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법 영주권, 궁금증 해결하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특별법 영주권, 궁금증 해결하기

shinezz
0 개 3,006 정동희

작년말부터 시작된 “2021 특별법 영주권”을 통해 영주권을 신청한 분들의 행복한 승인 소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 뒤를 이어 지난 3월 1일부터 2차 신청이 시작되어 오는 7월이 되면 접수마감이 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지요. 1차와 2차의 일관성과 차이점, 그리고 최신 소식에 대한 업데이트를 전하는 저는 2009년부터 뉴질랜드 공인이민법무사 라이선스를 소지하고 합법적인 이민 컨설팅을 제공해온 정동희 이민법무사입니다. 


1,2차 지원자의 접수 및 승인 현황 


문 : 1차 지원 신청자격자들이 4월인 지금까지도 신청하지 못하거나 안하고 있는 분들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현재까지 얼마나 많은 분들이 신청하였나요?

답 : 작년 12월 1일에 해당되는 분들(2021년 9월 29일 이전에 기술이민 또는 WTR이민 카테고리를 통하여 영주권 서류가 이민부에 접수된 분들)은 올 2022년 7월 31일 이전까지 신청해도 되기 때문에 원론상으로만 보면 신청을 좀 더 느긋하게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이러한 1차 신청자격을 갖춘 분들의 절대다수는 이미 다 신청을 완료, 승인까지 받았다 해도 과언이 아닐 듯 합니다. 다음은 1차와 2차를 통한 모든 신청자들에 대한 지난 4월 17일까지의 통계입니다. (첫번째 열의 “Week ending”에 기재된 날짜는 그 날까지의 1주에 대한 자료임)


2489fba241801ee5941b1958754892e9_1651034162_4981.png
 

문 : 2차신청이 시작된 첫 주에만 4만건이 넘게 신청했는가 봐요?

답 : 첫 주에만 무려 4만건의 신청서가 첫 주에 접수되었으며 신청서에 포함된 가족들까지 다 합치면 그 주에만 무려 7만2천여명이 됩니다.


문 : 그럼 이 신청자들이 전부 다 2차 신청자격이 되는 분들만일까요?

답 :  그렇게 단정지을 수는 없습니다. 1차 신청 자격자들의 신청은 오는 7월말까지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3월 1일부터는 1차와 2차가 겹쳐지게 되지요. 


문 : 지난 4월 17일까지의 통계에 따르면 총 영주권 승인 케이스가 17,568건이나 된다고 하는데요. 2차 신청자도 포함됩니까?

답 : 그렇게 추정됩니다. 3월 한달 동안에는 1차 신청자들만 심사가 진행되었지만 4월 1일부터는 2차 신청자들에 대한 심사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기 때문이지요. 


문 : 현재까지 기각된 사례는 없나요?

답 : 지난 4월 17일까지 기각은 13건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각사유가 정확히 밝혀진 바는 없으나 이민업계는 다음과 같이 추측하고 있지요.


●  2차 자격자들의 3월 이전 신청에 따른 기각(철회후 재신청하면 문제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상, 기각이라고 보긴 어려움)

●  3년 체류 자격요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

●  2021년 9월 29일 당시의 시급이 $27이었다는 것에 대한 입증 실패

●  신원조회, 건강상의 문제 등으로 인한 기각


문 : 약 4개월 반의 기간 동안 9만건이 넘게 접수되었고 그 중 17,568건이 승인되었네요. 이 정도의 심사속도가 애초에 예상되었던 걸까요?

답 : 1차 지원자들에 대한 심사는 예상보다 아주 빨랐습니다. 이를 통하여 충분히 노하우가 쌓여가고 있기 때문에 이민부는 최초에 예상한 “심사기간, 대략 1년 이내”의 목표를 무난히 달성하지 않을까 하는 낙관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같아요. 


문 : 특별법하의 영주권자가 약 165,000명 정도가 될 것이라고 들었었는데…

답 : 정부와 이민부의 예측이 많이 빗나간 상태입니다. 지난 4월 17일까지의 숫자가 이미 18만 5천명에 육박하고 있거든요. 현재까지의 기각률에 비추어 볼 때 기존의 승인자 예상치를 훨씬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와는 다르게 진행되는 2차 접수와 심사


문 : 1차 시기의 신청자들은 이민부 사이트에 접속하여 영주권 신청서를 완성하고 관련 제출 서류를 업로드하면 한번에 접수가 완료되는 시스템이었는데요. 2차 신청자들도 동일한 방법으로 신청해 왔을까요? 

답 : 2차는 다르게 진행됩니다. 특별법 영주권 신청 페이지에서 “RFW(WTR영주권) 또는 SMC(기술이민)을 통한 귀하의 영주권 신청서가 이미 접수된 상태입니까?” 라는 질문에서 No를 선택해야만 하는 2차는 1차와는 완전히 다른 길로 들어서게 됩니다.


문 : 2차 시기에 자격이 되어 접수한 분들은 무엇이 다를까요?

답 : 영주권 접수시점에는 서류 업로드 자체가 허용되지 않으며 이민부가 파일을 열기 시작하는 시점에서야 비로소 가능해지지요.


