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8] 쟌다르크의 후예와 007 할아버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78] 쟌다르크의 후예와 007 할아버지

0 개 3,765 KoreaTimes
  '문화의 차이' - 외국에 나와 사는 사람들에게 정말 무시할 수 없는 명제이다.

  '민주주의'(Democracy)라는 말은 희랍어 '민중'(Demos)과 '권력'(Kratos)의 합성어로 '민중에게 권력이 있다'는 제도이다. 의견이 없는 민중은 결코 체제나 권력의 주체가 될 수 없다. 그런데 교민들끼리는 너무 시끄럽고, 키위들 앞에만 서면 왜 그리 작아지는지 모르겠다.

  이민 와서 무시와 차별을 당하지 않으려면 '시간 지키기, 줄서기, 양보하기, 조용히 말하기' 등의 기본 에티켓과 의사소통을 위한 최소한의 영어는 몸에 베어야 한다.

  <지난 주 일이 있어 BNZ은행 B지점에 갔다가 좀 민망한 순간이 있었다. 줄에서 차례를 기다리는데 한 낮이라 그런지 사람이 많았다. 무심코 돌아 보니 공항에서처럼 벽에 걸린 대형 TV에서 오락성 프로가 나오고 있었다. 어느 특정 퍼포먼스 장면을 편집해서 DVD로 보여 주는 것이었는데 조금 있으니 아주 낮 뜨거운 장면이 나오는 것이었다. 반 나체의 젊은 남자들이 나와 춤을 추다가 순간 순간 아주 선정적인 성행위 장면을 연출하고 있었는데 고객 중에는 엄마를 따라 온 애들도 있었다. 가서 "제발 저 프로 좀 끄라"고 하고 싶었지만 "내가 키위문화에 아직도 덜 익숙해서 혼자 민망해 하는 것은 아닌지?"하는 생각도 들고, 자신도 없어 그저 얼른 내 차례가 오기만 기다리고 있었다. 그런데 그 순간 한 중년 여성이 창구로 다가가더니 큰 소리로 호통을 치는 게 아닌가. "아니 대낮에 왜 저런 내용을 틀어 놓느냐?" "도대체 매니져가 어떤 내용인지 확인하고 내 보내는 것이냐?" '쟌다르크'의 후예처럼 느껴지는 그 여성을 보고서야 불안한 마음이 가셨는데 다음 순간 그 '쟌다르크'는 얘기를 듣고 뛰어 나온 매니져를 향해 결정타를 날렸다. "당신 애들이 저런 프로를 보고 있다고 생각 해 보세요." 문을 나설 때에야 '저런 용감한 사람들이 더러 있구나' 하고 마음이 가벼워졌다.>

  <10여 년 전 소위 '비우'(view)가 좋고, 교통이 편리한 길가로 이사했었는데 나중에 보니  폭도 넓은 데다 양쪽 동네를 가로지르는 지름길이어서 꽤 많은 차량들이 다녔다. 게다가 걸핏하면 폭주족들이 펑펑 머풀러 터지는 소리를 내거나, 급브레이크를 밟아 끼익하고 소름끼치는 소리를 내며 질주하는 게 무척 신경이 쓰였다. 그러던 어느 날 이웃집 '도널드' 할아버지가 길가에서 열심히 뭔가를 적는 것을 보고는 무슨 일인지 다가가 물었다. 그랬더니 "폭주하면서 일부러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아들을 고발하고 뿌리 뽑기 위해 증거자료를 작성 중이라는 것이었다. 노트를 들여다 보니 (발생일시/ 차량번호/ 색깔/ 문제내용) 순으로 차곡차곡 기록 되고 있었다. 하루 세 시간씩 벌써 일주일째라는데 '죤 웨인'처럼 생긴 그 '007할아버지'를 보면서 말로만 듣던 키위들의 고발 정신을 실감할 수 있었다.>

  80년대 중반 영화 'MASH'는 6.25전쟁 이후의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가난과 극도의 혼란상을 적나라하게 보여 주더니, 90년대 초에는 영화 'Falling Down'이 한국인들을 부정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재미 교포들은 물론 전 세계 한국인들을 가슴 아프게 했다. 그런 한국인들이 어느 순간 올림픽을 개최하고 'OECD'에 가입하고, 무역 선진국으로 부상했으니 놀람과 질시의 대상이 될 수 밖에 없고 그것이 바로 LA폭동의 원인으로까지 발전했을지도 모른다.

  점수제 이민이 도입 되었던 90년대 초만 하더라도 밤 9시이면 온 동네가 조용해 지고, 일 년 내내 제복 입은 경찰을 보기가 힘들 정도로 평화스러웠던 것이다. 그런데 15년 동안 너무나도 달라졌는가 하면, 아직도 우리는 키위사회에 대해 모르는 게 너무 많다.

