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걸음질 치는 정부, 중독적 소비 이제 그만 멈춰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뒷걸음질 치는 정부, 중독적 소비 이제 그만 멈춰야

suzyto외 2명
0 개 2,116 멜리사 리

40baa2f90894520adff672d1ce09f8c8_1653274711_2835.jpg
 

거꾸로 가는 정부의 예산 정책 아래 뉴질랜드 경제는 치료를 시도해볼 기회조차 잃은 채 곪을 대로 곪아가고 있다. 지난 목요일에 발표한 노동당의 생활비 패키지는 각 가정의 현실적 어려움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치료의 의지는 전혀 없이 반창고 한 장 붙여 놓는 꼴이다.


노동당 정부는 소비 중독인가? 의미 없는 지출에 흥청망청 60억 달러를 소비한 것도 모자라서 미래 예산까지 언급하며, 2023년 20억 달러에 이어 2024년 4억 달러까지 추가적인 지출 계획에 들떠 있는 모습을 더 이상 그냥 두고 볼 수가 없다. 이 엄청난 지출은 빙산의 일각이다. 여기에 기후 변화 대응 예산과 생활비 패키지에 추가될 예산까지 엄청난 지출을 앞두고 있다. 기후 변화에 손 놓고 있자는 말이 아니다. 힘겨워하는 각 가정에 아무런 지원 없이 그들을 외면하자는 말은 더더욱 아니다. 


노동당의 Cost of living package는 근본적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이 아니라 임시방편적인 문제 가려 놓기식에 불과하다. 근본 문제 해결을 무시하는 접근은 당장 효과가 있는 것처럼 보일지 모르나 결국 더 큰 부작용을 가져올 것이 뻔하다는 것을 정부는 모르고 있는 것인가? 아니면 애써 외면하려 하는 것인가?


혈세 지출에 따른 긍정적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면 이는 반길만한 투자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정부의 지출은 그런 반길만한 투자와는 거리가 멀다. 의료, 교육 및 사회기반 시설에 대한 엄청난 소비 지출 뒤에도 여전히 환자들은 수술 혹은 전문의를 만나기 위해 몇 달의 시간을 기다려야 하고, 뉴질랜드 아이들의 문해 및 수학 능력은 걱정스러운 수준으로 뒤쳐지고 있다. 디지털 시대에 정보화 통신 사각지대 내에 놓인 지역은 여전히 많은 반면, 폭력 범죄 및 갱단의 숫자는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것이 현재 노동당 정부 아래 뉴질랜드의 현실이다. 


노동당 정부는 역대 최고 기록을 깨며 엄청난 국민 혈세를 소비했다. 정부 지출은 노동당 집권 이래 68% 증가하였고, 그 소비가 가져온  긍정적 변화는 언급한 바와 같이 사실상 찾아보기 힘들다.  정부 부채는 기존의 거의 3배인 1730억 달러로 증가했고, 이는 우리가 몇 년 이내 오직 이자로만 49억 달러를 갚아내야 한다는 뜻이다.  경찰 인력에 배정되는 금액의 두배와 맞먹는 액수다.


정부는 여전히 뉴질랜드 역사상 가장 큰 소비를 감행하고 있고, 그와 동시에 열심히 일하는 중산층에 대한  의미 있는 소득세 감면 혜택 등은 외면하고 있다. 그동안 점점 더 많은 시민들은 매주 더 힘겨운 일상 속에 방치되고 있으며, 정부의 이번 예산한 발표는 그들이 경제 활성화에 대해 아무런 생각이 없음을 확연하게 보여주고 있다. 평균 임금 상승률이 3%인데 반해 물가 상승률은 30년 만에 최고치인 6.9%로 생활비 부담이 늘어난 것과 함께 이자율 상승으로 각 가정의 모기지 부담 역시 늘어났고, 그에 따른 렌트비는 주당 평균 150달러 인상, 식료품 가격 상승률은 6.4% , 주유비는 리터당 3달러를 넘어선 지 오래다. 


사실상 생활비 위기는 향후 몇 년 간 지속될 거라는 전망이다.  내년에도 물가 상승률은 5%를 상회할 것이고, 2025년까지 3%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경제 성장에 대한 전망은 대폭 하향 조정되었으며, 실업률은 4.8%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야말로 진퇴양난이다. 


정부는 이번 예산안 발표를 통해 각 가정에 무언가 대단한 도움을 줄 것처럼 거창하게 이야기하고 있지만 따져보자. $350달러를 3개월에 나눠서 주겠단다. 주당 $27 꼴이다. 경상도 사람들이 잘하는 말이 있다. ‘그걸 누구 코에 붙이노!!’ 주당 $27, 여기에 딱 어울리는 말이지 싶다. 그러나 그마저도 모두가 받을 수 있는 게 아니다. 


현재 연금을 받고 있다면 제외! 복지수당을 받고 있다면 제외! 연소득 $70,000 초과면 제외된다. 여전히 중간에 끼어 정부의 그 어떤 지원도 받지 못하고, 엄청난 고소득자가 아니기에 생활비 여유도 없지만, 세금의 부담은 고스란히 안고 있는, 그래서 실질적인 가계수입 부족에 허덕이고 있는 일명 Squeezed Middle은 정부로부터 여전히, 철저하게 외면당할 수밖에 없는 정책인 것이다.


