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ky Building이 보험 처리되나?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Leaky Building이 보험 처리되나?

0 개 2,357 정윤성

당장 물이 없다면 우리는 생명에 위협을 받게 된다. 그러나 필요이상으로 많거나 필요하지 않는 곳의 물은 불보다 훨씬 큰 강도로 우리의 인명과 재산을 파괴하기도 한다. 현재 뉴질랜드의 건축물들은 물과의 전쟁을 하고 있다. 그것이 목재로 지어졌든, 콘크리트로 지어졌든 상관없이. 특히 구공법으로 지어졌던 플라스터 집들은 이미 뉴질랜드 전체의 사회문제가 되어 있다. 물이 없어야 하는 곳에 물이 있으면 건축물에 적게는 곰팡이를 발생시키고, 얼룩을 만들며 건물의 벽과 건물을 받치고 있는 프레임에 손상을 주게 되는데, 그러면 해당 건축물이 보험가입 되어 있다면 물에 관련하여 무엇이 보상될 수 있는가? 필자의 고객을 비롯한 교민들이 가장 많은 상담을 한 주제가 바로 물에 관련한 보험 보상 문제였다.

그러면 여러가지 실례를 들어 보자,
1. 천정에 번지는 얼룩
2. 카펫의 곰팡이
3. 비가 오면서 Gutter가 떨어지고 물이 집으로 쏟아져 집이 훼손된 경우
4. 세탁기의 물이 넘쳐 가구와 마루의 나무가 비틀어 진 경우
5. 원인을 알 수 없이 garage에 물이 스며 나오는 경우
6. 폭풍우 때문에 지붕의 기와가 부서지고 빗물이 들이친 경우
7. 위층과 아래층 사이 하수 파이프가 터져 생긴 건축물의 손상
8. 창문 틀 사이로 들어 온 빗물로 인한 손상
9. 샤워부스 밑의 파이프 누수로 인한 점진적인 손상

위의 경우 외에도 많은 사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발생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우선 보험 보상의 가장 기본적인 요건은 ‘unforeseen and sudden accidental loss’(이하 USAL) 라는 조건이 성립되어야 한다. 위 항목 중 1,2,5,8,9 번은 뉴질랜드 보험 보상의 일반적 규정(Insurance Council에서 추천하고 있는 표준 약관)을 토대로 보면 Gradual Damage나 건축의 하자보수로 분류되어 클레임시 어려움이 예상된다. 왜냐하면 번지는 얼룩과 곰팡이는 unforeseen의 조건은 성립되지만 ‘sudden accidental loss’가 아닌 경우가 많고, 5,8번은 그 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보험가입자는 건축 전문가의 Report를 보험사로부터 요구 받을 것이며 고려는 하겠지만 ‘USAL’을 충족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충분히 예상된다. 그리고 당연히 건물의 유지보수와 공사하자로 인한 손상도 ‘UNFORESEEN’이 아니며 보험 보상영역에서 벗어난다.

그러나 3,4,6,7 항목들은 ‘USAL’이 충족되며 보상범위에 해당된다. 그러나 7항의 층과층 또는 벽과 벽사이 내장되어 있는 파이프의 파손으로 인한 손상은 건물의 유지보수이지만 관리가 불가능한 곳이기 때문에 이 피해는 ‘USAL’이 충족되어 보험 보상범위에 들어 간다. 그러나 파이프 자체의 수리비는 보험 보상범위가 아니어서 가입자가 부담하여야 하며, 9항의 경우, 보험사마다 ‘HIDDEN GRADUAL DAMAGE’라는 항목으로 제한된 보상을 해 주기도 한다. 발견되지 않는 것은 어쩔 수 없으나 LEAKING이 발생했을 때, 조치를 취하여 더 이상의 피해를 막도록 하여야 하며 그 즉시 보험 ADVISOR와 상담하여 보험사에 보고되어 있어야 몇 개월이 지나도 ‘USAL’의 조건을 보장될 수도 있다. 지체하면 보상범위에서 벗어나는 ‘GRADUAL DAMAGE’로 전환시켜 버리는 우를 범할 수도 있다.

