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3] 더불어 사는 지혜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33] 더불어 사는 지혜

0 개 2,666 KoreaTimes
조조에 쫓기던 초라한 유비가 융중 초당으로 제갈공명을 삼고초려(三顧草廬))했을 때이다.
공명은 이른바 ‘천하삼분(天下三分)책’을 역설하면서 “천하를 경영하기 위해서는 하늘이 준 때<天時>와, 지리적 유리함<地利>, 사람 사이의 화합<人和>이 필요하다”고 설파했고 유비의 몫으로 ‘인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천시, 지리, 인화는 오늘날에도 정치나 기업경영의 필수요소로 자주 인용되는데 성공적인 이민생활을 위해서도 필요한 덕목이 아닌가 생각된다.

  ‘Ticket to the Moon’이라는 노래가 있었다. <미국 어느 시골의 11세 소년이 한 방송국에서 주최한 미술컨테스트에 참가했다. “우승자에겐 30년 후 달나라에 가는 티켓을 주겠다”는 기발난 상품을 믿고 최선을 다한 결과 우승을 하게 되었고 오매불망 기대하던 30년후에 찾아 갔더니 방송국에서는 그를 정신병자 취급하는 것이었다. 그 사이 이미 ‘유리 가가린’이 갔었고, ‘암스트롱’도 다녀 왔고, 그때마다 곧 자기도 가게 될 꿈에 부풀어 있었지만 30년 후에도 여전히 달나라로 가는 길은 멀었고, 그동안 방송국 사주만도 4명이나 바뀐데다 그런 이벤트 사실조차 까맣게 잊어버린 상태였다. 어느 새 장년이 되어 버린 그 사나이는 너무나 허탈한 나머지 주막에 가서 밤새 술을 마시며 비감해 했다.>는 내용의 노래이다.

10년이 훌쩍 지난 이민 초기의 생활 모습들은 많이 바뀌었는데 여전히 현지화하기는 ‘Ticket to the Moon’처럼 그림의 떡이다. 그 사이 고국은 참으로 무질서하고 뒤죽박죽이 되었다. 가끔 이런 어리석은 공상을 해 본다. “박정희대통령에 고건총리, 황희국회의장, 이병철경제부총리, 이명박건설부장관, 이순신국방부장관, 그리고 복지부장관에 대장금, 국정원장 홍길동, 무역협회장 장보고, 독도수비대장 임꺾정등이라면 어땠을까?” 그러나 초능력자들과 수퍼인재들로만 구성되었다해서 그 사회나 국가가 최고로 발전하고 행복해 질 수 있겠느냐에 대해서는 미지수이다. 오히려 정반합의 원리, 조화의 세계야말로 성공한 국가, 행복한 사회로 가는 지름길이 아니겠는가? 그것이 구성원 자체보다 화합이 중요한 이유일 것이다.

언젠가 TV 다큐멘터리에서 <오리와 물개류가 서로 머리를 가볍게 부딪치거나 살짝 물었다 놓기도 하고, 상대방 흉내를 내면서 물장난도 치는-기적 같은 장면을 보고> 놀란 입을 다물지 못한 적이 있다. 이렇듯 전혀 다른 동물의 세계에서도 공생과 하모니가 가능할진대 비슷한 모습과 사고와, 언어를 가진 인간들끼리 왜 화합이나 상생이 될 수 없겠는가 하면서.

비교적 개성과 자존심이 강하고, 융통성 없는 사람들이 꽤 많은 교민사회는 성격차, 상황차, 그리고 이해관계로 얽혀져 모든 사람과 교류하거나 친하게 살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하지만 적어도 기쁨을 배가하며 슬픔을 같이 나눌 교민들이 주위에는 있어야한다.

우리는 뉴질랜드에 살면서도 “이나라 생선은 크기만하고 살콤한 맛이 없고 과일도 물컹하고 감칠맛이 없다”고 말한다. 반대로 키위들은 “한국의 생선이나 과일이 오히려 맛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런 것들은 서로 오랜 기간에 굳어진 입맛이나 느낌의 차이일뿐이므로 ‘맛이 없다’고 말하기보다 ‘맛이 다르다’고 표현하는 게 옳을 것이다. 그렇게 현저한 문화나 습관이나 입맛의 차이도 서로가 가까워지고 교류가 잦아지게 되면 서로를 이해하고 익숙해 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현지화하기가 사실 말처럼 그렇게 쉽지는 않지만 가장 손쉬운 것부터 시작해 나가면 될 것이다. 분재 모임에서 사귄 그레함이란 친구가 있었는데 친하게 되자 그의 집에 가서 분재도 같이 만들고 우리집에도 여러 번 와서 분재활동뿐 아니라 바둑도 두고, 라면도 끓여 먹고 꽃시장에도 같이 가곤 했다. 또한 뉴질랜드에 와서 비교적 주류사회 인사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었던 곳이 리뮤에라 로터리 클럽이었다.  그 당시에는 한국인은 커녕 아시안도 나 혼자였기 때문에 어려움도 많았고 특강시간에 혼자 졸다가 깜짝 놀라는등 스트레스도 많이 받았지만 다양한 경험도 얻었고, 키위 문화와 현지인들을 아는 절호의 기회가 되었다.  옆집에 살던 회사원 죤과 카렌 부부, 앞집에 살던 벨러리 할머니와 도널드 할아버지도 좋은 이웃이면서 가드닝 선생님이자 영어선생님이기도 했다. 그들은 크리스마스 때와 부활절등이면 어김없이 손수 만든 카드와 쵸컬릿, 꽃다발을 선물했고, 다운타운에서 커피숖을 차렸을 때도 제일 먼저 꽃다발을 들고 나타나 축하해 주기도 했다.