지급 대상자가 되어 이번 패키지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치자. 10월 이후면 신기루 사라지듯 이 모든 혜택도 사라진다. 세 번에 나누어 준다는 $350불 혜택도, 대중교통 반값 할인 혜택도, 기름값 세금 인하도 모두 10월 이후면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다. 


정부는 이런 눈 가리고 아옹하는 식의 의미 없는 지원 정책과 소비 중독적인 지출 계획만을 세울 것이 아니라 열심히 일하는 국민들이 더 많이 벌 수 있고, 더 많이 번 만큼 체감 수익 또한 늘어 날 수 있도록 세금 조정의 기회를 만들었어야 했다. 


2022년 예산 발표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힘겨운 경제 상황과 물가 상승 등으로 어느 때 보다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들을 위해 보다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고 기대도 컸다. 국민의 혈세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할 것인가는 정부가 마땅히 고민해야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이번 정부의 예산 발표를 듣고 난 후 과연 이정부가 그런 고민을 조금이라도 해보았는가 의문이다. 현재 뉴질랜드는 노동당 정부 아래 그 어느 때보다도 빠르게 뒷걸음질 치고 있다. 코로나 여파를 포함한 다양한 국제 정세로 타격을 입은 경기를 회복하기 위해서 박차를 가해도 부족할 판국에  뒷걸음질에 가속도를 붙이고 있는 정부의 단순 소비적인 정책들을 보고 있노라니 답답하기 그지없다. 정부는 우는 아이에게 사탕 하나 입에 물려주고 울음을 달래려 하기보다 그 울음의 원인을 잘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정책과 예산 편성으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앞서 나가는 정부의 행보를 볼 수 있기를 바란다. 


국민 MC, 天國 노래자랑 MC로...

댓글 0 | 조회 2,423 | 2022.06.25
필자 부부는 매주 일요일 연세대학교회(Yonsei University Church)에서 11시 주일예배를 드린 후 연희동 소재 식당에서 오찬을 하면서 TV에서 방… 더보기

3살에서 8살 사이 자녀들을 위한 Parenting 프로그램

댓글 0 | 조회 1,587 | 2022.06.15
문교부에서 한국인 커뮤니티를 위해 Incredible Years parenting 프로그램을 아시안 패밀리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부모들이 자녀… 더보기

영진설비 돈 갖다 주기

댓글 0 | 조회 2,006 | 2022.06.15
시인 박철막힌 하수도 뚫은 노임 4만원을 들고영진설비 다녀오라는 아내의 심부름으로두 번이나 길을 나섰다가자전거를 타고 삼거리를 지나는데 굵은 비가 내려럭키슈퍼 앞… 더보기

학생들이 코딩을 배워야 하는 7가지 이유

댓글 0 | 조회 3,810 | 2022.06.15
모두들 잘 아시겠지만 코딩(Coding)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알고리즘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어 컴퓨터에 입력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즉… 더보기

비지니스 조언: 여러분의 지출을 통제하세요

댓글 0 | 조회 1,391 | 2022.06.15
비지니스를 운영할시 잉여 자금 운용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현금 유입(판매 수익 및 기타 수입)이 현금 유출(간접비, 공급 업체 비… 더보기

다이아윙스 460cc 500cc 올 블랙 헤드

댓글 0 | 조회 997 | 2022.06.15
다이아윙스 460cc와 500cc 올 블랙 헤드. 기존과 동일하며, 색상만 올 블랙으로 변경하였다.460cc와 500cc의 가장 큰 차이점은 부피가 10% 차이가… 더보기

템플스테이와 함께 한 시간 언제나 사랑으로 기억되기를

댓글 0 | 조회 878 | 2022.06.15
길고 가물었던 겨울에 종지부를 고하 듯, 밤새 내린 봄비가 한순간 새로운 계절의 문을 연다.전날까지만 해도 볼 수 없었던 꽃송이가 일제히 피어오른 황악산 직지사의… 더보기

헤어질 결심, 떠나갈 작정

댓글 0 | 조회 1,376 | 2022.06.15
나 비싼 재료로 하라할까 싶어 경계한다. 사진을 보니 신경치료를 했다는 부분이 선명치 못하다. 그래서 문제가 생겼고 그것 때문에 잇몸이 붓고 아프다는 것. 다시 … 더보기

갑자기 생리통이 심해졌어요

댓글 0 | 조회 981 | 2022.06.15
원래 생리 시 통증이 없다가 갑자기 생리통이 나타났다면 자궁내막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또한 초경때부터 생리때마다 골반통이 나타나는 경우도 역시 자궁내막증 일 … 더보기

누구나 작가인 시대의 명암을 생각하며

댓글 0 | 조회 791 | 2022.06.14
작가를 지성의 전위이자 사유의 실험실이며 한 시대의 선구자로 바라보던 시기가 있었다. 물론 어느 시대이건, 어떤 시기이건 이런 작가의 역할은 여전히 필요할 테다.… 더보기

한-뉴 수교 60주년 기념

댓글 0 | 조회 941 | 2022.06.14
우리는 60주년이 내포하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며 살아 왔다. 나이 60이 되면 환갑(還甲)이라 하여 오래 산 것을 기념하는 특별한 축하행사를 벌여왔다. 유교문화권… 더보기

매일 3분 날씬 + 유연해지는 습관!!

