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 변호사 맞어?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당신 변호사 맞어?

0 개 3,698 NZ코리아포스트
얼마전 ‘나는 변호사다’라는 거창하고도 민망한 제목으로 칼럼이 나간 이후, 여러 독자로부터 피드백을 받았다. 여태까지 혼자서만 막연히 짐작하고 있었지만, 이 칼럼을 주의깊게 읽어주시는 독자제현들은 역시나 변호사이거나, 변호사를 꿈꾸는 분, 그들의 가족 또는 현재 변호사에게 의뢰를 맏긴 일이 있으신 분들이 다수인듯 하다.

‘변호사’. 이 나라에서 변호사(lawyer)라 함은 solicitor와 barrister를 통털어 일컫는 단어이다. 변호사로 임용을 받으면, solicitor와 barrister의 두가지 역할을 다 맡을 수 있는데, 각기 활동하는 분야가 사뭇 다르다. 간혹 한국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신 교민들께서 이나라 변호사는 변호사 같질 않어, 법정에 안나가는 변호사가 무슨 변호사야… 또는 변호사보고, 저 변호사 변호사 맞어? 하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이는 solicitor와 barrister의 역할 그리고 업무의 분담을 모르시기에 하시는 말씀이다.

간단하게 요약해서 barrister(이하 ‘배리스터’)는 법정에 나가서 의뢰인의 소송을 대신해서 진행하는 변호사를 뜻하고, solicitor(이하 ‘솔리시터’)는 소송 보다는, 의뢰인의 전반적인 법률조언을 맡는 변호사라 생각하시면 될 듯 하다. 법을 소송 그리고 법정과 연관 지어서 생각하시는 분들에게는 배리스터가 전통적인 변호사의 그림에 더 맞을 듯 하다.

헌데, 현재 뉴질랜드에서 활동하고 있는 ‘변호사’ 중 단 1,594명만이 배리스터의 역할에만 치중하고 있고, 나머지 9,991명의 변호사는 솔리시터의 업무를 보고 있다. (여기서 배리스터라 함은 정확히 표현하면 barrister sole이지만, 이 칼럼에서는 배리스터와 barrister sole의 분류를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면 솔리시터로 일하는 86.2%의 변호사는 변호사의 탈을 쓴 변호사인 척 하는 사람들일까?

어느나라든 비슷하겠지만, 뉴질랜드의 법률체계는 소송을 진행하는 사람에게 큰 경제적인 부담을 준다. 소송 비용은 기본으로 만불 이상의 단위로 소요되게 되고, 소송에서 승소한다 해도, 적지않은 비용이 부담으로 남게된다. 그 뿐인가, 항소에 항소를 거쳐, 한 소송이 최종 결말이 나기까지 삼년에서 오년 또는 그 이상 걸리는 소송들이 허다하다.

그렇다면 의뢰인들에게 법률적으로 최선의 선택은 무엇일까? 애초에 소송까지 갈 일을 없애면 되는것이 아닌가? 그 역할이 솔리시터의 역할이다. 예를 들어 의뢰인이 동업으로 비지니스를 시작한다고 가정하자. 두 동업자가 당사자들간에 이렇게 저렇게 잘 해봅시다 하고 사업을 시작할 때는 모든것이 화목하게 잘 될것으로 생각하지만, 사업이란게 그렇게 생각처럼 되지는 않는듯 하다. 시간이 흐르면서 분쟁의 소지가 있는 일들이 생기고 이것들이 하나 둘 쌓이다 보면 나중에는 사소한 일 가지고도 걷잡을 수 없도록 큰 분쟁으로 번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솔리시터의 역할은 동업으로 사업을 시작하려 하는 두 당사자에게 joint venture agreement, partnership agreement 또는 shareholders agreement 등의 동업 계약서를 권하고 작성하는 것에서 부터 시작한다. 두 동업자가 의견이 상충될 때를 대비하여 계약서를 작성해 놓는다면 애초에 분쟁의 소지가 없어질 것이 아닌가. 만약 이러한 계약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쟁이 생긴다면, 계약서 그리고 법률에 입각하여 법정에 서지 않고도 원만한 해결을 이끌어 내는것이 솔리시터의 역할이다.

