가 잘 들지 않거나 시야를 가린다면 어떻게 할까?

불문법을 기반으로 한 영미법에는 이웃집 나무가 내 집으로 넘어 오지 않는 한, 그 나무가 해를 가리거나 내 집에서의 시야를 가리더라도 이에 대해 어떤 조치를 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다. 이는 오래된 법언 ‘A man’s home is his castle’에 근거하는데, 한 사람의 집은 바로 그의 성이므로, 자기 집에서는 마음대로 행동 할 수 있고, 집주인의 허락 없이는 아무도 그 집에 들어갈 수 없다는 내용이다.

이 법언은 오래된 법언이긴 하지만, 영미법체계를 사용하는 뉴질랜드에서도 유효한 법언이고, 1975년 종합 부동산법 (Property Law Act 1952)가 개정되어 지방법원이 집주인에게 나무를 자르도록 강권 할 수 있는 권한이 생기기 전까지는 딱히 이웃집에 위치한 나무를 자를 수 있는 제제수단이 없었다. 종합 부동산법은 2007년에 대대적으로 개정되었고, 이 때 이웃집에 위치한 나무를 자를 수 있는 권한과 방법 역시 강화 되었는데, 먼저 판례 하나를 소개 해볼까 한다.

● Y와 B 그리고 D는 타우랑아의 바다가 잘 보이는 지역에 살고 있는 이웃들이다.

● Y의 집 뒤쪽으로 250m정도 떨어진 언덕 위에는 B의 집이 있었고, B의 집에서는 Y의 집이 훤히 들여다보였다. 특히 침실과 욕실이 정면으로 내려다 보였는데, Y는 사생활 노출을 막고자 2000년경, 자기 집 뒷마당에 아홉 그루의 오리나무를 심었다.

● D는 2005년경 Y의 집과 B의 집 사이에 위치한 집을 샀는데, 바다를 앞에 두고 Y의 집, D의 집, B의 집이 나란히 있는 셈이다. Y가 심은 나무들은 Y의 집과 D의 집과의 경계선 부근에, 하지만 Y의 땅 안쪽으로 심어졌다.

● B의 집은 그 지역 대부분의 집들처럼 바다 경관이 최대한 많이 보이도록 조망에 신경을 써서 설계된 집이었다. 2005년 당시에는 오리나무들의 높이가 그리 높지 않아서 B의 집에서의 전망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

● 나무가 무럭무럭 자라서 2011년경에는 Y의 바람대로 B의 집에서는 Y집을 전혀 볼 수가 없게 되었다. 하지만 D의 집에서는 나무 때문에 여름에는 바다를 전혀 볼 수가 없었고, D는 Y에게 나무를 적당히 잘라 줄 것을 요구했지만 Y는 이를 거절하게 된다. 원만한 해결이 힘들어지자, D는 종합 부동산법에 근거하여 법원에 Y의 나무의 가지를 잘라줄 것을 요청한다.

● Y의 나무를 자르게 되면 B의 집에서 Y집이 들여다 보이게 되고, 이는 나무를 심은 목적이 없어지게 되는 셈이다. 그렇다고 나무를 자르지 않는다면 D는 (적어도 나뭇잎이 무성한 여름 한 계절 동안에는) 바다를 전혀 볼 수가 없게 된다. 이 상충되는 이해관계 속에 법원은 D의 손을 들어주게 된다.

● 법원은 나무로 인해 Y가 얻는 혜택이 더 크고 중요한지 아니면 나무로 인해 받는 D의 피해가 더 큰지 살펴본 후, D가 받는 피해가 더 크다고 판단하고, 아홉 그루의 나무 중 다섯 그루의 가지를 치도록 판결을 내렸다.

● 나무로 인한 양측의 득실을 살펴보며, 법원은 B의 집에서 보이는 Y의 집은 일부분이고, 나무로 인해 얻는 이득 또한 Y의 집의 일부분이지만, D의 집은 설계상 거실과 방을 포함한 집의 대부분이 나무의 영향을 받게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Y는 커튼 등의 다른 대체 수단을 사용 할 수 있지만 D에게는 나무를 자르는 것 외에 다른 대체 수단이 없다는 점을 고려한 듯 하다.

정리하여, 이웃집에 위치한 나무가 내 집에 들어오진 않더라도, 내 집에서의 일조권(日照權)이나 조망권(眺望權)에 피해를 준다면 종합 부동산법에 의거하여 나무를 자르거나 가지치기를 할 수 있도록 법원에 신청을 할 수 있다.

