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드라마와 현실은 다르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50] 드라마와 현실은 다르다

0 개 2,986 KoreaTimes
사람 사는 곳은 어디나 다 마찬가지이다.
선진국이라해서 행복만 가득찬 것도, 못 사는 나라라고 해서 불행하기만 한 것도 아니다.
세계 최강이요, 선진국 중의 선두 주자인 미국도 9.11사태와 허리케인 ‘카트리나’앞에서 속수무책이었다. 또한 방글라데시나 아프리카 혹은 남태평양의 많은 섬나라 주민들이 불행을 못느끼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러기에 어디가 천국이고, 어디는 살 곳이 못 된다고 말할 필요는 없다. 또 “누구는 성공해서 마냥 행복해 보이는데 나는 열심히 살아 왔지만 내 세울 것도 없고 행복하지도 않다”고 주눅들 필요도 없다. 드라마와 세상사는 차이가 많다.

야인시대에서 김두한의 왼팔격인 김무옥이 죽는 장면은 무려 10분이 넘는다. “너를 진정 좋아했다.~ 뒷 일을 부탁한다”등 숨가쁘게 이어가다 한참만에 고개를 떨군다. 하지만 맞은 부위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총 맞으면 즉사한다’는 것은 상식이다. 훈련과 실전이 다르고, 이론과 현실의 차이도 크다. 골프에서 멀리건(Muligan)이라는 게 있다. 첫 타석에서 드라이버로 친 샷이 엉뚱한 곳으로 날아간 경우-‘첫 타석이니 실수를 한번 봐 줘서 다시 치게 하는 경우’를 말한다.

그런데 멀리건에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한 주한 미군 고위장교가 6.25전쟁후 너무 심심해서 9홀짜리 골프장을 만들고 골프장을 관리하는 한국인을 가르쳐서 같이 치게 되었다. 그런데 이 한국인이 무조건 세게 치는 게 좋은 줄 알고 힘껏 휘두르자 공이 엉뚱한 곳으로 날아가 버렸다. 이때 멋적어 하면서 ‘멀리 갔네’하고 한국말로 얘기한 것을 ‘다시 한번 치게 해 달라는’ 소리로 잘못 알고 허락한 데서 나왔다.>는 설과 <스콧틀랜드의 ‘멀리건’이라는 골퍼가 늦게 골프장에 도착해서 첫 타석에서 허겁지겁 치는 바람에 잘못 날아가서 다시 한번 치도록 허락한 데서 기인했다는>설 등이다. 하지만 공식게임에서조차 ‘멀리건’을 기대할 수는 없다.

삼국지에서 원소의 상장이었던 안량과 문추는 방심하는 사이 적토마를 탄 관운장의 한칼에 목이 달아 난다. 과장된 표현이 있지만 여하튼 적토마의 속도를 계산에서 빠뜨린 실수는 곧 죽음이라는 답으로 돌아 온 것이다. 고스톱판에도 ‘낙장불입’이라는 말이 있고 바둑에도 ‘일수불퇴’라는 규칙이 있다. 화투짝을 한번 던졌으면 순간의 착각이든 실수이든 자신이 책임져야 한다. 패를 바꿔 냈을 경우에는 엄청난 손익이 뒤 따르기 때문이다. 쿠바사태 때 뚝심으로 소련의 미사일기지 건설을 막아 냈던 최연소미국대통령이자 희망의 기수였던 케네디도 ‘방탄차의 유리를 내리지 않은’ 순간의 방심으로 자신의 운명은 물론 인류 역사를 바꿔 놓았던 것이다. 바둑에서의 ‘일수불퇴’도 같은 맥락이다.  왜냐하면 한 수 다시 두는 것이 대세를 뒤집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연습으로 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한번 해 보고 안 되면 다시 우왕에게 충성한다’는 가정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매사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것이다.
    
전문가와 아마추어 또한 다르다. 미스코리아 선발대회가 열릴 때마다 TV 앞에 앉아 있곤 했다. 그런데 내가 점 찍은 사람은 기가 막히게 꼭 떨어졌다. “분명히 저 아가씨가 제일 미인이고 세상에 저 아가씨와 나 둘만 있다면 참 좋겠다”고 생각한 사람들은 으례 예선에도 들지 못했다.  그리고 교과서와 현실 또한 매우 다르다. 80년대말 네덜란드에 처음 갔을 때 풍차속을 들여다보고 의아했다. 교과서에서 “네덜란드는 풍차를 이용, 풍력으로 전기를 일으킨다”고 배웠는데 이미 당시에는 풍차는 거의 기념품가게로 변해 있었다. 어린 시절 <스페인 사람들은 모두 투우를 즐기고, 영국 군은 모두 기병대이고 중국 사람들은 짜장면만 먹고, 스위스에서는 알프스 소녀들이 하루종일 요들송만 부르는 줄로> 알았던 것이다.

