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 악어의 눈물과 앙팡테러블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23] 악어의 눈물과 앙팡테러블

0 개 2,333 코리아타임즈
  일본 프로야구의 벽은 높았고 분명 한국보다는 한 수 위였다. 지난달 도꾜돔에서 벌어진 ‘코나미컵 2005결승전’. 삼성라이온즈와 일본롯데마린즈의 한판 승부에서 롯데가 5-3으로 승리한 것이다. 예상된 일이었지만 왠지 한일간 국력의 차이 같아 뒷맛이 씁쓸했다.

  우리는 역사상 그리고 지정학적으로 일본과 뗄 수 없는 관계를 이루어 왔다. 그 관계는 선린우호였다기보다 대부분 악연 또는 배타적 관계였고 가장 극단적인 것이 36년간의 일제식민통치와 그 전후의 적대관계일 것이다. 그런 쓰라린 과거 때문에 우리 기성세대들은 일본과 일본 사람에 대한 감정이 결코 우호적이지 못하다.

  그런데 요즘 젊은 세대들의 가치관이나 일본을 보는 눈은 기성세대와는 사뭇 다르다. 하도 부모들이 일본을 성토하고 책에서, 드라마에서 일본을 적대시해 왔기 때문에 정서적으로 싫어하는 경향이 있지만 무조건 미워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직시해야 할 것은 “좌우지간 일본은 나쁘다.”는 식으로는 설득력이 없고 또 막무가내로 싫어한다는 것도 바람직한 일은 결코 아닐 것이다. 그렇다고 욘사마와 지우히메와 보아의 한류열풍이 거세게 휘몰아 친다고 해서 대다수의 일본인들이 한국을 좋아한다고 생각하는 것 또한 큰 오산이다. 일부의 유한 마담들이나 정치, 역사등에는 전혀 무관심한 소수 젊은 층의 한시적 감정표출일 뿐이다.

여하튼 학창시절부터 늘 머릿속에 남아있던 의문중의 하나가 일본과의 관계였다. 나는 솔직히 일본과의 과거역사 관계에 대해 상당히 무식하다.  다만 이해가 안 가는 것은 우리는 늘 일본을 미워하고, 때로는 과소평가하고 우리가 한 수 위라는 식으로 비약하곤 했다. 더군다나 “역사를 통해 늘 한국은 일본에게 많은 문화적 유산을 전수했고 심지어 한국인 일부가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국을 세웠다는 설도 있는데 그렇게 약하고 못난 일본에게 왜 똑똑하고 잘난 우리가 점령당하고 그들의 식민지가 되어 36년간이나 치욕적인 통치를 받아야만 했는가”하는점이다. 그리고 최근세사를 통해 일본은 거의 전방위적으로 한국의 모델이었음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정치형태, 경제구조, 드라마 가요 등의 문화부문, 그리고 프로야구까지. 또 지하철과 아파트와 라면과 최근의 웰빙문화등 대부분 일본을 모방하고 일본에서 전수된 것이 아닌가!  여기서 우리는 일본을 얏보기 전에 일본을 좀 더 깊이 알아야 하고 일본을 우습게 보기보다 무섭게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90년대초 오사카에 있는 어느 일본인 집에 민박할 기회가 있었다. 안방을 내 줄 정도로 정성어린 그의 환대도 고마웠지만 놀란 것은 중소기업사장으로서는 너무 초라할 정도로 검소하게 산다는 것이었다.  미뇰타, 야시카, 아사히 펜탁스등 당시에는 일본 카메라가 전세계를 휩쓸 때였는데 기념사진을 찍어주는 그의 카메라를 보니 한 20년은 됨직한 구닥다리였다.  그래서 “아니 일본이 카메라 왕국인데 이건 좀 오래된 것 같군요” 하고 조심스럽게 물었다.  그런데 주인의 대답은 너무 간단했다.  “네, 선친이 쓰던 것인데 지금도 아주 잘 나옵니다.”

  바로 그거였다. “일본은 부자지만 일본사람은 가난하다.”는 말이 그제야 실감되면서 그게 바로 일본의 저력인듯 싶었다. 그후로 언젠가 히로시마의 원폭기념관을 방문했을 때 받은 충격은 대단했다. 대파된 도로와 광장의 페허 사이로 나뒹구는 건물 잔해와 시체더미들, 시꺼먼 먹구름이 피어나는 아수라장, 말 그대로 생지옥을 찍은 대형 사진들이었다.  그런데 이상한 광경이 눈에 들어왔다.  참으로 신기하게도 조용히 원폭의 참상을 설명하는 일본인 안내원의 설명을 들으면서 미국 십대소녀 두 명이 눈물을 흘리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더니 마침내는 자신의 고국인 미국을 원망하면서 원폭투하 사실을 성토하기에 이르렀고 그 일본인 안내원은 그런 감정을 부추기고 있었다.  그러고 보니 그 원폭기념관이라는 것은 자기 자신들이 전쟁의 희생자라는 변명을 위한 ‘훌륭한 교재’였던 것이다.