문 : 2차 접수자들에 대한 본격적인 심사 시작은 어떻게 알게 되지요?

답 : 신청 당시에 연락처로 기재된 이메일 주소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은 이메일이 도착하면 그것이 심사의 출발점입니다.


2489fba241801ee5941b1958754892e9_1651034248_1892.png
 

문 : 이 이메일을 받으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합니까?

답 : 심사진행에 대한 안내서한이기 때문에 특별히 무슨 활로우업을 할 일은 없습니다. 그러나 이 이메일과 거의 동시에 도착하는 다음의 이메일은 절대 간과할 수 없답니다.


2489fba241801ee5941b1958754892e9_1651034266_3093.png
 

문 : 아… 서류를 제출하라는 이메일이 바로 뒤따르네요. 업로드해야 할 서류가 엄청 많습니까?

답 : 특별법 영주권이 아닌 기존의 영주권 카테고리를 통한 신청시에 제출하던 서류보다는 확연히 적어졌습니다. 일부 분야에서는 1차 신청자들보다도 오히려 더 줄어들었으나 영주권 자격여부에 대한 서류는 충분히 업로드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제출요구 서류를 업로드하니, 바로 다음과 같은 컨폼 및 안내 이메일이 오네요.


2489fba241801ee5941b1958754892e9_1651034673_1811.png
 

(더 많은 담론과 최신이민 정보는 저희 회사의 공식 블로그인 https://blog.naver.com/ajikdo69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 위의 정보는 이민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필자 개인의 견해와 해석을 밝힌 것이므로, 실제적용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자는 이 글의 실제 적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나의 해방일지

댓글 0 | 조회 1,195 | 2022.05.25
비가 온다. 가을을 미처 즐기기도 전에 겨울이 온 거 같다. 재즈 음악을 틀어놓고 고즈넉한 겨울의 운치를 맛보고 있다. 삶에 대한, 계절에 대한 해방감이 온 몸을… 더보기

코로나보다 무서운 골목상권 침해

댓글 0 | 조회 1,611 | 2022.05.25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출은 오래된 주제이며 풀기 어려운 숙제입니다. 다양한 경제주체들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고 지역경제에 미치는 여파가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뉴질랜… 더보기

따라하다 스르르 잠드는 마법의 숙면 스트레칭

댓글 0 | 조회 839 | 2022.05.25
밤마다 잠을 설치고 깊게 잠을 못 이루고 있으신가요?현대인들이 흔히 겪는 불면증...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그 원인을 먼저 알아야 할텐데요. 대부분 과도한 … 더보기

돌빵구지는 지금 어찌 변해 있을까? 궁금하네요

댓글 0 | 조회 1,000 | 2022.05.25
촘촘한 집들 사이로 골목길을 빠져 나가면 갑자기 시원한 바람과 함께 시야가 환해진다.멀찍이 앞을 가로막는 뚝길이 길게 뻗어있다. 그 뚝엔 들풀들이 지천으로 엉켜 … 더보기

Feynman Technique을 사용하여 공부하는 방법(2)

댓글 0 | 조회 1,544 | 2022.05.25
지난호에는 Feynman 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호에서는 왜 이 기법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왜 그렇게 효과적입니까?이 기술이 효과적인 데에는 몇… 더보기

2022년 골프 용품 산업 빙하기

댓글 0 | 조회 1,098 | 2022.05.25
예전에는 1년 생산 일정을 잡으면서 원료와 생산 비용등을 결정하면 연말까지 그대로 유지가 됩니다.코로나 상황에서 원자재 수급난이 발생하면서 글로벌 화학 기업들이 … 더보기

유언장 없이 사망시 어떻게 되나요?

댓글 0 | 조회 1,768 | 2022.05.24
유언장은 무엇인가?유언장은 사망시에 여러분의 의도를 명시한 문서입니다. 유언장에는 본인의 재산이 어떻게 분배되기를 원하는지 그리고 배우자 및 자녀들과 같은 부양가… 더보기

뉴요커 대화에는 왜 감탄과 질문이 많을까? 공감력은 소통의 핵심

댓글 0 | 조회 852 | 2022.05.24
대부분의 불행은 ‘같지 않음’에서 비롯된다. 의사소통,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다르면 불편하다. 갈등하고 대립한다.말하는 사람과 … 더보기

개발도상학생

댓글 0 | 조회 1,521 | 2022.05.24
몇 살이었는지 제대로 기억도 나지 않는 어린 시절의 어느날, 상기된 얼굴로 조회 단상에 오르신 선생님의 입을 통해 생전 처음듣는 한 단어를 접하게 되었습니다.‘에… 더보기

WONDERFUL! 가장 한국다운 시도에 온 세계가 답하다

댓글 0 | 조회 1,013 | 2022.05.24
2002년 6월 4일, 부산 범어사에 외국인 축구광 4명이 찾아왔다. 한일월드컵 축구 경기를 관람하러 한국을 방문한 이들은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싶어 템플스테이에 … 더보기