▶ 이 글의 저작권은 이동온 변호사에게 있습니다. 필자의 명시적 서면 동의 없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및 인용을 금지합니다. 이 글은 일반적 법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특정적인 법적 조언이 아니므로 각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리 해석 적용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필자와 상담없이 임의로 내린 법률적 결정에 대해서 필자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런데요, 나무를 자르거나 가지치기를 할 때에 나무를 소유한 집주인이 비용을 포함해서 다 해야 하나요? 아님, 요청하는 사람이 하는건가요?
궁금
저도 궁금한게 있는데 만약에 덩굴같은 나무가 두집 중간의 펜스에 있다면.. 시간이 오래되어 어느쪽에서 이 덩굴이 시작된지 모를때.. 어느날 한쪽집에서 자기쪽편에 보이는 넝쿨들을 다 잘라버리어도 돼나요? 그집이 자기편에서 바라볼때 팬스를 깔끔하게 하기위해서 자기편에 보이는 넝쿨들만 딱 반으로 잘라버리면 남은 다른집쪽으로 보이는 넝쿨들은 언젠간 말라 죽게 되버려서 다른집에서 볼땐 더럽고 애초에 별로 자르고 싶은 마음도 없었을 지도 모르는데.. 팬스를 중점으로 자신쪽으로 있는것이기 때문에 동의없이 잘라도 상관이 없는건가요? 실제 이런일이 얼마전에 있어서 짜증이 났습니다.. 법적으로 어떤것이 맞는건지 궁금하네요.

견공(犬公)의 생존권의 가치

댓글 0 | 조회 1,602 | 2012.10.24
인간의 가장 좋은 친구는 개라는 말이 있다. 아직 증명되지 않은 학설에 의하면 삼만삼천년 경 전에도 개는 이미 가축화 되어 있었다고 하니, 개는 아마도 인간의 가… 더보기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댓글 0 | 조회 2,718 | 2012.10.10
같은 말이라도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라는 속담이 있다.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고, 상대방이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뜻이다. 법 … 더보기

그래 이거야!

댓글 0 | 조회 1,709 | 2012.09.26
간혹 예고없이 기발한 아이디어나 아이템이 떠오를 때가 있다. 소위 말하는 대박이란 걸 칠 것 같은 아이템이 떠오르면 다른 사람이 비슷한 아이템을 내놓을까 싶어 재… 더보기

음주운전 - 알코올 인터락

댓글 0 | 조회 4,761 | 2012.09.11
한 잔 정도는 괜찮겠지…? 차를 놔두고 그냥 택시를 타고가…? 운전면허를 소유한 애주가라면 한번쯤은 해본 고민이 아닐까 싶다. 음주운전은… 더보기

사색(Ⅲ) - 아저씨의 재발견

댓글 0 | 조회 1,598 | 2012.08.28
얼마 전 고객 한 분과 식사를 하는데, 고객께서는 자녀를 대동하고 나오셨다. 이런 저런 대화를 하며 식사를 하는 도중, 자녀분이 고객께 “아저씨는 왜 … 더보기

법정 모독

댓글 1 | 조회 1,901 | 2012.08.15
법정 모독(contempt of court)은 법원의 권위를 침해하는 행위, 그리고 그로 인해 법원이 내리는 명령을 뜻한다. 영미법에서는 법원이 그 권위를 유지하… 더보기

착한 사마리아인 법 - 방관자 신드롬

댓글 0 | 조회 5,511 | 2012.07.25
피를 흘린 채 길가에 쓰러져 있는 사람을 방관하고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 몇 주 전 미국 버지니아주 한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의 CCTV에 찍힌 영상이다. 피를 흘… 더보기

금지된 결혼

댓글 0 | 조회 2,260 | 2012.07.11
‘내가 맘에 들어 하는 여자들은 꼭 내 친구 여자친구이거나 우리 형 애인, 형 친구 애인 아니면 꼭 동성동본’ 요즘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 더보기

버려진 땅

댓글 0 | 조회 2,765 | 2012.06.27
2007년경부터 시작된 경제 위기의 여파에서 서서히 벗어나고 있는 지금, 은행 융자를 갚지 못하여 강매되는 부동산의 숫자는 여전히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더보기

사색(Ⅱ)-우리나라

댓글 0 | 조회 1,759 | 2012.06.13
필자에게 한국이라는 단어는 자주 쓰는 단어 중에 하나다. 이 칼럼에서도 뉴질랜드와 대한민국을 비교할 때면 서슴지 않고 대한민국을 한국이라고 말하곤 한다. 한국에서… 더보기