최근 핸더슨의 한 교민 치과에서 불상사가 있었다. 그 사건을 둘러싸고 소문이 꼬리를 물었고 화제거리가 되었다. 그런데 사건 희생자들은 참으로 불쌍하다. 또 어쩔 수 없이 사건에 연관된 주변 사람들 또한 안타까운 희생자들이다. 내용도 잘 모르면서 이들까지 싸잡아 소문의 소용돌이에 몰아 넣는 것은 잔인한 일이다. 어렵고 슬픈 일이 있을 때 우리 교민끼리 서로 화합하고 상생하고 위로하지 않으면 안 된다. 드라마와 현실은 다르며 현실 속의 인간은 곧 나 자신일 수 있다. 우리는 큰 기대속에 어렵게 이민을 왔다. 때로는 현지인들에게 치이기도하고, 심지어는 교민들끼리 상처를 주고 받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은 한국이나 또 다른 곳에 산다고 해도 인생사에서 느끼는 비슷한 삶의 모습일 뿐이다. 그저 묵묵히 열심히 살아 가면 된다. 행복의 형태와 크기는 오직 스스로가 만들어 가는 것이기에.

[372] 산뜻한 출발

댓글 0 | 조회 3,356 | 2008.01.15
1월을 뜻하는 'January'는 'Janus' (야누스)에서 유래 되었다고 한다. 로마신화에 나오는 'Janus'(영어식 발음:제이너스)는 두 얼굴을 가진, 문… 더보기

[371] 초록마을에서 희망을 본다

댓글 0 | 조회 3,736 | 2007.12.20
희망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평범한 곳에서 찾는 소박한 소망일 뿐이다. 지난 11월 9일 아침 TV3에서는 '빌 클린턴' 전 미국대통령이 'Rachaelray'라… 더보기

[370] 그린 크리스마스(Green Christmas)

댓글 0 | 조회 3,302 | 2007.12.11
이민 와서 제일 속상한 것 중의 하나가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보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화이트 크리스마스는 커녕 한 여름에 맞는 크리스마스는 이질감을 더해 주거나… 더보기

[369] 그림이 좋아야 한다

댓글 0 | 조회 3,165 | 2007.11.27
멋진 광경이나 사랑하는 연인들의 모습을 보면 흔히 "그림이 좋다"고들 말한다. <주한미국인들이 모여 사는 동네에 몇 차례 초대 받아 간 적이 있었다. 한 번… 더보기

[368] 바람난 물개들

댓글 0 | 조회 3,799 | 2007.11.12
바람난 물개들은 수영에는 관심이 없다. 한국 사람들은 어디서나 모임을 잘 만든다. 출신지나 출신학교에 따라, 동호인끼리 등. 나 역시 여러 모임에 속해 있었고 특… 더보기

[367] 왜 우리는 튀어야만 하는가

댓글 0 | 조회 3,283 | 2007.10.24
튀기 위해 뛰는 사람들-이는 여지 없이 한국인들이다. 지난 주 교민지들은 '노스쇼어타임즈 여론광장'에 한국인에 대한 온갖 비하성 발언이 계속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더보기

[366] 아버지와 만년필

댓글 0 | 조회 3,599 | 2007.10.09
'있을 때 잘 해'라는 드라마도 나오고 노래도 나왔다. 미국계 회사원인 큰 애는 여유가 있는데 E회사에 다니는 둘째는 "싫컷 잠 좀 자 봤으면-"이 소원일 정도란… 더보기

[365] 민중의 지팡이

댓글 0 | 조회 3,246 | 2007.09.25
경찰이 '민중의 지팡이' 노릇을 못하면 '민중의 곰팡이'가 되기 쉽다. <다운타운의 '웨스트필드 쇼핑센터'에는 공식 출입문이 여섯개 있다. 그중 서쪽으로 나… 더보기

[364] 병천순대

댓글 0 | 조회 3,744 | 2007.09.11
WHO(세계보건기구)가 2007년 5월 18일 발표한 '세계보건통계 2007'에서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78.5세(남75세, 여82세)로 나타나 세계 194개국 가… 더보기

[363] 여자와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3,743 | 2007.08.27
여자는 그 이름만으로도 아름답다. 누군가 "여자의 마음은 갈대와 같다"고 설파했다. 또 누군가는 말했다. "참으로 알 수 없는 것은 개구리 뛰는 방향과 여자의 마… 더보기

[362] 아픔은 슬픔을 낳고

댓글 0 | 조회 3,442 | 2007.08.14
- 큐미오의 미스터리 - 이민와서 제일 만나지 말아야 할 상대는 질병이다. <작년 3월 어깨와 팔이 아파오기 시작했다. 큐미오의 F라는 중국인이 침을 잘 놓… 더보기