  끝없는 검소와 친절, 일본열도를 완전히 뒤 바꾸어 놓은 명치유신, 도꾸가와 이에야스의 무서운 인내심을 바탕으로한 일본 정신등은 GM을 누르고 도요타를 세계 제1의 자동차 왕국으로 등극시킬만한 충분한 저력이었던 것이다. 원폭기념관의 안내원이 흘린 눈물이 ‘악어의 눈물’인지 휴머니즘을 바탕에 둔 ‘참회의 눈물’인지 나로서는 판단이 쉽지 않은 일이다. 이제 우리는 일본과 가깝고도 가까운 나라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항상 조용히 내실을 쌓아가는 그리고 그렇게 쌓은 실력으로 또 무슨 일을 꿈꿀지 모르는 그 일본인들이야말로 장꼭토의 ‘앙팡테러블’이 될 수 있음도 늘 기억해야 할 것이다.

[350] 드라마와 현실은 다르다

댓글 0 | 조회 2,992 | 2007.02.13
사람 사는 곳은 어디나 다 마찬가지이다. 선진국이라해서 행복만 가득찬 것도, 못 사는 나라라고 해서 불행하기만 한 것도 아니다. 세계 최강이요, 선진국 중의 선두… 더보기

[349] 조개 줍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9,163 | 2007.01.30
‘조개 줍는 아이들’- 내가 가장 아끼는 책 중의 하나이다. 책은 때때로 친구이자 스승이자 독자의 분신이 되기도 한다. 사람마다 취미가 있고 독서라는 항목은 많은… 더보기

[348] 모란꽃 피는 언덕

댓글 0 | 조회 2,859 | 2007.01.15
모란은 소담스럽고 귀티가 나지만 안타깝게도 향기가 없다. 2007년 새해가 되었다. 교민지들이나 한국 메스컴에서 ‘황금돼지해’라고 떠들썩하다. 으례 연초가 되면 … 더보기

[347] 씁쓸한 교민간담회

댓글 0 | 조회 2,983 | 2006.12.22
노무현 대통령과의 교민간담회는 뒷맛이 씁쓸했다. 특별한 이슈나 현안문제가 없어 큰 기대는 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국가 원수의 국빈 방문이었기에 관심들이 많았다. 그… 더보기

[346] 아니 땐 굴뚝에도 연기 난다

댓글 0 | 조회 3,073 | 2006.12.11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나랴?”는 속담이 있다. 소문 뒤에는 반드시 근거가 있다는 것이다. 속담중에는 현실에 딱 들어 맞는 내용들이 많아 선인들의 기지나 풍부한 … 더보기

[345] 부동산은 말이 없다

댓글 0 | 조회 2,883 | 2006.11.27
부동산은 언제나 말이 없다. 하지만 그 부동산을 둘러싸고 사람들은 관심이 많다. 뉴질랜드 부동산은 그야말로 예측 불허이다. 90년대 초중반과 지금의 지도를 비교해… 더보기

[344] 꽃구름과 한국환상곡

댓글 0 | 조회 2,817 | 2006.11.13
해금 선율은 압권이었다. 11월인데도 여전히 밤낮의 기온 차가 심하고 밤이면 의례껏 전기 장판을 켜 놓아야만 한다.하지만 이제부터 5개월 정도는 따뜻하고, 쾌적한… 더보기

[343] 공포불감증(恐怖不感症)

댓글 0 | 조회 2,866 | 2006.10.24
10월은 우리에게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을 동시에 가져다 주었다. 반기문 외교통상부장관의 ‘유엔 사무총장(Secretary General)’피선과 북한의 ‘핵실험… 더보기

[342] 꿈과 욕심

댓글 0 | 조회 2,969 | 2006.10.09
골프에서 “버디 하려다 보기한다”는 말이 있다.그린에서 퍼팅 할 때 ‘파’는 충분히 할 수 있는 거리인데 ‘버디’ 하려고 욕심 내다 파도 못하고 ‘보기’를 하게 … 더보기

[341] 천국도 지옥도 내 마음 속에

댓글 0 | 조회 2,677 | 2006.09.25
뉴질랜드의 봄은 목련과 함께 피어난다. < LA에 자식들 따라 이민 온 경상도와 전라도 출신 할머니가 있었다. 늘 붙어 다니던 어느 날 경상도 할머니가 화장… 더보기

[340] 바다이야기

댓글 0 | 조회 2,540 | 2006.09.11
‘바다이야기’는 쓰나미이다. 수년전 아메리칸컵 대회에서 2연패한 ‘팀뉴질랜드’가 퀸스트리트를 시가행진 할 때 수십만 인파가 몰려 최고의 축제분위기를 연출했었다. … 더보기