일하는 시간

댓글 0 | 조회 2,726 | 2012.05.23
일월부터 십이월까지 뉴질랜드에는 11일의 공휴일이 있다. 대부분의 공휴일은 주말과 겹치지 않게, 어느 달 몇 번째 주 월요일 또는 금요일 이런 식으로 지정되어 있… 더보기

Land Information Memorandum(LIM)

댓글 0 | 조회 2,210 | 2012.05.08
얼마전 모 방송사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에는 특별한 사전 조사 없이 집을 구입했다가 큰 손실을 입은 사람의 이야기가 방영되었다고 한다. 필자가 직접 시청한 방송이 … 더보기

보증(Ⅱ)

댓글 0 | 조회 2,070 | 2012.04.24
보증인의 책임은 보증(계약)서의 조항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뉴질랜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증은 엄밀히 따지면 guarantee(보증) 이기도 하고 indemn… 더보기

보증(Ⅰ)

댓글 0 | 조회 2,278 | 2012.04.12
보증을 잘못 서서 집이 넘어갔다, 빚더미에 앉았다 또는 망했다더라… 이런 얘기를 종종 듣곤 한다. 물론 한국 얘기다. 한국에서 청장년기를 보내고 이민… 더보기

법무장관 - 검찰총장

댓글 1 | 조회 3,228 | 2012.03.28
이 칼럼을 쓰기 시작한 이후 번번히 느끼는 고충이 하나 있다. 이 단어는 한글로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인데, 일례로, 영어로는 익숙한 단어 depreciation이… 더보기

성가신 소송

댓글 0 | 조회 2,148 | 2012.03.14
뉴질랜드 권리장전이라 불리는 New Zealand Bill of Rights Act 1990의 스물일곱 번째 조항은 정의에 대한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특히 법원… 더보기

뒷담화

댓글 0 | 조회 2,639 | 2012.02.28
‘뒷다마를 깐다.’ 일상생활에서 들으면 아무런 생각 없이 넘어가게 되는 말인 듯 한데, 매거진을 통해 발행되는 칼럼에서 사용하기에는 무언가 … 더보기

법정 최고 이율

댓글 0 | 조회 4,043 | 2012.02.15
한국에는 법정 최고 이율이란 것이 존재 한다. 이자 제한법 상의 최고 이자율은 현재 연 30%로 알고 있고, 대부업법이라 불리는 ‘대부업 등의 등록 및… 더보기

과실(過失)–음식을 먹다가 나온 이물질

댓글 0 | 조회 2,011 | 2012.02.01
어느 늦은 일요일 오후, 운전을 하다가 새로 생긴 피자 체인점을 보고 생뚱맞게 십여 년 전 신문기사가 생각 났다. 모 피자 체인점에서 치즈 피자 등 채식주의자를 … 더보기

Surcharge - 할증

댓글 0 | 조회 2,598 | 2012.01.18
할증이라는 단어는 뉴질랜드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필자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단어다. 아주 가끔 한국을 방문하여 늦은 저녁 택시를 탈 때나 들어보는 단어인데, 이와 반… 더보기

나의 소원

댓글 0 | 조회 2,485 | 2011.12.24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하느님이 내게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라고 대답할 것이다.그 다음 소… 더보기

부르카, 장옷 그리고 피우피우

댓글 0 | 조회 3,273 | 2011.12.13
대부분의 사람들이 결과를 예측할 수 있었던 2011년 국회의원 선거가 끝났다. 그리고 뉴질랜드 제일당의 당수 윈스턴 피터스는 또 한번 화려하게 정계에 복귀했다. … 더보기

소송펀드 - 소송 자금의 원조(援助)

댓글 0 | 조회 4,840 | 2011.11.23
오래된 영미 불문법에는 maintenance와 champerty 라는 개념이 있다. 역사를 뒤돌아 볼 때, 부유한 개인이 자신의 정적(政敵)이나 경쟁자에게 경제적… 더보기

무덤까지 가져가야 할 비밀

댓글 0 | 조회 2,400 | 2011.11.10
변호사가 지켜야 할 근본적인 덕목과 윤리 중 수위를 다투는 항목이 의뢰인에 대한 비밀 엄수이다. 모든 변호사는 의뢰인과 변호사의 관계 안에서 알게 된 의뢰인의 모… 더보기

알몸으로 달리는 사람

댓글 0 | 조회 2,708 | 2011.10.26
월드컵 열기가 절정에 달해 있는 이 시점, 필자의 사무실 밖에서는 아침부터 하루 종일 밴드가 연주를 하고 있다. 제목을 알 순 없지만, 나이를 떠나서 모두 따라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