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tlong, 샴페인, 하이타이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Footlong, 샴페인, 하이타이

0 개 3,010 NZ코리아포스트
간단히 끼니를 때울때에는 햄버거 등의 패스트푸드를 많이들 애용한다. 맥도널드, 버거킹 같은 햄버거 체인점 외에 서브웨이라 불리는 샌드위치 전문점이 있다. 뉴질랜드에는 햄버거 전문점들은 많이 있지만 전국적인 체인점 규모의 샌드위치 전문점은 서브웨이가 유일하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데, 서브웨이에서 판매되는 샌드위치에는 두가지 사이즈가 존재한다. 6 inch (‘씩스인치’)라 불리는 15.24 센티미터 정도 크기와, 그 두배인 foot long (‘풋롱’)으로 불리는 30.48센티미터 크기의 두 종류가 있다.

보통 패스트푸드 음식점에서 판매 되는 식품의 크기는 small/medium/large, 즉 소/중/대의 크기로 분류하는 것이 대세인데, 서브웨이에서는 특이하게도 씩스인치와 풋롱의 두 종류로 분류한다. 센티미터와 미터를 쓰는 뉴질랜드와 달리 아직도 인치와 풋의 단위를 쓰는 미국의 특성이 들어난 표기법인데, 오랫동안 풋롱이라는 크기의 샌드위치를 판매하다 보니, 풋롱 샌드위치하면 서브웨이가 먼저 생각나게 된다.

미국 아이오와주를 기반으로 한 케이시즈라는 슈퍼마켓 체인점에서 최근 1 foot 사이즈, 즉 30.48 센티미터 크기의 샌드위치를 출시했다고 한다. 케이시즈는 이 샌드위치를 홍보하면서 ‘풋롱’이라는 단어를 메뉴와 간판 등에 사용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에 서브웨이측은 자신의 ‘풋롱’ 메뉴를 모방한 것이라며 반발하게 되고 케이시즈에게 공문을 보내 ‘풋롱’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 한다. 케이시즈는 서브웨이측의 요구에 불응하여 결국 ‘풋롱’이라는 표현을 둘러싸고 두 회사는 법원의 판결을 요구하게 될 듯하다.

‘풋롱’이라는 단어는 말 그대로 1 foot 길이라는 뜻이다. 샌드위치가 30.48 센티미터의 1 foot 크기라면 풋롱이라는 표현은 아무나 써도 되지 않을까… 하지만 서브웨이측에서 볼 때에는 오랜 시간동안 자신들만이 풋롱이라는 표현을 샌드위치와 연계하여 사용해왔고, 지금에 이르러서는 풋롱은 서브웨이만의 브랜드 가치가 생겼다고 생각할 만도 하다.

그럼 법원은 누구의 손을 들어주게 될까…? 법률적 측면에서 볼 때는 intellectual property, trademark, passing off 등의 여러가지 측면에서 분석해 볼 수 있겠으나, 지루하고 어려운 분석은 변호사에게 맞기고, 일상 생활에서 접할수 있는 다른 비슷한 예를 찾아보려 한다.

와인 중에 샴페인이라는 종류의 와인이 있다. 많은 독자들에게는 축제나, 즐거운날을 기념하기 위해 마시는 술 등의 고급이미지로 각인되는 술일텐데. 샴페인의 특징은 이산화 탄소가 와인에 용해되어 기포를 발산해내는 발포성 포도주라는데 있다. 많은 사람들이 와인을 병에서 따를 때 기포가 올라오는 다소 달짝지근한 와인을 통털어 샴페인이라 부르고 있지만, 현재는 프랑스의 샴페인 (현지 발음으로는 샹파뉴) 지방에서 제조 된 발포성 와인만을 ‘샴페인’이라 부를수 있다. 이를 어긴 다른 지방에서 생산된 발포성 와인은 샴페인이라 잘못 지칭 하는 것이 발견될 시엔 압수, 폐기는 물론 민사상의 손해배상까지도 가능하다.

이는 샴페인 지방의 와인 제작자들과, 프랑스 정부의 꾸준한 노력의 산물인데, 국가적인 지원을 받고 샴페인 제작자들이 국제적인 홍보와, 법률 소송을 통해 자신들만의 브랜드 가치를 정립하고 지킨 대표적인 예이다. 그 외의 지방에서 제조된 발포성 와인은 스파클링 와인, 또는 생산국가에 따라 스페인은 카바, 이탈리아는 아스티등의 다른 명칭이 붙게 되는데, 같은 방식으로 제작된 비슷한 맛의 발포성 와인이라 하여도‘샴페인’이라 부를수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그 와인의 가격과 소비량이 극명한 차이를 보인다하니 브랜드 가치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는 한 예인듯 하다.

