넬슨→골든 베이(Ⅱ)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넬슨→골든 베이(Ⅱ)

0 개 1,862 코리아포스트
1. 중국 음식 주문하기

저렴한 가격의 중국 음식을 주문하러 들어갔다가 한쪽 벽면에 빽빽하게 적혀 있는 100가지가 넘는 메뉴를 보면 정말이지 난감하기 그지없다. 뉴질랜드에서 성업 중인 중국 음식은 주로 홍콩과 중국 남반구의 음식이다. 거의 모든 음식이 센 불로 볶은 스터프라이(Stir Fry)와 튀긴 음식(Deep Fry)이다.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좋아하는 음식이나 입맛은 다르겠지만 내가 추천하는 중국 음식은 다음과 같다.

볶음밥(Fried rice)

한국의 볶음밥에 가장 가깝다. 여러 가지 재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주로 해산물이나 닭고기, 쇠고기 등의 육류와 이를 다 섞은 콤비네이션이 있다.

차오메인(Stir fired noodle)

볶음국수라고 생각하면 된다. 역시 볶음밥과 같이 여러 가지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스위트 앤드 사워 포크(Sweet & sour pork)

한국의 탕수육과 흡사한 음식이다. 한국의 것보다 더 달콤하고 새콤한 맛이 강하며 돼지고기로 만든다.

원톤 튀김(Deep fried Wonton)

튀김만두와 흡사하지만 만두소가 적고 만두피가 훨씬 큰 형태의 만두를 튀긴 것이다.

수프(Soup)

주로 옥수수 닭고기 수프와 게살 수프가 입맛에 맞다.

이 외에도 오리고기를 구워 토막으로 잘라 내오는 요리와 쇠고기를 블랙빈 소스(Black bean source 자장 비슷한 소스로 단맛이 적다)와 볶은 요리도 밥과 곁들여 먹기 좋다.

2. 서양 음식 주문하기

뉴질랜드의 음식은 프랑스의 음식이나 이탈리아의 음식처럼 특이한 재료 또는 색다른 방식의 조리법이 있는 것은 아니다. 비교적 단순하고 평범한 약간은 심심한 듯한 영국식 식문화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신선한 재료 덕분에 평범하지만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다. 가장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스테이크부터 신선한 해산물을 이용한 음식까지 종류는 다양하다.

스테이크(Steak)

레스토랑에서 주로 사용하는 스테이크 부위는 쇠고기의 최고급 부위인 아이필렛, 스카치 필렛을 주로 사용하며 양고기의 경우 갈비뼈와 함께 붙어 나오는 커틀렛(Cutlet)을 많이 사용한다. 이 외에도 많은 종류의 스테이크가 있지만 쇠고기의 경우 한국 사람에게 약간 질기게 느껴질 수 있고, 양고기의 경우 특유의 냄새가 약간 부담스러울 수 있다. 굳이 양고기를 맛보고 싶은 사람은 성장한 양(Mutton, Sheep)보다는 어린 양고기인 램(Lamb)이 훨씬 더 맛있다.

레스토랑마다 스테이크에 곁들이는 소스가 다르지만 대부분 고기 본래의 맛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부드러운 소스를 곁들이기 때문에 크게 난감한 경우는 없다. 그리고 한 접시에 약간의 샐러드 또는 감자가 곁들어 나오는데, 이것 역시 각 레스토랑마다 조금씩 다르다.

오늘의 생선(Fish of the day)

뉴질랜드의 거의 모든 레스토랑 메뉴에 있는 오늘의 생선은 그 날 들어오는 신선도 최고의 생선살을 그릴이나 팬에 구워 준다. 비린내가 전혀 없는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다. 주로 새콤한 레몬이 곁들여진 타르타르 소스와 함께 나오며 뉴질랜드의 바다 맛을 느낄 수 있다. 도미, 대구와 비슷한 코드, 킹피시, 존도리, 트라벨리 등 신선한 생선들이 최상의 상태일 때 제공된다.