[339] 지도자

댓글 0 | 조회 2,683 | 2006.08.21
국가 지도자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안정과 성장, 국민의 행복을 이끌어 내는 리더쉽이다.세종대왕은 안정과 성장과 행복이라는 3박자를 이끌어 낸 성군이었다. 그는 총… 더보기

[338] 버릴 줄 아는 삶

댓글 0 | 조회 2,369 | 2006.08.07
사람들은 어느 한 가지도 가져가지 못하면서 모든 것을 가져갈 것처럼 욕심부리며 산다. 몇일 전까지 한국에 폭우가 쏟아졌다. ‘물폭탄’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날만큼 줄… 더보기

[337] 정말 가난한 사람

댓글 0 | 조회 2,542 | 2006.07.24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박사를 만난 것은 1990년 7월 루브르 박물관에서였다. 우연히 마주쳤다는 게 바른 표현이겠는데 호킹박사는 그해 한국… 더보기

[336] 오클랜드의 겨울나기

댓글 0 | 조회 2,654 | 2006.07.11
오클랜드의 겨울은 삭막하다. “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라는 김종서 시조가 떠오른다. 인간이 살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춘 도시라는 오클랜드-여름엔 사실 그말이… 더보기

[335] 행복한 날들이었는데

댓글 0 | 조회 2,496 | 2006.06.26
월드컵이 있어 그나마 행복했었는데, 알프스 산맥은 역시 험준했다. 뉴질랜드 전국이 올 겨울 이상기후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지난 6월 12일 강풍으로 오클랜드… 더보기

[334] 싸이먼 효과와 코리언 열풍

댓글 0 | 조회 2,644 | 2006.06.12
2002년 한국에서 월드컵이 열리던 때 우리는 뉴질랜드의 겨울 속에 울고 있었다. 엘림교회의 체육관에 특설된 대형화면을 통해서도 200여명의 교민들이 모여 목이 … 더보기

[333] 더불어 사는 지혜

댓글 0 | 조회 2,670 | 2006.05.22
조조에 쫓기던 초라한 유비가 융중 초당으로 제갈공명을 삼고초려(三顧草廬))했을 때이다. 공명은 이른바 ‘천하삼분(天下三分)책’을 역설하면서 “천하를 경영하기 위해… 더보기

[332] 사나이로 태어나서

댓글 0 | 조회 2,506 | 2006.05.08
내가 입대한 것은 북한 제124군부대 소속 김신조와 그의 친구들 30명이 ‘청와대 폭파와 박정희 암살’이라는 가공할 목표로 고랑포 서남쪽 휴전선을 뚫고 동두천, … 더보기

[331]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댓글 0 | 조회 2,631 | 2006.04.24
프랭클린 루즈벨트의 부인 ‘엘리너 루즈벨트’는 오늘을 사는 코리언뉴질랜더들에게 참으로 필요한 명언을 선물로 남겨 주었다. 엘리너는 “ Yesterday is hi… 더보기

[330] 튀는 한국인, 왕따 코리아

댓글 0 | 조회 2,667 | 2006.04.10
지난 해 TV3에서 밤11시에 방영하던 ‘Sports Tonight’라는 프로를 즐겨 보곤 했다. 지금은 우리 ‘현대’의 협찬으로‘Hyundai Sports To… 더보기

[329] 파리 목욕탕

댓글 0 | 조회 2,563 | 2006.03.27
‘스티브(Steve)'라는 평화봉사단원이 있었다. ‘평화봉사단(The Peace Corps)'은 케네디 대통령에 의해 창설되어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의 저… 더보기

[328] 고구마 굽는 비결

댓글 0 | 조회 3,008 | 2006.03.14
주말에 후아파이에서 골프를 치는 모임은 꽤 흐뭇하고 넉넉한 분위기이다. 인코스가 시작되는 10번 홀은 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곳에 망루형그늘집(?)이 있 고 거기서… 더보기

[327] ‘RS-B형’

댓글 0 | 조회 2,304 | 2006.02.27
혈액형으로 ‘RH-B형’이 있다면 성격형으로는 ‘RS-B형’이 있는 것 같다. 요즈음 한국에는 ‘넷피플’이니, ‘웰빙족’이니, ‘아침형 인간’이니 하는등 그 사람… 더보기

[326] ‘Scarlett O’Hara’와 ‘Port-Wine-Magnolia’

댓글 0 | 조회 2,271 | 2006.02.13
장미가 ‘김태희’라면 ‘스칼렛 오하라’는 차라리 ‘이효리’나 ‘이태란’이다. 뉴질랜드는 가히 꽃과 나무의 천국이다. 풍부한 햇볕과 충분한 비 그리고 적당히 온화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