교민사회는 미국이건 중국이건 뉴질랜드건 크게 다를 바가 없다고 본다. 먼저 교민끼리 화합하고 현지인과 어울려 살아야 함이 ‘작업의 정석’이다. 그렇게 목표를 하고 사는 것과 부담스러워 피하고 사는 것과는 천지차이가 될 것이다. 그것이 제갈 공명이 주장한 ‘인화’의 기본이고 ‘오리와 물개’의 사귐을 통해 터득한 ‘상생과 화합’의 모습인 것이다.

[373] 승리(勝利)의 길

댓글 0 | 조회 3,562 | 2008.01.30
인생에는 영원한 승자(勝者)도 패자(敗者)도 없다. 승리의 화신(化身)이었던 '카이자르'는 한 순간의 방심으로 인생의 막을 내렸다. 한편 조선 제22대 임금 이산… 더보기

[372] 산뜻한 출발

댓글 0 | 조회 3,360 | 2008.01.15
1월을 뜻하는 'January'는 'Janus' (야누스)에서 유래 되었다고 한다. 로마신화에 나오는 'Janus'(영어식 발음:제이너스)는 두 얼굴을 가진, 문… 더보기

[371] 초록마을에서 희망을 본다

댓글 0 | 조회 3,741 | 2007.12.20
희망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평범한 곳에서 찾는 소박한 소망일 뿐이다. 지난 11월 9일 아침 TV3에서는 '빌 클린턴' 전 미국대통령이 'Rachaelray'라… 더보기

[370] 그린 크리스마스(Green Christmas)

댓글 0 | 조회 3,307 | 2007.12.11
이민 와서 제일 속상한 것 중의 하나가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보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화이트 크리스마스는 커녕 한 여름에 맞는 크리스마스는 이질감을 더해 주거나… 더보기

[369] 그림이 좋아야 한다

댓글 0 | 조회 3,168 | 2007.11.27
멋진 광경이나 사랑하는 연인들의 모습을 보면 흔히 "그림이 좋다"고들 말한다. <주한미국인들이 모여 사는 동네에 몇 차례 초대 받아 간 적이 있었다. 한 번… 더보기

[368] 바람난 물개들

댓글 0 | 조회 3,803 | 2007.11.12
바람난 물개들은 수영에는 관심이 없다. 한국 사람들은 어디서나 모임을 잘 만든다. 출신지나 출신학교에 따라, 동호인끼리 등. 나 역시 여러 모임에 속해 있었고 특… 더보기

[367] 왜 우리는 튀어야만 하는가

댓글 0 | 조회 3,284 | 2007.10.24
튀기 위해 뛰는 사람들-이는 여지 없이 한국인들이다. 지난 주 교민지들은 '노스쇼어타임즈 여론광장'에 한국인에 대한 온갖 비하성 발언이 계속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더보기

[366] 아버지와 만년필

댓글 0 | 조회 3,601 | 2007.10.09
'있을 때 잘 해'라는 드라마도 나오고 노래도 나왔다. 미국계 회사원인 큰 애는 여유가 있는데 E회사에 다니는 둘째는 "싫컷 잠 좀 자 봤으면-"이 소원일 정도란… 더보기

[365] 민중의 지팡이

댓글 0 | 조회 3,248 | 2007.09.25
경찰이 '민중의 지팡이' 노릇을 못하면 '민중의 곰팡이'가 되기 쉽다. <다운타운의 '웨스트필드 쇼핑센터'에는 공식 출입문이 여섯개 있다. 그중 서쪽으로 나… 더보기

[364] 병천순대

댓글 0 | 조회 3,746 | 2007.09.11
WHO(세계보건기구)가 2007년 5월 18일 발표한 '세계보건통계 2007'에서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78.5세(남75세, 여82세)로 나타나 세계 194개국 가… 더보기

[363] 여자와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3,743 | 2007.08.27
여자는 그 이름만으로도 아름답다. 누군가 "여자의 마음은 갈대와 같다"고 설파했다. 또 누군가는 말했다. "참으로 알 수 없는 것은 개구리 뛰는 방향과 여자의 마… 더보기

