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정신 건강 이야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건강한 정신 건강 이야기

0 개 1,545 새움터
▶ ‘세계 정신 건강 주간’ (10월 7일부터 13일)를 맞이하여 
 
우리는 신체적 건강을 위해서는 매일 운동을 하거나 건강식을 하며, 병원을 찾아 정기 검진도 받지만 정신 건강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무심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민 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정신 건강에 많은 부정적 영향을 끼치지만 학업, 직장, 가정 생활등의 바쁜 하루 일정에 쫓겨 우리의 정신 건강을 돌볼 겨를이 없읍니다. 
 
건전한 정신 건강이란 무엇일까요?

신체적 건강이 정신적 건강과 꼭 일치되지는 않습니다. 건강한 정신 건강을 위해서 다음의 방법으로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너그럽게 포용하고 사랑하며 존중한다면 우리의 정신 건강은 보다 좋아질 것입니다.

· 균형잡힌 식단, 숙면과 적당한 운동으로 신체적 건강  돌보기
· 스스로를 가치있는 사람으로 여기기
· 장점을 살리며, 실천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여 취약점 극복하기
· 자신을 필요 이상으로 비판하지 않기 
· 긍정적인 사고 갖기

정신적으로 건강하다면 당면 과제들을 긍정적이며 자신감 있게 대할수 있을 것입니다. 만일 어떤 일에 실망하거나 또는 절망감을 느낀다면 ‘이런 힘든 감정은 곧 지날갈 것’이라고 스스로에게 말하며 희망을 가진다면 무슨 일이든 극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스스로를 존중하지 않거나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은 보다 더 쉽게 절망하여 정신적으로 피폐되어 가며 다음과 같은 어려움도 겪을 수 있습니다.

· 굶거나 자해로 자신을 해치는 경우
· 스스로를 탓하거나 문제 해결을 회피하며 우울증에 빠지는 경우
· 불필요한 걱정을 하며 불안, 초조해짐
· 고립증세 (일상적인 생활에 관심이 잃거나 외부와의 접촉을 피함)

이런 상황과 느낌은 일종의 본능적인 방어술로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무의식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일들이 지속될 경우 건강한 정신 건강을 유지하기가 힘들어져 사회 혹은 가정 생활에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사람들은 각자 다른 생각, 경험, 또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같은 관점으로 환경의 변화나 문제점을 볼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각자 개인에 맞는 “건강한 정신건강 지키기” 방법을 찾아야 하겠습니다. ‘세계 정신 건강 주간’을 맞이하여 가족과 함께 어떻게 서로를 도와 행복하고 긍정적이며 건강한 정신 건강을 유지 할 수 있는지 이야기를 나눠 봅시다. 또한 주변의 사람들에게도 따뜻한 관심을 보여 우리 함께 건전한 몸과 마음으로 다가오는 희망의 계절을 맞이합시다.

건강한 정신 건강 유지 비결

· 내 삶의 좋았던 일들, 어려운 시기에 나를 지탱할 수 있게 해 주고 도움이 되었던 일이나 생각들을 기억하기
· 주변 사람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거나 새로운 친구 만들기
· 자신을 폭을 넓혀 의미있는 새로운 일을 시도해 보기
 
글 쓴이 : ‘세계 정신 건강 주간’을 맞이하여 한국 교민을 위해 이 글을 써 주신 켈리 (Kelly Fang)은 중국에서 의사로 일했으며, 뉴질랜드로 이민온지 10년되었으며 두 아이의 엄마입니다. 사회 복지사/매니저로  Asian Mental Health Cultural Support & Coordination Service; Waitemata DHB에서 아시안의 건강을 위해 일하고 있습니다.
 
번역: 하 이루 (알렉스), 오클랜드 대학 사회 복지과 석사 과정
www.amhcs.org.nz에서 아시아 정신 건강 지원 서비스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새움터는 정신 건강의  건전한 이해를 위한 홍보와 교육을 하는 단체입니다.
 