고용주와 피고용인의 권리와 의무

댓글 0 | 조회 2,738 | 2022.05.24
뉴질랜드는 다양한 법령으로 고용주와 피고용인의 권리와 의무를 정의하고 있기에 뉴질랜드에서 일을 하거나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고용주와 피고용인의 권리와 의무를 잘 … 더보기

꽃보다 할매

댓글 0 | 조회 1,019 | 2022.05.24
천지가 꽃으로 들썩입니다. 호들갑으로 들었던 꽃 멀미라는 말에 고개가 끄덕여지는 날들입니다. 해마다 이맘때면 꽃구경 나온 사람들로 몸살을 앓는 강변에 오늘은 색다… 더보기

하단, 중단, 상단, 뇌를 영양하는 식물

댓글 0 | 조회 857 | 2022.05.24
식물 중에서 호두나 잣, 밤 같이 높이 매달려서 열리는 열매는 상단(上丹)에 영양을 줍니다. 상단에 작용해서 뇌에 좋은 기능을 하는 식품인 것이지요. 가지, 고추… 더보기

뒷걸음질 치는 정부, 중독적 소비 이제 그만 멈춰야

댓글 0 | 조회 2,116 | 2022.05.23
거꾸로 가는 정부의 예산 정책 아래 뉴질랜드 경제는 치료를 시도해볼 기회조차 잃은 채 곪을 대로 곪아가고 있다. 지난 목요일에 발표한 노동당의 생활비 패키지는 각… 더보기

더놀리(Dunollie) 주민들, 멜리사 리 의원에게 감사한 마음 전해

댓글 0 | 조회 2,422 | 2022.05.04
▲왼쪽부터 멜리사 리 의원, 로스 도슨 더놀리 호텔 총책임자, 모린 퓨 의원서해안의 작은 마을인 더놀리에 통신 기지국이 세워질 예정이다. 21세기에 믿어지지 않는… 더보기

양봉(養蜂)농가의 꿀벌 실종

댓글 0 | 조회 1,840 | 2022.05.18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그 많던 꿀벌은 어디로 갔을까? 전국에서 양봉농가의 벌통에서 꿀벌이 자취를 감추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한국양봉협회(韓國養蜂協會)가 최근 … 더보기

공부해도 소용없는 그대에게

댓글 0 | 조회 1,131 | 2022.05.11
인간의 역사와 함께 해 온 문화전승의 수단이며, 동시에 개인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화의 수단이고, 또한 발랄한 젊은이들의 삶에 고통과 아픔을 선사하는 … 더보기

미-중, 남태평양 외나무 다리에서 만나다

댓글 0 | 조회 1,101 | 2022.05.11
아시아 Focus를 시작하며경제 규모가 커지고 지식과 문화의 교류가 활발해짐에도 국내 미디어를 통해 세계의 여러 사정을 파악하는 데에는 부족함이 제법 있다. 눈길… 더보기

날아서 세계속으로...

댓글 0 | 조회 886 | 2022.05.11
날아서 세계속으로, 위탁 수화물을 허용하지 않는 비행기표들.비행기는 기내휴대 8~10kg. 위탁화물 23kg이 당연했는데 저비용 항공사들 나오면서 10kg, 15… 더보기

세계 말라리아의 날, 코로나19만큼 무서운 모기를 찾아 페루 아마존으로 향하다

댓글 0 | 조회 810 | 2022.05.11
4월 25일은 세계 말라리아의 날입니다.세계에서 가장 무서운 동물이 모기라는 건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 텐데요!“말라리아”란?말라리아는 모기를 통해 쉽게 전염되며 … 더보기

복중의 복이 늦복이리라

댓글 0 | 조회 1,164 | 2022.05.11
파미에 살면서 느끼는 것은 갈수록 파미 날씨가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어쩌면 파미 생활에 익숙해져서 모든 것이 다 편안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꼭 … 더보기

북한 다큐멘터리 “人(인)사이트: Into North Korean”

댓글 0 | 조회 1,619 | 2022.05.11
人(인)사이트: Into North Koreans>는 뉴질랜드 한인 젊은이들이 2016년에 세운 비영리 단체 ‘리커넥트’에서 제작하고 있는 북한 주민들과의 … 더보기

동안침의 효능

댓글 0 | 조회 1,297 | 2022.05.11
누구든 20대 초반의 자기 얼굴을 기억할 것이다. 나이가 들어 변한 자신이 얼굴을 보면서 그 때를 떠올리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현상이며, 또 그 때로 되돌아가고 … 더보기

구름

댓글 0 | 조회 692 | 2022.05.10
시인 조 병화내가 네게 가까이 하지 않는 까닭은내겐 네게 줄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내가 이렇게 네게서 멀어져가는 까닭은내가 감내할 수 없는 것을너무나 많이 너는 … 더보기

길에서 우주를 만나다: 다산초당 - 강진 백련사

댓글 0 | 조회 740 | 2022.05.10
길을 돌아 내려가 다산초당에 도착했습니다. 초당에서 찬찬히 백련사까지 걸어 봅니다.도반 혜장 선사가 그리워 발걸음을 재촉했을 다산 정약용 선생의 모습이 떠오릅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