  어제 어느 아줌마한테서 8주된 고양이 새끼를 얻어 왔는데 BB라 이름 지었다. 한 세상을 풍미하던 S라인의 원조 '브리짓 바르도'의 이름을 딴 게 아니고 온통 브라운 색깔에다 처음 인상이 꼭 공이 굴러 다니는 것 같아 'Brown Ball'이라고 이름 짓고 줄여서 BB라 부르게 된 것이다. 그런데 갖다 놓고 하룻밤이 지나도록 움직임이 거의 없다.  

  엄마 떨어진 슬픔과 온통 주위가 낯선, 미지의 세상에 대한 두려움이 겹친 탓이리라.
그러더니 이튿날에야 서서히, 아주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했다. 왼발, 오른발 그리고 밥그릇 냄새, 화장실 점검, 그리고 문과 피난처 등 지형지물을 파악 하더니만 '포복 앞으로!'이다. 논산 훈련소도 안 갔다 온 게 온갖 각개전투의 기본 요령을 숙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나서야 물도 한 모금 마시고, 밥도 몇 알 씹어 보고.  그러는 동안에도 주위에 온통 신경을 집중 시키고 행여 자신의 행동이 노출 될까 봐 조심 또 조심이다. 이민자들이 적응하기까지 살아가야 할 처신 방법이 바로 그 고양이 전술인 것이다. 먼저 키위들을 알고, 그들의 문화 속으로 서서히 접근하면서 조용히 물 스며들 듯 현지화 해 나가야 한다.

가볼만한 식당 - 화로

댓글 0 | 조회 6,869 | 2010.11.02
크린커뮤니티를 만듭시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itsTV] ‘앱 창작터‘ 14곳 추가 선정

댓글 0 | 조회 1,905 | 2011.01.18
크린커뮤니티를 만듭시다. 중소기업청은 최근 확대되고 있는 모바일 콘텐츠 시장과 교육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4개 ‘앱 창작터’를 추가로 선정하기로 했습니다. 지정대… 더보기

변비(Constipation)

댓글 0 | 조회 3,860 | 2011.05.25
수면시간과 마찬가지로 사람마다 변을 보는 횟수도 다르다. 하루에 한 번 변을 보는 것이 가장 흔한 양상이지만 그렇게 규칙적으로 변을 보는 사람은 50% 정도에 불… 더보기

불면증

댓글 0 | 조회 2,888 | 2011.05.10
사람에 따라 필요한 수면시간은 다르다. 어떤 사람은 4시간의 수면으로도 충분하고 어떤 사람은 10시간을 꼭 자야만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따라서 6-8시간의 … 더보기

인플루엔자예방 주사

댓글 0 | 조회 3,151 | 2011.04.28
겨울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반갑지 않은 손님 인플루엔자(독감).매우 전염성이 강한 질병으로 매해 5명 중 한 명이 인플루엔자에 걸린다. 흔한 질병으로 쉽게 생각하… 더보기

감기 (Common Cold)

댓글 0 | 조회 2,716 | 2011.04.13
상부 호흡기 특히 코와 목의 바이러스성 감염을 의미한다. 보통 독감(인플루엔자 혹은 flu)이라고 하는 좀 더 강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과는 다르다.증세는?보통 … 더보기

좌골 신경통 (Sciatica)

댓글 0 | 조회 3,662 | 2011.03.23
좌골 신경통은 말 그대로 좌골 신경에 의한 통증이다. 좌골신경은 우리 몸에서 가장 긴 신경으로 어른의 손가락 크기로 다리와 발의 감각과 기능에 관여한다. 이것은 … 더보기

다리에 쥐가 나요!!!

댓글 0 | 조회 4,339 | 2011.03.09
영어로는 cramp이라고 하며 주로 종아리 근육에 강직이 일어나는 것을 이야기하는데 간혹 발에도 생긴다. 강직된 근육이 딱딱해지고 아프며 어떻게 할 수가 없다.누… 더보기

척추증(Spondylosis)이란?

댓글 0 | 조회 15,039 | 2011.02.23
▶ 척추에 오는 퇴행성 관절염많은 한국분이 병원에서 진단을 받지만, 영어 소견서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에 이번 호부터 한국 질병명 옆에 영어 질병… 더보기

알레르기성 비염

댓글 0 | 조회 3,582 | 2011.02.09
코는 계속해서 간질거리고, 물처럼 줄줄 흐르는 콧물, 연달아 나오는 재채기 산처럼 쌓이는 휴지, 아주 티슈 박스를 끼고 산다.심한 경우 재채기를 하다가 차 사고를… 더보기

알레르기가 있으셔요?

댓글 2 | 조회 4,558 | 2011.01.27
알레르기질환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적 요인이 있는 사람에게서 여러 가지 환경인자가 작용하여 생긴다. 그러나 이런 질환이 최근 긴급히 증가하는 이유는 유전적인 … 더보기

[전망대] 뉴질랜드, 심해유전으로 대박이 터질 것인가

댓글 0 | 조회 8,883 | 2011.04.29
엑손모빌은 들어봤지만 페트로브라스는 별로일 게다. 브라질 석유기업인데 매출과 순익으로 본다면 세계 2위다. BP, 쉘 등보다 덩치가 크다. 페트로브라스는 브라질 … 더보기

[전망대] 우유 가격을 놓고 왜 말이 많은가?