독자들에게 강력히 추천드리고 싶은 것은 건물에 손상이 생겼다면 보험 ADVISOR와 상담하여 거절될 확률이 있더라도 클레임을 신청하고 서면으로 그 내용을 받아 두어야 한다. 또한 클레임 신청서를 작성할 때, ‘필요한 내용만’을 적어야 하며, ‘USAL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가끔 구두로 종결하는 분들을 보았는데 클레임 신청이 아예 접수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가끔 있다. 필자의 경험으로 볼 때 대부분의 클레임결과를 예측 가능하지만 실제의 경우, 결과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케이스마다 요건이 달라 지기 때문이다. 한 달 전 쯤 비슷한 말을 적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보상을 받고 싶은가?' 그러면 ‘클레임하라!’ 기왕이면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부동산 가격이 두배로 오른다 (Ⅰ)

댓글 0 | 조회 2,799 | 2012.11.13
‘부동산 가격이 두배로 오른다.’ 뉴질랜드에서 부동산 투자자겸 투자 컨설턴트이며 경제 및 부동산 관련 베스트셀러인 ‘올리 뉴랜드(… 더보기

어느 저녁 초대에 있었던 일

댓글 0 | 조회 1,345 | 2012.10.24
사람들마다 각기 자신의 스타일대로 사람을 만나고 생활해 나간다. 필자의 가치관으로 보았던 나와 키위들과의 다른것 중에, 물론 이것은 개인별로 크고 작은 차이가 있… 더보기

Auction 갈때 왼손과 오른손

댓글 0 | 조회 1,575 | 2012.10.09
Auction은 요즈음 부동산 매매 방법의 대세다. 몇년전만 하더라도 고가의 부동산에서 사용되던 매매 방법인 Auction은 이제 대부분 주택매매시 사용되고 있다… 더보기

보험가입 거부하는 보험회사

댓글 0 | 조회 1,135 | 2012.09.25
벌써 네번째 보험회사가 뉴질랜드 보험시장에서 퇴장 당하고 있다. 가입되어 있는 모든 보험을 다른 곳으로 정리, 이전하라는 안내문과 이제 뉴질랜드를 떠나니까 서운하… 더보기

[후편] 추적! 한국에서 보상되는 뉴질랜드 의료보험의 허와 실

댓글 0 | 조회 1,923 | 2012.08.28
먼저 관련 보험사들의 해당 약관을 들여다 보자. 문장의 차이는 있지만 내용은 거의 비슷했다. ▶ Medical Tourism Benefit(MTB) If the … 더보기

추적! 한국에서 보상되는 뉴질랜드 의료보험의 허와 실(Ⅰ)

댓글 0 | 조회 6,253 | 2012.08.14
‘뉴질랜드에서 가입하고 한국에서 치료를 받는다.’ 참으로 유혹적이지 않을 수 없다. 뉴질랜드 의료서비스를 신뢰하지 못하는 한인들은 특히 그럴… 더보기

왜 사고가 많나 보니...

댓글 0 | 조회 1,712 | 2012.07.24
여기 저기서 대형 교통사고들이 줄을 잇는다. 인사사고도 발생되고 있다. 왜일까? 예전보다는 훨씬 시야 확보가 어려운 탓이다. 모든 사고는 고의적인 음주운전 같은 … 더보기

ACC를 믿었더니....

댓글 0 | 조회 2,382 | 2012.07.10
사고보상공사(ACC)만 의지하면 낭패 볼 수도 있다. ‘으드득’. 신문을 읽고 일어날 때 등에서 나는 소리이다. ACC가 이 사고로 잃은 수… 더보기

어느 노부부의 파산

댓글 0 | 조회 3,658 | 2012.06.27
▶ Bucketlist sends couple broke 6월 중순 중앙 일간지에서 본 기사내용이다. 참 기가 막히는 이런 일이 우리 주변에 일어 나고 있다. 물… 더보기

융자브로커인 아빠, 융자고객인 아들

댓글 0 | 조회 1,875 | 2012.06.13
누가 이 시기에 감히 성공을 꿈꾸는가? 성공이란 이제 신화적인 얘기가 되버린지 오래다. 지금은 거의 모두가 두 부류중 하나다. ‘실패하는 이와 실패하지… 더보기

제시 이자율을 받아 들이지 마라

댓글 2 | 조회 2,585 | 2012.05.23
Bernard Hickey가 융자고객들에게 말하길: 제시 이자율을 받아들이지 마라! 곧장 은행 담당자에게 가서 더 낮은 이자율을 요청해라! 이것은 interest… 더보기

뉴질랜드 보험사 자격 기준 강화

댓글 0 | 조회 1,746 | 2012.05.08
지난달 말의 뉴질랜드 일간지에서 나온 기사에 뉴질랜드 보험사 부실 정도를 중앙 정부에서 관리한다는 기사가 있었다. 내용인즉 모든 보험사들은 내년부터 새로운 규정에… 더보기

벼랑 끝까지 가서 보니...