기타 해산물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초록잎 홍합, 바다가재, 가리비 등 많은 해산물이 자연산으로 제공된다. 특히 초록잎 홍합은 맛과 향이 여느 홍합과는 달라 그 진한 맛을 오래 기억하게 되며 관절에도 특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가리비 역시 아무 조리 없이 버터를 약간 두르고 베이컨으로 둘둘 말아 팬에 빠르게 익혀 먹으면 그 맛이 일품이다. 익숙하지 않겠지만 조개 종류도 바다가 만들어 낸 순수한 맛을 보려면, 한 번쯤 마오리 식으로 날것으로 먹어 보라. 한 번 맛보면 모든 요리가 그저 한 수 아래로 보인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69] 8체질 목욕 건강법-(Ⅰ)

댓글 0 | 조회 2,155 | 2007.11.28
-목양체질은 여름에도 온수욕을 해야 … 더보기

[368] 결혼상대와 8체질(體質)-(Ⅱ)

댓글 0 | 조회 2,596 | 2007.11.13
-체질적 배합 자체가 이상의 실현- … 더보기

[367] 결혼상대와 8체질(體質)

댓글 0 | 조회 2,428 | 2007.10.24
-좋은 만남이란 맞는 체질의 만남이다… 더보기

[366] 내게 맞는 직업선택과 8체질(Ⅱ)

댓글 0 | 조회 3,421 | 2007.10.09
지난 시간 목양체질(木陽體質)과 토양… 더보기

[365] 내게 맞는 직업선택과 8체질(Ⅰ)

댓글 0 | 조회 2,330 | 2007.09.26
직업이란 한 사람의 일생에 맞겨진 사… 더보기

[364] 인내심이 강한 수양체질(水陽體質)-(Ⅱ)

댓글 0 | 조회 3,620 | 2007.09.12
신장 > 폐 > 간 >… 더보기

[363] 인내심이 강한 수양체질(水陽體質)의 특징

댓글 0 | 조회 2,728 | 2007.08.28
- 신장 > 폐 > 간 &… 더보기

[362] 금음체질(金陰體質)의 특징(Ⅱ)

댓글 0 | 조회 3,835 | 2007.08.14
금음체질은 대장이 가장 길고 강하며,… 더보기

[361] 금음체질(金陰體質)의 특징

댓글 0 | 조회 3,743 | 2007.07.24
-고기 먹으면 피곤해져요- 대장 &g… 더보기

[360] 수음체질(水陰體質)의 특징(Ⅱ)

댓글 0 | 조회 3,251 | 2007.07.10
-과식은 만병의 근원- 방광>담… 더보기

[359] 수음체질(水陰體質)의 특징

댓글 0 | 조회 3,544 | 2007.06.27
-과식은 만병의 근원- 방광>담… 더보기

[358] 금양체질(金陽體質)의 식생활(Ⅱ)

댓글 0 | 조회 12,138 | 2007.06.13
‘육식보다는 해산물이 뿌리야채보다는 … 더보기

[357] 금양체질(金陽體質)의 질병과 섭생법

댓글 0 | 조회 2,577 | 2007.05.23
- ‘내성적이고 비사교적이지만 독창력… 더보기

[356] 중국음식점 증후군

댓글 0 | 조회 1,941 | 2007.05.09
-MSG, 조미료 부작용을 조심하자-… 더보기

[355] 대장이 약한 목음체질(木陰體質)

댓글 0 | 조회 2,729 | 2007.04.24
-알코올 중독을 조심하자- 부교감신경… 더보기

[354] 폐가 약한 목체질, 육식이 보약

댓글 0 | 조회 3,934 | 2007.04.13
8체질론(體質論)에서 말하는 목양체질… 더보기

[353] 토양체질(土陽體質)의 특징(2)

댓글 0 | 조회 3,265 | 2007.03.27
- 닭고기와 인삼이 불임과 탈모의 원… 더보기

토양체질의 특징

댓글 0 | 조회 2,782 | 2007.03.15
국내 젊은층 사람들의 대다수는 자녀를… 더보기

전립선 비대증(II)

댓글 0 | 조회 2,373 | 2007.03.15
전립선이 커지는 원인은 나이가 들어감… 더보기

전립선 비대증(I)

댓글 0 | 조회 2,022 | 2007.03.15
폐경기(Menopause)의 호르몬 … 더보기

추천하고 싶은 아름다운 곳들(Ⅱ)

댓글 0 | 조회 1,201 | 2011.07.27
더니든-캐틀린스 지역19세기 후반, … 더보기

추천하고 싶은 아름다운 곳들(Ⅰ)

댓글 0 | 조회 1,557 | 2011.07.13
남태평양 해안 하이웨이(2번-35번-…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댓글 0 | 조회 1,053 | 2011.06.29
대장정을 끝마치다거의 한 달 동안을 … 더보기

마운트 쿡 → 크라이스트처치

댓글 0 | 조회 1,420 | 2011.06.14
산장이 너무 춥다며 모두들 캠퍼밴으로… 더보기

마운트 쿡(Ⅲ)

댓글 1 | 조회 1,284 | 2011.05.26
우박이 강풍과 함께 불어오자 겨울 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