댓글 0 | 조회 745 | 2022.06.14
매일 규칙적으로 운동하기 쉽지 않죠?그래서 이번주도 3분이면 끝나는 초간단 운동 영상을 소개 해 드릴건데요.저번주는 경쾌하고 리듬감 있는 음악과 함께한 전신운동이… 더보기

내 사랑 파미

댓글 0 | 조회 1,021 | 2022.06.14
오월을 어찌 보냈는지 기억도 없는데 6월이 한 주를 훌쩍 넘어버려 열흘이라는 시간을 삼켜버렸다.어제부터 무섭게 비바람이 몰아치고, 천둥과 번개까지 동원이 되어 한… 더보기

나의 시계는 한 시간이 빠르다

댓글 0 | 조회 2,072 | 2022.06.14
Day light saving (섬머타임)이 끝난지 이미 오래지만 제 차의 시계는 아직도 한시간이 빠른 그 때의 시간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차만 타면 한 … 더보기

여러분을 “人(인)사이트: Into North Korean” 다큐멘터리 상영회에 …

댓글 0 | 조회 897 | 2022.06.14
“人(인)사이트: Into North Korean” 제작하게 된 계기:리커넥트 단체를 세운 이송민 대표와 김인아 이사는 2018 년도와 2019년 라선과 평양을 … 더보기

정부, 국민당 5대 물가 대책 수용해야

댓글 0 | 조회 1,112 | 2022.06.14
▲ 중간 주택에 대한 주간 모기지 이자 비용뉴질랜드 경제는 최악의 위기 상황이다. 정부는 물가 상승의 원인을 혼란스러운 국제 정세 탓으로 돌리려고 하고 있지만, … 더보기

나도 대세! 대세는 전기차! 장단점 정리!

댓글 0 | 조회 1,535 | 2022.06.14
최근 도로에 보이는 전기차들이 부쩍 늘어난 것 같습니다. 아마 전기차 장점이 점점 단점을 보완해 가면서 앞으로 대세가 될 운송수단이 될 텐데요. 많은 사람들의 관… 더보기

쌀은 인간에게 가장 맞는 식물

댓글 0 | 조회 836 | 2022.06.14
우리가 왜 하필 주식으로 쌀을 먹는지 생각해 본 적 있으신가요? 왜 선인들이 하필 쌀밥을 우리나라의 주식으로 하셨을까요? 밀도 있고 조도 있고…… 많잖아요? 저도… 더보기

뉴질랜드 경찰서 초청으로 다민족 미디어팀, 웰링턴 경찰대학과 경찰본부 방문

댓글 0 | 조회 1,298 | 2022.06.11
지난 6월 8일과 9일, 양일간 뉴질랜드 경찰서 초청으로 다민족 미디어팀 및 협력단체 20여명이 웰링턴에 위치한 경찰대학(Royal NZ Police Colleg… 더보기

전립선암(前立腺癌)

댓글 0 | 조회 1,072 | 2022.06.11
김지하(金芝河) 시인이 1년여의 전립선암 투병 끝에 지난 5월 8일 원주시 자택에서 향년 81세로 별세했다. 유족 측에 따르면 시인은 7일부터 죽조차 먹기 힘들었… 더보기

올겨울 자신과 가족을 보호하세요-독감 접종

댓글 0 | 조회 1,193 | 2022.06.02

뇌동맥류와 뇌출혈

댓글 0 | 조회 1,595 | 2022.05.26
한국 영화계 최초의 ‘월드 스타’였던 강수연(姜受延) 배우가 뇌출혈(腦出血)로 지난 5월 7일 향년 56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강수연씨는 지난 5일 서울 압구정동… 더보기

新이민정책과 최신 이민뉴스

댓글 0 | 조회 3,421 | 2022.05.25
실로, 오랜만에 무비자 입국이 시작되었습니다. 코로나(COVID-19) 이전의 시절처럼, 5월 2일부터는 한국인 국적자가 무비자 신분으로 뉴질랜드에 도착하고 있답… 더보기

새벽의 하산

댓글 0 | 조회 844 | 2022.05.25
시인 이 운룡산이 하늘을 들어올려 몸 부풀리다한쪽 어깨가 삐긋해제 무게를 내려놓고영영 깊은 도량에 푹 빠져 있다다른 꼬임에는 결코 넘어가지 않을 양세차게 흔들어 … 더보기

봄에 심으라 하였더라

댓글 0 | 조회 942 | 2022.05.25
30여 년 전에 유럽여행을 하면서 스위스의 도시, 취리히와 제네바를 둘러보고는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도시 어느 곳에 텃밭이 있었고 두어 평으로 나누어 개인별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