외국인 특별전형(1)

댓글 0 | 조회 3,821 | 2010.11.02
예로부터 한국에는 중요한 ‘삼’이 3가지가 있는데, 산에는 산삼이 최고요, 바다에는 해삼이 최고라는 말이 있어왔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정에는 고3이 있다고들 한다… 더보기

아버지와 자녀의 전쟁

댓글 0 | 조회 1,635 | 2013.11.26
J선생님은 부인의 권유로 상담에 오셨습니다. 아들이 대학을 위해 공부를 해야 하는 데 인터넷 게임을 너무 많이 하므로 아버지께서 인터넷 사용을 감시하고 매일 밤 … 더보기

우리 부부는 적군인가 아군인가

댓글 0 | 조회 1,855 | 2013.11.12
한 지붕 아래에서 적군과 대치하는 경험을 해 보지 않은 부부는 없을 것이다. 서로 가까이 있으니 수시로 전쟁을 치룬다. 미워도 그만큼 미운 적군은 세상에 없다. … 더보기

사랑하는 사람과의 동침 OR 적과의 동침

댓글 0 | 조회 1,927 | 2013.10.22
여성들은 종종 자신은 적과 동침한다고 한다. 왜 그렇게 사느냐 물으면 남편이 생활비를 주니까, 아이들이 어리니까, 이혼녀가 되는 것이 두려워서, 키워주신 부모님을… 더보기

가족이란 만병의 원인 또한 만병 통치 약!

댓글 0 | 조회 1,361 | 2013.10.09
부제: 자녀가 말을 듣지 않는다. 이민 정착 과정에서 발생되는 어려움으로 인해 가정이 해체되거나 혹은 심한 갈등과 고통 속에 있다. 한국에서의 모든 것을 뒤로 하… 더보기

근심 걱정 두려움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방법

댓글 0 | 조회 3,277 | 2013.09.25
의사였던 빅터 프랭클이 악명 높은 유대 수용소에 있을 때 건강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의 차이를 조사를 했다. 그가 발견한 것은 심리적 차이였다. 근심 걱정 두… 더보기

감정 조절

댓글 0 | 조회 1,235 | 2013.09.10
감정 조절은 가정이나, 일터, 그리고 가까운 이들과의 좋은 관계 유지를 위해 상당히 중요하다. 감정이 일어나는 대로 표현을 하고 나면 후회가 따르고 관계에 어려움… 더보기

좋은 관계 유지

댓글 0 | 조회 1,433 | 2013.08.28
좋은 관계를 맺는 것이 우리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중요하다. 좋은 관계는 우리의 정신을 건강하게 하지만 관계가 깨어 지면 몸과 마음이 병든다. 또한… 더보기

자기 비하

댓글 0 | 조회 1,798 | 2013.08.13
자기 비하로 고통 하는 분들이 있다. 자기 비하가 심하면 자신을 존중하기 어렵고 자신이 가치 없는 존재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자신감도 떨어지고 항상 불안해 하며 근… 더보기

누구나 내 안에서 들려오는 목소리가 있다

댓글 0 | 조회 1,307 | 2013.07.23
누구나 내 안에서 들려 오는 목소리가 있다. 그 목소리는 우리를 기쁘게도 하고 슬프게도 한다. 때로는 우리를 슬프게 하는 목소리가 우리 자신을 지배할 때가 있다.… 더보기

우리가 염려하는 것들...

댓글 0 | 조회 1,329 | 2013.07.09
뉴질랜드에 아시안 이민을 본격적으로 받아 들인지 20년이 지나고 있다. 많은 어려움을 이겨내면서 정착 해 온 이민 1세대는 서서히 현장에서 물러나고 현지에서 교육… 더보기

대화가 안 돼(?)

댓글 0 | 조회 1,262 | 2013.06.25
일을 하다 보면 가끔 사춘기 자녀를 가진 부모님과 이야기 할 기회가 있다. 그들의 여러 가지 고충들을 듣고 있노라면 이민 사회에서 아이들에게 발생하는 여러 가지 … 더보기

당신이 꿈꾸는 노년은....

