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4] 고양이가 남긴 것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74] 고양이가 남긴 것

0 개 2,995 KoreaTimes
  '다롱이'가 사라졌다. 한국 사람들은 보통 고양이는 싫어하고, 개를 좋아한다. 교민들의 성향도 비슷하다. 유독 고양이를 좋아하는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 개를 더 선호한다.

  키위들은 좀 다른 것 같은데 선호도가 반반쯤은 되는 것 같다. 기르기가 무척 까다롭기 때문에 개를 더 좋아하면서도 고양이를 기르는 사람이 많은 것 같기도 하다. 개는 우선 울타리를 쳐야 하고, 시티 카운슬에 등록을 해야 하고, 집에 홀로 두거나, 이웃집에 방해가 되어서도 안 되고, 외출 시킬 때는 꼭 목줄을 매 주어야 하는 등 지켜야 할 조건도 많다.

  또한 건강관리에도 신경 써야 하고 구입비부터 등록비, 개 밥, 개 집, 목걸이 등 경비도 만만치 않을 뿐 아니라 사람이나, 이웃집 동물을 해치면 반드시 주인이 대신 책임을 져야 하고 재판을 받아 벌금을 물기도 한다. 가끔씩 커다란 개들이 집 밖으로 뛰쳐나와 어린애나 부녀자들을 놀라게 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에 주인은 피해자에게 사과함이 마땅하고 피해자가 신고하면 벌금을 물리거나 피해가 심할 때는 사살까지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만큼 개는 주인에게 기쁨과 행복을 주는 대신 부담도 많이 주기 때문에 기르기가 결코 쉽지는 않다. 어쨌든 펜스 치는 비용이 만만치 않아 아직도 개를 못 구하고 매일 'Trade me'를 들락거리며 '허스키, 비숑, 말티즈' 등 예쁜 강아지들을 찜 해 놓는 게 고작이다.

  개에 비해 고양이는 비교적 기르기가 쉽다. 교육시키지 않아도 밖에 안 보이는 곳에 배변을 하고 개러지에서 기르더라도 일정한 곳에 화장실을 만들어 주면 꼭 그 곳에서만 실례를 하고 나름대로 흔적을 덮어 버린다. 그리고 주인이 밖에 나가거나 외출에서 돌아 와도 참견하거나 따라 나가려 하거나 반가워 하는 기색도 별로 없기 때문에 외출 시에 부담이 없는 대신 때로는 괘씸하기도 하고 섭섭하기도 하는 것이다.

  그 대신 배가 고프거나 주인한테 잘 보이고 싶을 경우 머리통을 주인 다리에 들이 밀거나 비벼 대기도 하고 심지어는 발라당 뒤집어 온갖 소위 '고양이 짓'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신이 나거나 활력이 한참 넘칠 때는 끊임없이 새나 다람쥐 등을 잡아 와서는 자랑하거나 혼이 빠져 죽을 때까지 가지고 놀기도 한다. 지난 해 우연히 고양이 새끼 한 마리를 구해 왔다. 개를 구하면 '아롱이'라 부르기로 하고 고양이에게는 우선 '다롱이'라 이름 지었다. 개와 고양이를 함께 기르면 '아롱 다롱' 앞뜰과 뒷동산이 생기 있어 지리라 기대하면서-

  그런데 얼핏 조용하고 활동을 싫어하는 것처럼 보였던 다롱이가 집안 뜰을 온통 헤집고 다녔고 한 1년쯤 기르면서 몇 가지 보람을 느끼게 되었다. 우선 항상 주인 뒤를 쫄쫄 따라 다니거나 주인이 일하는 5m 반경 이내에서 떠나지 않는다. 그러다 "'다롱'아 그만 가자!" 하면 영낙 없이 앞장서거나 뒤따르는 것이다. 그리고 산책하기 위해 휘파람을 세 번만 불면 99% 언젠가 어디선가 나타나는 것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다롱이가 내게 도움을 준 것은 다른 데 있었다. 달동네에 살면서 부터 이웃 사람들 외에는 특별히 약속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키위 방문객은 거의 없다. 거기다가 밖에 나가서도 현지인들과 어울릴 기회가 드물다 보니 그나마 초라한 영어가 가물가물하다. 그래서 이따금씩 다롱이에게 영어로 말을 걸었는데 몇 달 지나니 간단한 말- '가자, 이리 와, 밥 먹어, 들어 와' 등은 쉽게 알아 듣는 것이었다. 표정과 제스쳐를 보고 눈치로 때려 잡는 지도 모를 일이지만. 그 후로는 제법 길게 얘기하게 되었고 아무리 엉터리 영어를 구사해도 사람처럼 진력 내지 않고 말 없이 들어 주는 것이었다. 발음 나쁘다고 시비 거는 일도 결코 없었다.