[361] 현지화는 괴로워

댓글 0 | 조회 3,131 | 2007.07.24
모두들 현지화를 부르짖지만 말처럼 쉽지가 않다. 1620년 영국과 네덜란드를 떠난 102 명의 Puritan(청교도)들은 Mayflower호를 타고 66일간의 긴… 더보기

[360] 적성(適性)과 적응(適應) 그리고 조화(調和)

댓글 0 | 조회 2,899 | 2007.07.09
IQ가 사람마다 다르듯 적성(適性:Aptitude) 또한 천차만별이다. 그렇게 사뭇 다른 사람들이 모여 집단을 이루고 사회를 만든다. 나는 살아 오면서 비교적 재… 더보기

[359] 조용한 아침의 나라

댓글 0 | 조회 3,121 | 2007.06.25
학창 시절 "우리나라는 '동방예의지국'이요, '조용한 아침의 나라'였다"고 배웠다. 그런데 지금 보면 예의지국은 모르겠으나 조용한 나라는 결코 아니었던 것 같다.… 더보기

[358] 돈이 많다고 다 부자는 아니다

댓글 0 | 조회 3,004 | 2007.06.12
돈이 너무 없어도 불쌍하지만, 돈이 있는데도 쓸 줄 모르는 사람 또한 불쌍하다. < 20대 초반에 논산에서 단 돈 5천원으로 상경한 P라는 친구가 있었다. … 더보기

[357] 정(情)과 의리(義理)

댓글 0 | 조회 3,250 | 2007.05.23
한국인의 특장점은 '정(情)과 의리(義理)' 였다. 현지화에 방해 되고 알량한 영어나마 퇴보할까봐 한국 TV를 전혀 보지 않았었는데 최근에는 한국인의 정서와 정체… 더보기

[356] ‘키다리 아저씨’의 긴 다리

댓글 0 | 조회 2,821 | 2007.05.08
긴다리는 저력이었다. '진 웹스터(Jean Webster)’ 의 ‘키다리 아저씨Daddy-Long-Legs)’ 는 1912년 작품이다. 그녀가 30대 중반에 쓴 … 더보기

[355] 이런 분 어디 계세요?

댓글 0 | 조회 2,471 | 2007.04.24
한인회장을 처음 맡은 것은 2002년 9월이었다. 당시 한인회는 혼미를 거듭했고 한인회장 또한 개인사정으로 일선에서 떠난 ‘보궐상태’ 였다. 어려운 시절 아무도 … 더보기

[354] '오클랜드에 살으리랏다'

댓글 0 | 조회 2,691 | 2007.04.11
배위에서 보는 오클랜드의 야경은 진정 아름다웠다. 지난 3월 모 법률회사가 주관하는 선상 파티에 초대 받아 간 적이 있다. 서울에서는 잠실 선착장에서 멀지 않은 … 더보기

[353] 지와 사랑

댓글 0 | 조회 2,808 | 2007.03.27
요즈음은 ‘지와 사랑’이 아쉽다. ‘헤르만 헤세(Herman Hesse)의 대표작이라할 ‘지와 사랑’을 한글로 만 써 놓으면 인터넷 세대들은 ‘G씨와의 사랑’으로… 더보기

[352] 신 뢰

댓글 0 | 조회 2,940 | 2007.03.12
민주사회에서 신의와 신뢰는 중요하고 꼭 필요한 덕목이다. 이재철 목사는 “왜 많은 집에 KAL 담요가 있습니까? 이는 절도행위입니다.”하고 탄식했다. 언제부턴가 … 더보기

[351] 비교는 상처를 부른다

댓글 0 | 조회 2,841 | 2007.02.26
21세기는 희망의 시대가 될 것이라 했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까지의 미개척 분야, 불확실성의 문제들이 새천년초에는 해결 되거나 업그레이드 되리라 예측하고 기대했… 더보기

현재 [350] 드라마와 현실은 다르다

댓글 0 | 조회 2,987 | 2007.02.13
사람 사는 곳은 어디나 다 마찬가지이다. 선진국이라해서 행복만 가득찬 것도, 못 사는 나라라고 해서 불행하기만 한 것도 아니다. 세계 최강이요, 선진국 중의 선두… 더보기

[349] 조개 줍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9,158 | 2007.01.30
‘조개 줍는 아이들’- 내가 가장 아끼는 책 중의 하나이다. 책은 때때로 친구이자 스승이자 독자의 분신이 되기도 한다. 사람마다 취미가 있고 독서라는 항목은 많은… 더보기

[348] 모란꽃 피는 언덕

댓글 0 | 조회 2,856 | 2007.01.15
모란은 소담스럽고 귀티가 나지만 안타깝게도 향기가 없다. 2007년 새해가 되었다. 교민지들이나 한국 메스컴에서 ‘황금돼지해’라고 떠들썩하다. 으례 연초가 되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