댓글 0 | 조회 2,724 | 2011.04.13
우유는 소의 젖이다. 뉴질랜드는 대표적인 낙농국가다. 젖소가 2010년 기준으로 6백만 마리에 달한다. 이들이 생산하는 젖은 연간 160억 리터다. 전에는 양을 … 더보기

[전망대] 이젠 럭비 월드컵 이야기를 해보자

댓글 0 | 조회 5,750 | 2011.03.23
지진과 쓰나미의 충격이 한 달째 계속되고 있다. 언론은 물론이고 만나는 사람마다 꺼내는 화제는 단연 뉴질랜드 지진과 일본의 쓰나미다. 핵 공포까지 증폭되면서 더욱… 더보기

[전망대] 웰링턴 시민들은 불안에 떨 필요가 없다

댓글 0 | 조회 6,496 | 2011.03.11
지난달 6일 새벽, 와이탕이 조약을 기념하는 새벽 의식이 있었다. 와이탕이 조약을 기념하는 새벽의식은 해마다 열린다. 헬렌 클락 전 총리는 새벽 잠이 많아서 와이… 더보기

[전망대] 마타마타 할머니의 장수비결

댓글 0 | 조회 3,520 | 2011.03.09
해밀턴에서 동쪽으로 가다보면 마타마타라는 타운이 나온다. 타운센터를 중심으로 6천여명이 거주하는 평범한 마을이다. 마타마타가 유명해진 것은 ‘반지의 제왕’ 덕분이… 더보기

RBNZ과 국민당 정부 경제성적표

댓글 0 | 조회 5,217 | 2011.03.23
3월 10일 RBNZ (Reserve Bank of New Zealand) Governor Alan Bollard는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를 50bp (0.5… 더보기

[381] 행복한 남쪽나라

댓글 0 | 조회 3,957 | 2008.05.27
우리는 그렇게 '행복한 삶'을 꿈꾸며 '따뜻한 남쪽나라'를 찾아 왔다. 그런데 막상 와 보니 모든 것이 생각처럼 쉽지 않았다. 제대로 된 잡(job)을 못 구해서… 더보기

[380] 지혜만이 살길이다

댓글 0 | 조회 2,902 | 2008.05.13
한국은 AI 확산과 광우병 논란으로 전국이 뒤숭숭하다. 페스트 이후 바이러스를 통해 감염 되는, 가장 심각한 3대 재앙으로 에이즈와 AI(조류인플루엔자) 그리고 … 더보기

[379] 꿀비가 내렸어요

댓글 0 | 조회 3,501 | 2008.04.22
오랜 가뭄 끝에 단비가 내리고 있다. 단비라 칭하기엔 뭔가 2% 부족한 것 같아 아예 꿀비라 부르고 싶다. 그렇게나 목 마르게 기다리던 비인데, 몇 일을 계속해서… 더보기

현재 [378] 쟌다르크의 후예와 007 할아버지

댓글 0 | 조회 3,766 | 2008.04.08
'문화의 차이' - 외국에 나와 사는 사람들에게 정말 무시할 수 없는 명제이다. '민주주의'(Democracy)라는 말은 희랍어 '민중'(Demos)과 '권력'(… 더보기

[377] 터널 속으로

댓글 0 | 조회 3,639 | 2008.03.26
이젠 자전거 타고 다녀야 할 판이다. 14년 전 막 이민 왔을 때 자동차 연습을 위해 한 밤중에 '퀸 스트리트'에 나가곤 했었다. 모든 것이 생소한 데다, '라운… 더보기

[376] 상대적 불행

댓글 0 | 조회 3,871 | 2008.03.11
고속도로에서 심한 정체 속에 차가 기어 가고 있을 때 옆 차선보다 조금 빨리 빠지는 선에 있으면 왜 그렇게 행복한지. 그래 봐야 1-2분 차이일 텐데도 옆 차 보… 더보기

[375] 선택(選擇)

댓글 0 | 조회 3,021 | 2008.02.26
하나님은 인간에게 선택권 즉 ‘자유의지(自由意志)’를 주셨다. 지금 세상은 온통 선택의 갈림길이다. 미국은 대통령 선거를 놓고 흑인 출신의 ‘버락 오바마’와 영부… 더보기

[374] 고양이가 남긴 것

댓글 0 | 조회 2,998 | 2008.02.12
'다롱이'가 사라졌다. 한국 사람들은 보통 고양이는 싫어하고, 개를 좋아한다. 교민들의 성향도 비슷하다. 유독 고양이를 좋아하는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 개를 더 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