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판 봉이 김선달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뉴질랜드판 봉이 김선달

0 개 6,943 NZ코리아포스트
다들 대동강물을 팔아먹은 봉이 김선달 이야기는 아실 것이다. 희대의 사기꾼인지 아니면 뛰어난 사업가인지, 사람마다 평가는 다르겠지만, 한푼도 안들이고 대동강물을 팔아버린 기상천외한 사고의 소유자란 점은 동의 하실 것이다. 혹여 김선달이 대동강물을 팔아먹은 이야기를 모르시는 분이 있을까 싶어 필자의 과장을 살포시 얹어서 간략히 요약해본다.

김선달이라는 평양 한량은 어느날 물을 길어다 파는 물장수를 보고 크게 한탕할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된다. 먼저 대동강에서 물을 길어다 파는 물장수들을 모아놓고 걸쭉하게 한 잔 술을 산 다음, 내일부터 대동강에서 물을 퍼갈때마다 동전을 한닢씩 달라고 부탁을 한다. 그 자금으로 동전 몇닢씩을 물장수들에게 나누어 준것은 물론이다. 그 다음날부터 성문 앞 길목에 앉아 물장수들이 지나갈때마다 동전 한닢씩을 받는 행세를 하게된다.

이를 호기심있게 보던 한양 장사꾼이 김선달에게 자초지종을 물으니, 김선달이 대답하기를 대동강 물은 김선달 가문에서 대대로 물려 내려오는 재산인지라 물장수들이 물을 퍼갈때마다 물값으로 한 통당 동전 한닢씩을 주는거라 둘러댄다. 이에 솔깃한 한양 장사꾼은 김선달을 어르고 달래 대동강물을 사게된다. 계약대금으로 통 크게 사천냥을 일시불로 지불한 한양 장사꾼이 다음날 뿌듯한 마음으로 물세를 받으러 성문 앞으로 나갔더니 이게 웬걸, 물장수들이 본체 만체 하고 그냥 지나가는 것이 아닌가. 지나가는 물장수를 불러 세워 놓고 물값을 받으려 하니 미친 사람 취급을 당하고 나서야 자신이 사기를 당한 것을 알게 된다는 가슴 아픈 얘기다.

뉴질랜드에도 최근 김선달 같이 크게 한 건 불로소득을 노리신 분이 있다. 버나드 윔프라고, 지난 446호에 “$10 상당의 주식을 $5에 대량 매입을 시도한다면”이라는 제목의 칼럼에도 소개되었던 분이다. 지난 2월 경에 윔프는 자신이 관련된 여러 사업체를 통하여 시세보다 훨씬 낮은 금액에 대량으로 주식 매입을 시도했다. 주식 시장과 시세에 밝지 않은 노인층과 이민자를 주 대상으로 매입을 시도했다고 하는데, 예를들어 당시 시세가 $2.36이었던 V회사의 주식을 $1.56에 다량 매입 했다고 한다. 지난 칼럼에서도 설명했지만 당시법상 합법적인 행위였기에 지탄의 대상이 되어도 처벌을 할 수가 없었다.

윔프가 3월에는 또 한 번 주식을 통해 이윤창출을 노렸는데, 이번 계획은 2월에 시도한 작전 보다 교묘하다. 어찌보면, 어떻게 이런 생각을 했을까 무릎을 칠 정도로 대담하면서도 기발하다. 계획인즉, 특정 회사의 주식을 찍어놓고, 주주들에게 주식 매매 계약서를 보낸다. 한 예로, 당시 주식 시장에서 $7.17선에 거래되던 주식을 $9.40에 사겠다고 계약서를 보내니 주주들은 올커니 좋다 하고 계약서에 서명을 하는데, 계약서 뒷 페이지에 깨알같이 적힌 조항들을 보면, 주식증서의 양도는 즉시 이루어지지만 매매대금의 지불은 일시불이 아니고 십년에 걸쳐 분할지급 한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주식의 양도는 즉시 이루어지기에, 주식의 매매대금의 지급이 이루어지는 십년 동안 회사에서 주주에게 지불되는 배당금은 다 윔프 (엄밀히 말하면 윔프와 관련된 사업체)에게 지불되는 셈이다. 지불되는 배당금의 액수는 회사의 사정에 따라 매년 다르지만, 경우에 따라선 윔프는 회사로부터 받은 배당금 만으로도 주식의 매매대금을 지불하는 것도 가능한 시나리오다. 즉 자기 돈을 한푼도 안들이고 (또는 최소한의 자금으로) 주식을 사는 셈이다.