댓글 0 | 조회 1,466 | 2012.04.26
벼랑 끝은 주로 북한의 외교 정책을 일컬을 때 자주 사용하는 말이다. 필자가 왜 서두에 극단적인 이런 단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Financial Advisor나 고… 더보기

왜 하필 브로커일까?(Ⅱ)

댓글 0 | 조회 1,528 | 2012.04.12
Long Term Customer(장기고객)의 특혜에 대해 오래된 고객이 대접을 잘 받을까? 미안하지만 대부분 아니다. 이유는 무엇일까? 지난 1편에 이어서 이번… 더보기

왜 하필 브로커일까?(Ⅰ)

댓글 0 | 조회 1,988 | 2012.03.28
70% 이상의 뉴질랜드인들은 융자를 받을 때, 왜 융자 브로커를 이용할까?왜 90% 이상의 뉴질랜드인들은 비지니스, 상가 보험을 가입할 때, 왜 보험 브로커를 이… 더보기

과감하게 과실을 인정해라

댓글 0 | 조회 1,466 | 2012.03.13
과감하게 과실을 인정해라. 반대로 과실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분쟁에서 승리하는가? ‘Don’t accept your liability.&rs… 더보기

돈이 몰려 온다

댓글 0 | 조회 1,565 | 2012.02.29
이번 칼럼은 필자가 현실에서 강하게 느끼는 경제 흐름을 나름대로 정리해 보고 전문가들이 자주 참고하는 interest.co.nz의 기사를 번역해 보았다. 세계의 … 더보기

왜 뉴질랜드 보험료는 오를까?

댓글 0 | 조회 2,153 | 2012.02.15
물가 인상은 우리의 가정과 경제 생활에 적지 않은 부담을 주고 있고 보험료 역시 그러하다. 가정 보험의 종류로는 집 보험, 가재 보험, 개인용 자동차 보험, 의료… 더보기

골프 관련 책임 배상

댓글 0 | 조회 1,859 | 2012.01.31
화창한 여름 날씨, 뜨거운 여름은 으스스한 겨울 추위를 견뎌 내는 뉴질랜더들의 에너지다. ‘Jump Into Summer!’ 잘생긴 젊은 남… 더보기

영원히 사는 방법

댓글 0 | 조회 1,509 | 2012.01.17
60년만에 온다는 흑룡의 해, 임진년 2012년의 새 아침이 밝았다. 모두가 또 한 해를 선물 받았다. 그러나 경제의 청신호 보다는 부정적인 시각이 더 지배적이다… 더보기

휴가철 안전 예방과 사고 조치는 이렇게

댓글 0 | 조회 1,565 | 2011.12.23
크리스마스가 며칠 안 되고 새해가 막 다가오고 있다. 크리스마스, 신년 휴가는 우리의 가족, 친구들과 같이 즐기는 시간인 동시에 함께 다사다난 했던 2011년 한… 더보기

현재 Leaky Building이 보험 처리되나?

댓글 0 | 조회 2,358 | 2011.12.14
당장 물이 없다면 우리는 생명에 위협을 받게 된다. 그러나 필요이상으로 많거나 필요하지 않는 곳의 물은 불보다 훨씬 큰 강도로 우리의 인명과 재산을 파괴하기도 한… 더보기

악법을 바꾼 의지의 방문자들

댓글 0 | 조회 1,937 | 2011.11.22
약 10여 년 전, 한창 장기 사업비자의 물결로 교민의 수가 날이 갈수록 늘던 때가 있었다. 뉴질랜드의 경기는 좋지 않았지만 뉴질랜드 달러의 약세로 유학생과 이민… 더보기

당신의 유산은 자녀에게 독인가? 약인가?

댓글 0 | 조회 2,526 | 2011.11.09
오래 전, 우연히 필자의 담당 변호사와 유언장(Will)을 작성하고 있었다. 필자에게 물어 온 질문 중에, 지금 기억하기로는 “당신이 사망한 시점에 자… 더보기

재외 동포간 이런 분쟁은 막아야 한다

댓글 0 | 조회 1,922 | 2011.10.26
사람이 사는 곳은 어디에나 분쟁이 있다. 어떤 곳은 말로 끝나는 경우도 있지만 전쟁까지 가면 많은 사람들이 죽기도 한다. 특별한 나쁜 목적을 가진 이들이 아니라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