[362] 아픔은 슬픔을 낳고

댓글 0 | 조회 3,443 | 2007.08.14
- 큐미오의 미스터리 - 이민와서 제일 만나지 말아야 할 상대는 질병이다. <작년 3월 어깨와 팔이 아파오기 시작했다. 큐미오의 F라는 중국인이 침을 잘 놓… 더보기

[361] 현지화는 괴로워

댓글 0 | 조회 3,133 | 2007.07.24
모두들 현지화를 부르짖지만 말처럼 쉽지가 않다. 1620년 영국과 네덜란드를 떠난 102 명의 Puritan(청교도)들은 Mayflower호를 타고 66일간의 긴… 더보기

[360] 적성(適性)과 적응(適應) 그리고 조화(調和)

댓글 0 | 조회 2,901 | 2007.07.09
IQ가 사람마다 다르듯 적성(適性:Aptitude) 또한 천차만별이다. 그렇게 사뭇 다른 사람들이 모여 집단을 이루고 사회를 만든다. 나는 살아 오면서 비교적 재… 더보기

[359] 조용한 아침의 나라

댓글 0 | 조회 3,129 | 2007.06.25
학창 시절 "우리나라는 '동방예의지국'이요, '조용한 아침의 나라'였다"고 배웠다. 그런데 지금 보면 예의지국은 모르겠으나 조용한 나라는 결코 아니었던 것 같다.… 더보기

[358] 돈이 많다고 다 부자는 아니다

댓글 0 | 조회 3,006 | 2007.06.12
돈이 너무 없어도 불쌍하지만, 돈이 있는데도 쓸 줄 모르는 사람 또한 불쌍하다. < 20대 초반에 논산에서 단 돈 5천원으로 상경한 P라는 친구가 있었다. … 더보기

[357] 정(情)과 의리(義理)

댓글 0 | 조회 3,254 | 2007.05.23
한국인의 특장점은 '정(情)과 의리(義理)' 였다. 현지화에 방해 되고 알량한 영어나마 퇴보할까봐 한국 TV를 전혀 보지 않았었는데 최근에는 한국인의 정서와 정체… 더보기

[356] ‘키다리 아저씨’의 긴 다리

댓글 0 | 조회 2,822 | 2007.05.08
긴다리는 저력이었다. '진 웹스터(Jean Webster)’ 의 ‘키다리 아저씨Daddy-Long-Legs)’ 는 1912년 작품이다. 그녀가 30대 중반에 쓴 … 더보기

[355] 이런 분 어디 계세요?

댓글 0 | 조회 2,473 | 2007.04.24
한인회장을 처음 맡은 것은 2002년 9월이었다. 당시 한인회는 혼미를 거듭했고 한인회장 또한 개인사정으로 일선에서 떠난 ‘보궐상태’ 였다. 어려운 시절 아무도 … 더보기

[354] '오클랜드에 살으리랏다'

댓글 0 | 조회 2,695 | 2007.04.11
배위에서 보는 오클랜드의 야경은 진정 아름다웠다. 지난 3월 모 법률회사가 주관하는 선상 파티에 초대 받아 간 적이 있다. 서울에서는 잠실 선착장에서 멀지 않은 … 더보기

[353] 지와 사랑

댓글 0 | 조회 2,810 | 2007.03.27
요즈음은 ‘지와 사랑’이 아쉽다. ‘헤르만 헤세(Herman Hesse)의 대표작이라할 ‘지와 사랑’을 한글로 만 써 놓으면 인터넷 세대들은 ‘G씨와의 사랑’으로… 더보기

[352] 신 뢰

댓글 0 | 조회 2,945 | 2007.03.12
민주사회에서 신의와 신뢰는 중요하고 꼭 필요한 덕목이다. 이재철 목사는 “왜 많은 집에 KAL 담요가 있습니까? 이는 절도행위입니다.”하고 탄식했다. 언제부턴가 … 더보기

[351] 비교는 상처를 부른다

댓글 0 | 조회 2,843 | 2007.02.26
21세기는 희망의 시대가 될 것이라 했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까지의 미개척 분야, 불확실성의 문제들이 새천년초에는 해결 되거나 업그레이드 되리라 예측하고 기대했… 더보기

[350] 드라마와 현실은 다르다

댓글 0 | 조회 2,990 | 2007.02.13
사람 사는 곳은 어디나 다 마찬가지이다. 선진국이라해서 행복만 가득찬 것도, 못 사는 나라라고 해서 불행하기만 한 것도 아니다. 세계 최강이요, 선진국 중의 선두… 더보기

[349] 조개 줍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9,160 | 2007.01.30
‘조개 줍는 아이들’- 내가 가장 아끼는 책 중의 하나이다. 책은 때때로 친구이자 스승이자 독자의 분신이 되기도 한다. 사람마다 취미가 있고 독서라는 항목은 많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