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니스의 동작원리에 대한 미신들(Ⅱ)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테니스의 동작원리에 대한 미신들(Ⅱ)

0 개 4,341 NZ코리아포스트
“스마트한 스트로크를 하려면 손목스냅으로 볼을 강타해야 한다.” .....아니다.

동영상을 통해 페데로를 비롯한 세계 톱랭커들의 스트로크나 서브 폼을 보면, 손목스냅의 힘으로 볼을 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것은 이미 볼이 라켓을 떠나고 난 다음 순간의 장면에서 비롯되는 시각적인 착각이다. 실제로 타점을 전후한 짧은 구간에서의 그들의 팔과 라켓 움직임의 정밀한 연속 사진들을 살펴보면 그렇지가 않다. 손목은 볼이 라켓 면에 머무는 동안 변함이 없지만, 그 순간이 너무 짧아 육안으로는 포착하지 못할 뿐이다.

포워드 스윙을 하는 동안에는 뒤로 젖힌 손목을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 손목스냅으로 볼을 치면 라켓이 빠른 속도로 원운동을 하기 때문에 적정 각도에서 볼을 맞추기가 아주 어렵다. 에러 확률이 아주 높고 약한 볼을 칠 수 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손목에 주는 충격이 너무 커서 조만간 손목부상을 입게 된다.

“탑스핀 볼을 치려면 라켓 면으로 볼을 감아올려야 한다” .....아니다.

라켓 면으로 볼을 감아올리겠다는 의도를 가지고 볼을 치면, 볼에 스핀이 걸리기 보다는 볼이 맥없이 짧게 떨어지게 된다. 라켓 면이 볼을 밀어내기 보다는 볼 거죽을 감싸면서 돌기 때문이다. 특히 튀어오르는 볼이 아니라 떨어지고 있는 볼을 그런 식으로 치면 거의 100% 실패한다. 떨어지는 볼은 중력이 더 크기 때문이다.

탑스핀 볼을 칠 때에도 볼에 대한 라켓 면의 각도는 일정해야 한다. 감아올린다는 생각으로 볼을 치면 라켓 면의 각도가 계속 변화된다. 라켓 면의 각도를 지면과 거의 수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튀어오르는 볼(rising ball)을 쳐야 네트 위를 높이 통과하면서 상대 코트 깊숙이 떨어지는 탑스핀 스트로크를 할 수 있다. 단, 타점에서의 라켓 스윙을 매우 빠르게 가속해야 효과적이다. 손목스냅은 금물이다. 튀어오르는 볼을 몸 앞에서 잡아야 하며, 팔 전체를 이용하여 아래에서 위쪽으로 큰 무지개 원을 그리는 windshield wiper 스윙을 해야 한다.

“볼이 라켓 면에 맞는 순간을 보아야 한다”......사실상 불가능하다.

볼이 라켓 면에 맞는 순간은 천분의 일이초의 찰나의 일이라서 아무리 보려고 해도 볼 수가 없다. 그것은 실제로 불가능하다. 다만 그 순간을 주시하려고 하면 ball contact가 이루어지는 동안 고개가 정지되어 있어 안정된 스윙이 가능하다. 라켓이 볼을 맞추기 전에 목표지점을 보기 위하려 고개를 들면 라켓 면 또한 4~5센티 정도 올라가게 되고, 그에 따라 볼을 라켓 면 한 가운데 맞출 확률이 아주 낮아진다.

중요한 점은 공이 라켓에 맞는 순간 그 자체를 보려고 헛된 노력을 할 것이 이니라, 볼이 쉽게 보이는 몸 앞에서 볼을 쳐 낼 때까지, 고개를 움직이지 말고 다가오는 볼의 비행에 온 주의를 집중하는 데에 있다. 볼을 치는 순간 시선이 볼에 고정시키듯 고개를 돌리고 날라가는 볼을 곁눈으로 보는(peeping) 훈련을 들이도록 하자. 그러면 확실히 볼이 라켓 면의 중앙에 맞는 확률이 높아진다.

“라켓을 쥔 팔로 볼을 맞추려고 노력해야 한다”......아니다.

날라오는 볼을 스트로크로 치고자 할 때 우리의 본능적인 동작은 주로 라켓을 쥔 팔을 이용해 볼을 맞추려고 한다. 볼이 몸으로부터 멀면 팔꿈치를 펴서 볼을 맞추고, 가까우면 손목이나 팔꿈치를 움츠려 볼을 맞추려 한다. 이것이 다가오는 볼을 라켓으로 칠 때의 우리의 본능적인 동작이다. 이런 본능적인 방식으로 볼을 치려고 하면 발을 부지런히 움직이지 않고 단지 라켓으로 볼을 맞추려고 하게 되므로, 매번 모양과 구질이 다르게 날라오는 볼을 정확히 맞추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설사 라켓 한 가운에 볼을 맞추었다 하더라도 불편한 자세로 서투르게 볼을 쳐야 하는 경우가 많다.