또 다른 예를들어, 세탁용 세제를 일컫을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이타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필자의 짧은 지식으로는 하이타이는 국내 (한국) L모 회사가 출시한 세탁용 세제의 브랜드인데,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이 세탁용 세제를 지칭할때 하이타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된 듯 하다. 처음 방문하는 집에 갈때 ‘하이타이 하나 사가지고 가지’라고 말하지 ‘세탁용 세제 사가지고 갈까’하고 말하지는 않지 않은가.

이번호 칼럼의 주제랑은 전혀 상관 없는 얘기지만, 현지인들이 쇼핑을 하며 washing powder 대신 ‘하이타이’를 찾는 쌩뚱맞은 상상을 해 보며 이번호 칼럼을 마친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견공(犬公)의 생존권의 가치

댓글 0 | 조회 1,602 | 2012.10.24
인간의 가장 좋은 친구는 개라는 말이 있다. 아직 증명되지 않은 학설에 의하면 삼만삼천년 경 전에도 개는 이미 가축화 되어 있었다고 하니, 개는 아마도 인간의 가… 더보기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댓글 0 | 조회 2,718 | 2012.10.10
같은 말이라도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라는 속담이 있다.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고, 상대방이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뜻이다. 법 … 더보기

그래 이거야!

댓글 0 | 조회 1,709 | 2012.09.26
간혹 예고없이 기발한 아이디어나 아이템이 떠오를 때가 있다. 소위 말하는 대박이란 걸 칠 것 같은 아이템이 떠오르면 다른 사람이 비슷한 아이템을 내놓을까 싶어 재… 더보기

음주운전 - 알코올 인터락

댓글 0 | 조회 4,761 | 2012.09.11
한 잔 정도는 괜찮겠지…? 차를 놔두고 그냥 택시를 타고가…? 운전면허를 소유한 애주가라면 한번쯤은 해본 고민이 아닐까 싶다. 음주운전은… 더보기

사색(Ⅲ) - 아저씨의 재발견

댓글 0 | 조회 1,598 | 2012.08.28
얼마 전 고객 한 분과 식사를 하는데, 고객께서는 자녀를 대동하고 나오셨다. 이런 저런 대화를 하며 식사를 하는 도중, 자녀분이 고객께 “아저씨는 왜 … 더보기

법정 모독

댓글 1 | 조회 1,901 | 2012.08.15
법정 모독(contempt of court)은 법원의 권위를 침해하는 행위, 그리고 그로 인해 법원이 내리는 명령을 뜻한다. 영미법에서는 법원이 그 권위를 유지하… 더보기

착한 사마리아인 법 - 방관자 신드롬

댓글 0 | 조회 5,511 | 2012.07.25
피를 흘린 채 길가에 쓰러져 있는 사람을 방관하고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 몇 주 전 미국 버지니아주 한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의 CCTV에 찍힌 영상이다. 피를 흘… 더보기

금지된 결혼

댓글 0 | 조회 2,260 | 2012.07.11
‘내가 맘에 들어 하는 여자들은 꼭 내 친구 여자친구이거나 우리 형 애인, 형 친구 애인 아니면 꼭 동성동본’ 요즘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 더보기

버려진 땅

댓글 0 | 조회 2,765 | 2012.06.27
2007년경부터 시작된 경제 위기의 여파에서 서서히 벗어나고 있는 지금, 은행 융자를 갚지 못하여 강매되는 부동산의 숫자는 여전히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더보기

사색(Ⅱ)-우리나라

댓글 0 | 조회 1,759 | 2012.06.13
필자에게 한국이라는 단어는 자주 쓰는 단어 중에 하나다. 이 칼럼에서도 뉴질랜드와 대한민국을 비교할 때면 서슴지 않고 대한민국을 한국이라고 말하곤 한다. 한국에서… 더보기

일하는 시간

댓글 0 | 조회 2,726 | 2012.05.23
일월부터 십이월까지 뉴질랜드에는 11일의 공휴일이 있다. 대부분의 공휴일은 주말과 겹치지 않게, 어느 달 몇 번째 주 월요일 또는 금요일 이런 식으로 지정되어 있… 더보기