  그런 다롱이가 어느 날 밤, 바람과 함께 사라져 버린 것이었다. 집 근처를 샅샅이 뒤지면서 기다렸지만 허사였다.  그런데 다롱이가 사라지면서 몇 가지를 남겨 두고 갔다.

  첫째는 노래 가사 처럼 '있을 때 잘 해' 줄 걸 하는 아쉬움이 인다. 가끔씩 미워하기도 하고 고양이에게 개의 역할 까지도 기대했던 것은 어리석었다는 생각이 든다.

  둘째는 별로 눈에 띄지 않는 존재도 때로는 중요하다는 것이다. 다롱이가 사라지자 갑자기 새들이 집 주위를 활개치고 토마토를 쪼아 먹거나 심지어는 개러지나 거실까지도 날아드는 가 하면 옆집, 뒷집 고양이까지 우리 집 뜰을 어슬렁거리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고 보면 하루 종일 소리 없이 주위를 맴돌던 못 생기고 쪼끄만 고양이 한 마리가 나름대로 제 역할을 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리고 동물에게도 '어떤 보상을 바라지 않고 아가페적인 사랑을 줄 때만이 언젠가 보람을 안겨 준다'는 사실이다.

  다롱이가 남긴 것들은 어쩌면 인간관계에서도 적용 될 수 있는 삶의 지혜가 아닐까 싶다.

가볼만한 식당 - 화로

댓글 0 | 조회 6,869 | 2010.11.02
크린커뮤니티를 만듭시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itsTV] ‘앱 창작터‘ 14곳 추가 선정

댓글 0 | 조회 1,905 | 2011.01.18
크린커뮤니티를 만듭시다. 중소기업청은 최근 확대되고 있는 모바일 콘텐츠 시장과 교육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4개 ‘앱 창작터’를 추가로 선정하기로 했습니다. 지정대… 더보기

변비(Constipation)

댓글 0 | 조회 3,860 | 2011.05.25
수면시간과 마찬가지로 사람마다 변을 보는 횟수도 다르다. 하루에 한 번 변을 보는 것이 가장 흔한 양상이지만 그렇게 규칙적으로 변을 보는 사람은 50% 정도에 불… 더보기

불면증

댓글 0 | 조회 2,888 | 2011.05.10
사람에 따라 필요한 수면시간은 다르다. 어떤 사람은 4시간의 수면으로도 충분하고 어떤 사람은 10시간을 꼭 자야만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따라서 6-8시간의 … 더보기

인플루엔자예방 주사

댓글 0 | 조회 3,151 | 2011.04.28
겨울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반갑지 않은 손님 인플루엔자(독감).매우 전염성이 강한 질병으로 매해 5명 중 한 명이 인플루엔자에 걸린다. 흔한 질병으로 쉽게 생각하… 더보기

감기 (Common Cold)

댓글 0 | 조회 2,716 | 2011.04.13
상부 호흡기 특히 코와 목의 바이러스성 감염을 의미한다. 보통 독감(인플루엔자 혹은 flu)이라고 하는 좀 더 강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과는 다르다.증세는?보통 … 더보기

좌골 신경통 (Sciatica)

댓글 0 | 조회 3,662 | 2011.03.23
좌골 신경통은 말 그대로 좌골 신경에 의한 통증이다. 좌골신경은 우리 몸에서 가장 긴 신경으로 어른의 손가락 크기로 다리와 발의 감각과 기능에 관여한다. 이것은 … 더보기

다리에 쥐가 나요!!!

댓글 0 | 조회 4,339 | 2011.03.09
영어로는 cramp이라고 하며 주로 종아리 근육에 강직이 일어나는 것을 이야기하는데 간혹 발에도 생긴다. 강직된 근육이 딱딱해지고 아프며 어떻게 할 수가 없다.누… 더보기

척추증(Spondylosis)이란?

댓글 0 | 조회 15,039 | 2011.02.23
▶ 척추에 오는 퇴행성 관절염많은 한국분이 병원에서 진단을 받지만, 영어 소견서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에 이번 호부터 한국 질병명 옆에 영어 질병… 더보기

알레르기성 비염

댓글 0 | 조회 3,582 | 2011.02.09
코는 계속해서 간질거리고, 물처럼 줄줄 흐르는 콧물, 연달아 나오는 재채기 산처럼 쌓이는 휴지, 아주 티슈 박스를 끼고 산다.심한 경우 재채기를 하다가 차 사고를… 더보기

알레르기가 있으셔요?

댓글 2 | 조회 4,557 | 2011.01.27
알레르기질환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적 요인이 있는 사람에게서 여러 가지 환경인자가 작용하여 생긴다. 그러나 이런 질환이 최근 긴급히 증가하는 이유는 유전적인 … 더보기

[전망대] 뉴질랜드, 심해유전으로 대박이 터질 것인가

댓글 0 | 조회 8,883 | 2011.04.29
엑손모빌은 들어봤지만 페트로브라스는 별로일 게다. 브라질 석유기업인데 매출과 순익으로 본다면 세계 2위다. BP, 쉘 등보다 덩치가 크다. 페트로브라스는 브라질 … 더보기

[전망대] 우유 가격을 놓고 왜 말이 많은가?