댓글 0 | 조회 1,773 | 2013.06.11
인간의 오랜 열망이었던 장수의 꿈이 실현되어가고 있다. 자녀양육과 직장에 얽매인 이전까지의 삶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꿈 꿀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장수… 더보기

Compatibility Mode

댓글 0 | 조회 1,172 | 2013.05.28
‘How to be a friend to a friend who’s sick’(아픈 친구에게 친구되어 주기)의 저자 레티 (Let… 더보기

누군가에게 아주 특별한 사람으로 기억된다면...

댓글 0 | 조회 1,158 | 2013.05.14
토요일 오후 3시, 로버트할아버지댁에 도착할 때면, 그 분은 벌써 현관앞에 나와서 당신을 찾아 올 친구를 기다리신다. Nice to meet you…… 더보기

평생에...

댓글 0 | 조회 1,092 | 2013.04.23
평생에, 나날의 삶이 즐겁기만 하고, 행복하기가 구름위를 나르는 것같은 삶은 아마도 없을 것입니다. 완벽히 건강한 정신을 유지하고 살 수 있는 현대인은 거의 찾아… 더보기

시월드 vs 처월드

댓글 0 | 조회 1,597 | 2013.03.27
인기리에 종영된 한 드라마에서 시월드라는 신조어가 화제가 되었습니다. 시월드란 시아버지, 시어머니, 시누이등 시(媤)집 식구들을 통칭하는 말이라고 합니다. 주인공… 더보기

여보, 축의금을 얼마나 하면 좋을까?

댓글 0 | 조회 1,778 | 2013.03.13
지인으로 부터 청첩장를 받게 되면 축하의 마음과 더불어 한가지 고민이 생깁니다. ‘과연 축의금을 얼마나 하는것이 적절한가’ 입니다. 청첩장을… 더보기

정신 건강 관리 서비스 안내

댓글 0 | 조회 1,254 | 2013.02.27
지난 호에는 이민 생활 동안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정신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특히 제한적인 인간 관계로 인해 마음 편하게 고민을 나눌 곳이 없어, 힘든 일… 더보기

정신 건강 관리의 중요성

댓글 0 | 조회 1,172 | 2013.02.12
▷ 도움은 언제든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2003년 뉴질랜드에 도착한 후 어느덧 이민 10년이 지나가고 있지만, 필자가 개인적으로 느낀 바로는 이민 생활이라… 더보기

불안증상에 대한 대처 방법들

댓글 0 | 조회 1,425 | 2013.01.31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끊임없는 걱정들을 완화 시키는 방법과 불안으로 인해 몸과 마음이 긴장 되었을 때 자가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봅니다. 우선 우리의 걱정들을… 더보기

불안감을 반으로 줄이기

댓글 0 | 조회 1,172 | 2013.01.15
희망찬 2013년도의 새로운 삶을 위해 계획을 어떻게 세우고 있으신지요? 많은 사람들이 새 해가 되면 제일 먼저 어떻게 하면 좀 더 건강하게 올 한 해를 보낼까 … 더보기

치매 (Ⅱ)

댓글 0 | 조회 2,193 | 2012.12.24
치매는 오랜기간 동안의 치료와 간병을 필요로 하기에 본인은 물론 그 가족들을 상당히 힘들게 합니다. 뉴질랜드의 치매 연구 자료에 따르면 치매 환자 부양 가족은 다… 더보기

치매 (Ⅰ)

댓글 0 | 조회 1,542 | 2012.12.12
지난 2월 어느날 오클랜드의 메도우뱅크에 있는 한 치매 전문 병원을 방문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 곳에서 일하는 간병인과 함께 병원 시설을 둘러보고 있는데 복도 저… 더보기

Understanding Ourselves

댓글 0 | 조회 1,126 | 2012.11.28
지금 일 하고 있는 이 곳, Mason Clinic에서 몇 가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중에 하나가 ‘Understanding Ourselve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