그러고도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그 때부터 배리스터의 업무가 시작된다. 배리스터는 ‘의뢰인’과 상담을 하고 방행을 제시하기 보다는 소송을 전제로 업무를 보게된다. 즉 솔리시터는 소송이라는 전쟁으로 가기전까지의 외교전이고, 배리스터는 소송이 시작된 후 법원이라는 전장에서 이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듯 하다.

한국에서는 일반인이 변호사에게 의뢰를 할 상황이 그다지 많지 않은듯 하다. 그에 비하면 뉴질랜드는 변호사가 보다 접하기 쉬운 직업군이고, 법률서비스가 대중화 되어있다 생각한다. 필자의 억지스러운 논리로는 변호사의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인구당 소송의 비율이 적을수록 선진국이라 생각되는데 독자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가? 솔리시터와 배리스터, 이 둘의 차이를 이해하신다면, 변호사보고 ‘당신 변호사 맞어?’ 하고 생기는 의문의 대부분이 사라질 것이라 생각한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비밀 엄수 - Confidentiality Agreement

댓글 0 | 조회 2,097 | 2013.02.27
기발한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가 있다. 사람들이 소위 말하는 ‘대박’ 아이템을 발견하고서 자금이 없어서, 아니면 혼자서는 초기 아이디어를 더 … 더보기

분양 계약(Ⅱ)

댓글 0 | 조회 1,658 | 2013.02.13
분양되는 유닛이나 건물을 구매할 때는 계약서를 작성할 당시에 settlement date라 불리는 잔금 날짜가 아직 확정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Settlem… 더보기

분양 계약

댓글 0 | 조회 1,945 | 2013.01.31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혹자는 환율 때문이라고도 하고, 어떤 사람은 해외 이민자가 늘어나는 징조라고도 하며, 해외 체류 중이던 뉴질랜드 사람… 더보기

품질보증

댓글 0 | 조회 1,349 | 2013.01.16
얼마 전 해외에서 쇼핑을 하다가 전기 면도기를 하나 구입해 볼까 하고 고민을 한 적이 있다. 여기저기 각 매장을 둘러 보다가 맘에 드는 제품을 발견한 후, 꼼꼼히… 더보기

2012년 마지막 사색 - 철새 방지법

댓글 0 | 조회 1,073 | 2012.12.24
선거철이다. 뉴질랜드가 아니고, 대한민국 선거철이다. 어느 선거이든지, 한 표를 행사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이 사람 또는 이 방안을 선택 했을 때… 더보기

‘갑’ 이 ‘을’ 보다 항상 유리하다고...?

댓글 0 | 조회 1,578 | 2012.12.11
이번호에서는 계약법과 관련하여 다소 전문적인 원칙에 관해 설명해볼까 한다. 불문법을 기반으로한 영미법에는 contra proferentem 이라는 원칙이 있다. … 더보기

홍길동, Gil-Dong Hong, Geoff Hong

댓글 0 | 조회 1,559 | 2012.11.27
다문화 국가를 표방하는 뉴질랜드에는 많은 국가에서 이주해온 이민자들이 생활하고 있다. 뉴질랜드의 공식 언어는 세가지, 영어, 마오리어, 그리고 수화 (sign l… 더보기

공동 소유 계약서 ( Co-ownership Agreement )

댓글 0 | 조회 4,037 | 2012.11.13
집이란 인간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세가지 중 한가지이고, 그 중 가장 물질적 가치가 높은 것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소유하게 되는 재산 중 가… 더보기

견공(犬公)의 생존권의 가치

댓글 0 | 조회 1,609 | 2012.10.24
인간의 가장 좋은 친구는 개라는 말이 있다. 아직 증명되지 않은 학설에 의하면 삼만삼천년 경 전에도 개는 이미 가축화 되어 있었다고 하니, 개는 아마도 인간의 가… 더보기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댓글 0 | 조회 2,723 | 2012.10.10
같은 말이라도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라는 속담이 있다.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고, 상대방이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뜻이다. 법 … 더보기

그래 이거야!