댓글 0 | 조회 2,724 | 2011.04.13
우유는 소의 젖이다. 뉴질랜드는 대표적인 낙농국가다. 젖소가 2010년 기준으로 6백만 마리에 달한다. 이들이 생산하는 젖은 연간 160억 리터다. 전에는 양을 … 더보기

[전망대] 이젠 럭비 월드컵 이야기를 해보자

댓글 0 | 조회 5,750 | 2011.03.23
지진과 쓰나미의 충격이 한 달째 계속되고 있다. 언론은 물론이고 만나는 사람마다 꺼내는 화제는 단연 뉴질랜드 지진과 일본의 쓰나미다. 핵 공포까지 증폭되면서 더욱… 더보기

[전망대] 웰링턴 시민들은 불안에 떨 필요가 없다

댓글 0 | 조회 6,496 | 2011.03.11
지난달 6일 새벽, 와이탕이 조약을 기념하는 새벽 의식이 있었다. 와이탕이 조약을 기념하는 새벽의식은 해마다 열린다. 헬렌 클락 전 총리는 새벽 잠이 많아서 와이… 더보기

[전망대] 마타마타 할머니의 장수비결

댓글 0 | 조회 3,520 | 2011.03.09
해밀턴에서 동쪽으로 가다보면 마타마타라는 타운이 나온다. 타운센터를 중심으로 6천여명이 거주하는 평범한 마을이다. 마타마타가 유명해진 것은 ‘반지의 제왕’ 덕분이… 더보기

RBNZ과 국민당 정부 경제성적표

댓글 0 | 조회 5,217 | 2011.03.23
3월 10일 RBNZ (Reserve Bank of New Zealand) Governor Alan Bollard는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를 50bp (0.5… 더보기

[381] 행복한 남쪽나라

댓글 0 | 조회 3,957 | 2008.05.27
우리는 그렇게 '행복한 삶'을 꿈꾸며 '따뜻한 남쪽나라'를 찾아 왔다. 그런데 막상 와 보니 모든 것이 생각처럼 쉽지 않았다. 제대로 된 잡(job)을 못 구해서… 더보기

[380] 지혜만이 살길이다

댓글 0 | 조회 2,902 | 2008.05.13
한국은 AI 확산과 광우병 논란으로 전국이 뒤숭숭하다. 페스트 이후 바이러스를 통해 감염 되는, 가장 심각한 3대 재앙으로 에이즈와 AI(조류인플루엔자) 그리고 … 더보기

[379] 꿀비가 내렸어요

댓글 0 | 조회 3,501 | 2008.04.22
오랜 가뭄 끝에 단비가 내리고 있다. 단비라 칭하기엔 뭔가 2% 부족한 것 같아 아예 꿀비라 부르고 싶다. 그렇게나 목 마르게 기다리던 비인데, 몇 일을 계속해서… 더보기

[378] 쟌다르크의 후예와 007 할아버지

댓글 0 | 조회 3,765 | 2008.04.08
'문화의 차이' - 외국에 나와 사는 사람들에게 정말 무시할 수 없는 명제이다. '민주주의'(Democracy)라는 말은 희랍어 '민중'(Demos)과 '권력'(… 더보기

[377] 터널 속으로

댓글 0 | 조회 3,639 | 2008.03.26
이젠 자전거 타고 다녀야 할 판이다. 14년 전 막 이민 왔을 때 자동차 연습을 위해 한 밤중에 '퀸 스트리트'에 나가곤 했었다. 모든 것이 생소한 데다, '라운… 더보기

[376] 상대적 불행

댓글 0 | 조회 3,870 | 2008.03.11
고속도로에서 심한 정체 속에 차가 기어 가고 있을 때 옆 차선보다 조금 빨리 빠지는 선에 있으면 왜 그렇게 행복한지. 그래 봐야 1-2분 차이일 텐데도 옆 차 보… 더보기

[375] 선택(選擇)

댓글 0 | 조회 3,021 | 2008.02.26
하나님은 인간에게 선택권 즉 ‘자유의지(自由意志)’를 주셨다. 지금 세상은 온통 선택의 갈림길이다. 미국은 대통령 선거를 놓고 흑인 출신의 ‘버락 오바마’와 영부… 더보기

현재 [374] 고양이가 남긴 것

댓글 0 | 조회 2,996 | 2008.02.12
'다롱이'가 사라졌다. 한국 사람들은 보통 고양이는 싫어하고, 개를 좋아한다. 교민들의 성향도 비슷하다. 유독 고양이를 좋아하는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 개를 더 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