윔프의 제안을 받아들인 사람에게 더욱더 아찔한 사실은, 주식을 매입한 사업체가 매매대금을 다 지불하기 전에 전매하고, 전매대금을 다른사람에게 지불한 후 (예를 들어, 윔프에게), 사업체를 청산 해 버린다면 윔프에게 최초 주식을 매도한 사람은 매매대금도 다 못 받고 주식만 잃어버리게 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다행이도, 올해 신설된 Financial Markets Authority(번역하면 금융시장 감독원 정도가 될듯 하다)가 그 첫번째 사건으로 윔프의 계획을 고발하였고, 법원은 며칠 전 윔프가 3월에 시도한 주식 매입 계획은 상대방을 현혹시키는 행위였으므로 주식 매매를 무효화 하고 이미 양도된 주식은 반환하도록 판결을 내렸다.

이 판결로, 윔프의 두번째 시도는 무산 되었지만, 2월달에 시세보다 낮게 매입한 주식거래는 아직 유효한 상황이다. 주식시장의 특성상, 자신의 자금을 한푼도 들이지 않고 시세차익을 노리는 것이 가능한데, 윔프의 시도는 (비록 두번째 시도는 무산되었지만) 법의 테두리 안에서 경제 논리보다 말장난으로 시세차익을 노렸다는 점에서 기발한 아이디어였다 생각된다. 사기꾼이라 불러야 할지, 기지가 뛰어난 사업가라 해야할지, 어찌되었든 뉴질랜드판 김선달이라 부르고 싶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견공(犬公)의 생존권의 가치

댓글 0 | 조회 1,602 | 2012.10.24
인간의 가장 좋은 친구는 개라는 말이 있다. 아직 증명되지 않은 학설에 의하면 삼만삼천년 경 전에도 개는 이미 가축화 되어 있었다고 하니, 개는 아마도 인간의 가… 더보기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댓글 0 | 조회 2,718 | 2012.10.10
같은 말이라도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라는 속담이 있다.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고, 상대방이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뜻이다. 법 … 더보기

그래 이거야!

댓글 0 | 조회 1,709 | 2012.09.26
간혹 예고없이 기발한 아이디어나 아이템이 떠오를 때가 있다. 소위 말하는 대박이란 걸 칠 것 같은 아이템이 떠오르면 다른 사람이 비슷한 아이템을 내놓을까 싶어 재… 더보기

음주운전 - 알코올 인터락

댓글 0 | 조회 4,761 | 2012.09.11
한 잔 정도는 괜찮겠지…? 차를 놔두고 그냥 택시를 타고가…? 운전면허를 소유한 애주가라면 한번쯤은 해본 고민이 아닐까 싶다. 음주운전은… 더보기

사색(Ⅲ) - 아저씨의 재발견

댓글 0 | 조회 1,598 | 2012.08.28
얼마 전 고객 한 분과 식사를 하는데, 고객께서는 자녀를 대동하고 나오셨다. 이런 저런 대화를 하며 식사를 하는 도중, 자녀분이 고객께 “아저씨는 왜 … 더보기

법정 모독

댓글 1 | 조회 1,901 | 2012.08.15
법정 모독(contempt of court)은 법원의 권위를 침해하는 행위, 그리고 그로 인해 법원이 내리는 명령을 뜻한다. 영미법에서는 법원이 그 권위를 유지하… 더보기

착한 사마리아인 법 - 방관자 신드롬

댓글 0 | 조회 5,511 | 2012.07.25
피를 흘린 채 길가에 쓰러져 있는 사람을 방관하고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 몇 주 전 미국 버지니아주 한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의 CCTV에 찍힌 영상이다. 피를 흘… 더보기

금지된 결혼

댓글 0 | 조회 2,261 | 2012.07.11
‘내가 맘에 들어 하는 여자들은 꼭 내 친구 여자친구이거나 우리 형 애인, 형 친구 애인 아니면 꼭 동성동본’ 요즘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 더보기

버려진 땅

댓글 0 | 조회 2,765 | 2012.06.27
2007년경부터 시작된 경제 위기의 여파에서 서서히 벗어나고 있는 지금, 은행 융자를 갚지 못하여 강매되는 부동산의 숫자는 여전히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더보기

사색(Ⅱ)-우리나라

댓글 0 | 조회 1,759 | 2012.06.13
필자에게 한국이라는 단어는 자주 쓰는 단어 중에 하나다. 이 칼럼에서도 뉴질랜드와 대한민국을 비교할 때면 서슴지 않고 대한민국을 한국이라고 말하곤 한다. 한국에서… 더보기