댓글 0 | 조회 1,715 | 2012.09.26
간혹 예고없이 기발한 아이디어나 아이템이 떠오를 때가 있다. 소위 말하는 대박이란 걸 칠 것 같은 아이템이 떠오르면 다른 사람이 비슷한 아이템을 내놓을까 싶어 재… 더보기

음주운전 - 알코올 인터락

댓글 0 | 조회 4,765 | 2012.09.11
한 잔 정도는 괜찮겠지…? 차를 놔두고 그냥 택시를 타고가…? 운전면허를 소유한 애주가라면 한번쯤은 해본 고민이 아닐까 싶다. 음주운전은… 더보기

사색(Ⅲ) - 아저씨의 재발견

댓글 0 | 조회 1,604 | 2012.08.28
얼마 전 고객 한 분과 식사를 하는데, 고객께서는 자녀를 대동하고 나오셨다. 이런 저런 대화를 하며 식사를 하는 도중, 자녀분이 고객께 “아저씨는 왜 … 더보기

법정 모독

댓글 1 | 조회 1,911 | 2012.08.15
법정 모독(contempt of court)은 법원의 권위를 침해하는 행위, 그리고 그로 인해 법원이 내리는 명령을 뜻한다. 영미법에서는 법원이 그 권위를 유지하… 더보기

착한 사마리아인 법 - 방관자 신드롬

댓글 0 | 조회 5,518 | 2012.07.25
피를 흘린 채 길가에 쓰러져 있는 사람을 방관하고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 몇 주 전 미국 버지니아주 한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의 CCTV에 찍힌 영상이다. 피를 흘… 더보기

금지된 결혼

댓글 0 | 조회 2,269 | 2012.07.11
‘내가 맘에 들어 하는 여자들은 꼭 내 친구 여자친구이거나 우리 형 애인, 형 친구 애인 아니면 꼭 동성동본’ 요즘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 더보기

버려진 땅

댓글 0 | 조회 2,774 | 2012.06.27
2007년경부터 시작된 경제 위기의 여파에서 서서히 벗어나고 있는 지금, 은행 융자를 갚지 못하여 강매되는 부동산의 숫자는 여전히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더보기

사색(Ⅱ)-우리나라

댓글 0 | 조회 1,765 | 2012.06.13
필자에게 한국이라는 단어는 자주 쓰는 단어 중에 하나다. 이 칼럼에서도 뉴질랜드와 대한민국을 비교할 때면 서슴지 않고 대한민국을 한국이라고 말하곤 한다. 한국에서… 더보기

일하는 시간

댓글 0 | 조회 2,732 | 2012.05.23
일월부터 십이월까지 뉴질랜드에는 11일의 공휴일이 있다. 대부분의 공휴일은 주말과 겹치지 않게, 어느 달 몇 번째 주 월요일 또는 금요일 이런 식으로 지정되어 있… 더보기

Land Information Memorandum(LIM)

댓글 0 | 조회 2,214 | 2012.05.08
얼마전 모 방송사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에는 특별한 사전 조사 없이 집을 구입했다가 큰 손실을 입은 사람의 이야기가 방영되었다고 한다. 필자가 직접 시청한 방송이 … 더보기

보증(Ⅱ)

댓글 0 | 조회 2,077 | 2012.04.24
보증인의 책임은 보증(계약)서의 조항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뉴질랜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증은 엄밀히 따지면 guarantee(보증) 이기도 하고 indemn… 더보기

보증(Ⅰ)

댓글 0 | 조회 2,284 | 2012.04.12
보증을 잘못 서서 집이 넘어갔다, 빚더미에 앉았다 또는 망했다더라… 이런 얘기를 종종 듣곤 한다. 물론 한국 얘기다. 한국에서 청장년기를 보내고 이민… 더보기

법무장관 - 검찰총장

댓글 1 | 조회 3,232 | 2012.03.28
이 칼럼을 쓰기 시작한 이후 번번히 느끼는 고충이 하나 있다. 이 단어는 한글로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인데, 일례로, 영어로는 익숙한 단어 depreciation이… 더보기

성가신 소송

댓글 0 | 조회 2,152 | 2012.03.14
뉴질랜드 권리장전이라 불리는 New Zealand Bill of Rights Act 1990의 스물일곱 번째 조항은 정의에 대한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특히 법원… 더보기

뒷담화

댓글 0 | 조회 2,644 | 2012.02.28
‘뒷다마를 깐다.’ 일상생활에서 들으면 아무런 생각 없이 넘어가게 되는 말인 듯 한데, 매거진을 통해 발행되는 칼럼에서 사용하기에는 무언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