Land Information Memorandum(LIM)

댓글 0 | 조회 2,210 | 2012.05.08
얼마전 모 방송사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에는 특별한 사전 조사 없이 집을 구입했다가 큰 손실을 입은 사람의 이야기가 방영되었다고 한다. 필자가 직접 시청한 방송이 … 더보기

보증(Ⅱ)

댓글 0 | 조회 2,070 | 2012.04.24
보증인의 책임은 보증(계약)서의 조항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뉴질랜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증은 엄밀히 따지면 guarantee(보증) 이기도 하고 indemn… 더보기

보증(Ⅰ)

댓글 0 | 조회 2,278 | 2012.04.12
보증을 잘못 서서 집이 넘어갔다, 빚더미에 앉았다 또는 망했다더라… 이런 얘기를 종종 듣곤 한다. 물론 한국 얘기다. 한국에서 청장년기를 보내고 이민… 더보기

법무장관 - 검찰총장

댓글 1 | 조회 3,228 | 2012.03.28
이 칼럼을 쓰기 시작한 이후 번번히 느끼는 고충이 하나 있다. 이 단어는 한글로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인데, 일례로, 영어로는 익숙한 단어 depreciation이… 더보기

성가신 소송

댓글 0 | 조회 2,148 | 2012.03.14
뉴질랜드 권리장전이라 불리는 New Zealand Bill of Rights Act 1990의 스물일곱 번째 조항은 정의에 대한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특히 법원… 더보기

뒷담화

댓글 0 | 조회 2,639 | 2012.02.28
‘뒷다마를 깐다.’ 일상생활에서 들으면 아무런 생각 없이 넘어가게 되는 말인 듯 한데, 매거진을 통해 발행되는 칼럼에서 사용하기에는 무언가 … 더보기

법정 최고 이율

댓글 0 | 조회 4,043 | 2012.02.15
한국에는 법정 최고 이율이란 것이 존재 한다. 이자 제한법 상의 최고 이자율은 현재 연 30%로 알고 있고, 대부업법이라 불리는 ‘대부업 등의 등록 및… 더보기

과실(過失)–음식을 먹다가 나온 이물질

댓글 0 | 조회 2,010 | 2012.02.01
어느 늦은 일요일 오후, 운전을 하다가 새로 생긴 피자 체인점을 보고 생뚱맞게 십여 년 전 신문기사가 생각 났다. 모 피자 체인점에서 치즈 피자 등 채식주의자를 … 더보기

Surcharge - 할증

댓글 0 | 조회 2,598 | 2012.01.18
할증이라는 단어는 뉴질랜드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필자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단어다. 아주 가끔 한국을 방문하여 늦은 저녁 택시를 탈 때나 들어보는 단어인데, 이와 반… 더보기

나의 소원

댓글 0 | 조회 2,485 | 2011.12.24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하느님이 내게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라고 대답할 것이다.그 다음 소… 더보기

부르카, 장옷 그리고 피우피우

댓글 0 | 조회 3,273 | 2011.12.13
대부분의 사람들이 결과를 예측할 수 있었던 2011년 국회의원 선거가 끝났다. 그리고 뉴질랜드 제일당의 당수 윈스턴 피터스는 또 한번 화려하게 정계에 복귀했다. … 더보기

소송펀드 - 소송 자금의 원조(援助)

댓글 0 | 조회 4,840 | 2011.11.23
오래된 영미 불문법에는 maintenance와 champerty 라는 개념이 있다. 역사를 뒤돌아 볼 때, 부유한 개인이 자신의 정적(政敵)이나 경쟁자에게 경제적… 더보기

무덤까지 가져가야 할 비밀

댓글 0 | 조회 2,400 | 2011.11.10
변호사가 지켜야 할 근본적인 덕목과 윤리 중 수위를 다투는 항목이 의뢰인에 대한 비밀 엄수이다. 모든 변호사는 의뢰인과 변호사의 관계 안에서 알게 된 의뢰인의 모… 더보기

알몸으로 달리는 사람

댓글 0 | 조회 2,707 | 2011.10.26
월드컵 열기가 절정에 달해 있는 이 시점, 필자의 사무실 밖에서는 아침부터 하루 종일 밴드가 연주를 하고 있다. 제목을 알 순 없지만, 나이를 떠나서 모두 따라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