일하는 시간

댓글 0 | 조회 2,727 | 2012.05.23
일월부터 십이월까지 뉴질랜드에는 11일의 공휴일이 있다. 대부분의 공휴일은 주말과 겹치지 않게, 어느 달 몇 번째 주 월요일 또는 금요일 이런 식으로 지정되어 있… 더보기

Land Information Memorandum(LIM)

댓글 0 | 조회 2,210 | 2012.05.08
얼마전 모 방송사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에는 특별한 사전 조사 없이 집을 구입했다가 큰 손실을 입은 사람의 이야기가 방영되었다고 한다. 필자가 직접 시청한 방송이 … 더보기

보증(Ⅱ)

댓글 0 | 조회 2,071 | 2012.04.24
보증인의 책임은 보증(계약)서의 조항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뉴질랜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증은 엄밀히 따지면 guarantee(보증) 이기도 하고 indemn… 더보기

보증(Ⅰ)

댓글 0 | 조회 2,278 | 2012.04.12
보증을 잘못 서서 집이 넘어갔다, 빚더미에 앉았다 또는 망했다더라… 이런 얘기를 종종 듣곤 한다. 물론 한국 얘기다. 한국에서 청장년기를 보내고 이민… 더보기

법무장관 - 검찰총장

댓글 1 | 조회 3,228 | 2012.03.28
이 칼럼을 쓰기 시작한 이후 번번히 느끼는 고충이 하나 있다. 이 단어는 한글로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인데, 일례로, 영어로는 익숙한 단어 depreciation이… 더보기

성가신 소송

댓글 0 | 조회 2,148 | 2012.03.14
뉴질랜드 권리장전이라 불리는 New Zealand Bill of Rights Act 1990의 스물일곱 번째 조항은 정의에 대한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특히 법원… 더보기

뒷담화

댓글 0 | 조회 2,639 | 2012.02.28
‘뒷다마를 깐다.’ 일상생활에서 들으면 아무런 생각 없이 넘어가게 되는 말인 듯 한데, 매거진을 통해 발행되는 칼럼에서 사용하기에는 무언가 … 더보기

법정 최고 이율

댓글 0 | 조회 4,043 | 2012.02.15
한국에는 법정 최고 이율이란 것이 존재 한다. 이자 제한법 상의 최고 이자율은 현재 연 30%로 알고 있고, 대부업법이라 불리는 ‘대부업 등의 등록 및… 더보기

과실(過失)–음식을 먹다가 나온 이물질

댓글 0 | 조회 2,011 | 2012.02.01
어느 늦은 일요일 오후, 운전을 하다가 새로 생긴 피자 체인점을 보고 생뚱맞게 십여 년 전 신문기사가 생각 났다. 모 피자 체인점에서 치즈 피자 등 채식주의자를 … 더보기

Surcharge - 할증

댓글 0 | 조회 2,599 | 2012.01.18
할증이라는 단어는 뉴질랜드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필자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단어다. 아주 가끔 한국을 방문하여 늦은 저녁 택시를 탈 때나 들어보는 단어인데, 이와 반… 더보기

나의 소원

댓글 0 | 조회 2,485 | 2011.12.24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하느님이 내게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라고 대답할 것이다.그 다음 소… 더보기

부르카, 장옷 그리고 피우피우

댓글 0 | 조회 3,273 | 2011.12.13
대부분의 사람들이 결과를 예측할 수 있었던 2011년 국회의원 선거가 끝났다. 그리고 뉴질랜드 제일당의 당수 윈스턴 피터스는 또 한번 화려하게 정계에 복귀했다. … 더보기

소송펀드 - 소송 자금의 원조(援助)

댓글 0 | 조회 4,841 | 2011.11.23
오래된 영미 불문법에는 maintenance와 champerty 라는 개념이 있다. 역사를 뒤돌아 볼 때, 부유한 개인이 자신의 정적(政敵)이나 경쟁자에게 경제적… 더보기

무덤까지 가져가야 할 비밀

댓글 0 | 조회 2,401 | 2011.11.10
변호사가 지켜야 할 근본적인 덕목과 윤리 중 수위를 다투는 항목이 의뢰인에 대한 비밀 엄수이다. 모든 변호사는 의뢰인과 변호사의 관계 안에서 알게 된 의뢰인의 모… 더보기

알몸으로 달리는 사람

댓글 0 | 조회 2,708 | 2011.10.26
월드컵 열기가 절정에 달해 있는 이 시점, 필자의 사무실 밖에서는 아침부터 하루 종일 밴드가 연주를 하고 있다. 제목을 알 순 없지만, 나이를 떠나서 모두 따라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