골프에서 볼을 잘 치려면 볼과 몸과의 거리를 정확히 유지해야 하듯이(어드레싱), 테니스에서도 스트로크건, 서브건, 발리건 간에 볼을 라켓 면 중앙에 기계적으로 맞추면서 볼을 치려면 팔이 아니라 발을 빨리 움직여서 자신의 몸과 날라오는 볼과의 적정거리(space)를 잡도록 해야 한다. 이때 그 거리를 측정하는 데 있어 왼팔을 이용하면 아주 효과적이다. 스페이싱을 배우고 연습하는 일이 스트로크 실수를 줄이는 가장 중요한 조건이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hill out

댓글 0 | 조회 2,992 | 2009.01.14
새해를 시작하며 여러분께 첫 인사를 드립니다.Cornell의 English Doctor에서는, 알고보면 쉽지만, 한국인의 문법 구조로는 좀처럼 생각해 내기 힘든 … 더보기

[쉐필드의 동영상강의]At the coffee shop

댓글 5 | 조회 3,484 | 2009.04.24
쉐필드 영어에서는 영어로만 가르치는 영어회화 수업 동영상으로 실증 나지 않고 재미있는 내용으로 정기적으로 개제합니다 . www.sheffieldschool.net… 더보기

올바른 백스윙 요령(Ⅲ)

댓글 0 | 조회 5,345 | 2009.11.11
아마추어 골퍼들의 가장 큰 적 '스웨이' 방지를 위한 백스윙 집과 실내에서 할 수 있는 스웨이(Sway) 방지 요령에 대하여 알아보자. '스웨이'란 잘못된 체중이… 더보기

올바른 백스윙 요령(Ⅱ)

댓글 0 | 조회 4,480 | 2009.10.27
백 스윙에서 일방적으로 오른팔을 사용할 때 여러 부작용이 나타난다. 첫째, 백 스윙의 스타트(take-away)가 어깨가 아닌 팔부터 시작돼 느닷없는 코킹 등 방… 더보기

올바른 백스윙 요령

댓글 0 | 조회 5,032 | 2009.10.14
골프 인생에서 마치 홍역처럼 꼭 겪게 되는 시련 중의 하나가 백 스윙이다. 백 스윙으로 고생하는 골퍼들은 “연습 때나 실전에서의 빈 스윙은 완벽하고 어드레스까지도… 더보기

어드레스 요령

댓글 0 | 조회 3,614 | 2009.09.23
두 팔과 클럽 Y자 형태를 갖추어야 한다. “골프 스윙은 어드레스에서 성패가 결정된다”는 정확한 지적이다. 좋은 스윙을 하기 위한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동작이 어… 더보기

퍼팅을 강화하는 2가지 훈련법!!

댓글 0 | 조회 4,516 | 2009.09.09
밤에 랜턴 불빛으로 라인 보며 퍼팅퍼팅 연습은 굳이 그린에서만 할 필요는 없다. 프로 골퍼들은 평소에도 집에서 퍼팅 연습을 한다. 매일 수백번씩, 아예 아내가 캐… 더보기

벙커샷 요령

댓글 0 | 조회 3,974 | 2009.08.26
긴 벙커샷을 할 땐 샌드웨지 보다 피칭 웨지가 제격 아마추어 중에서 일반적인 벙커샷은 자신이 있는데 30-40 야드의 긴 벙커샷, 모래에 파묻힌 볼, 페어웨이 벙… 더보기

심상 훈련(MENTAL TRANING)

댓글 0 | 조회 3,363 | 2009.08.12
어디서 많이 본 듯한 느낌이 드는가? 매일 아침, 또는 매주 당신이 골프를 즐기는, 마치 당신의 안방과도 같은 골프 코스의 1번 홀이거나, 예전에 플레이 해보았던… 더보기

볼의 비거리와 방향성 향상 방법

댓글 0 | 조회 3,176 | 2009.07.29
▲ 폴로 스루에서 팔이 곧게 뻗어진 채 스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73년 마스터스 챔피언 토미 아론은 70세의 노인이 된 지금도 시니어 투어에 … 더보기

신형 클럽에 대응하는 스윙전략

댓글 0 | 조회 2,853 | 2009.07.15
클럽이 바뀌면 스윙도 바뀐다. 그것은 오랜 골프 역사 속에서도 알 수 있다. 바비 존스(히코리샤프트 시대), 벤호건(초기 스틸샤프트 시대), 잭 니클라우스(스틸 … 더보기

2010년 입시제도의 변환에 따른 미대, 건축과의 포트폴리오 준비

댓글 0 | 조회 4,007 | 2010.07.28
최근 몇 년간 각 대학의 입시제도에 적지 않은 손질이 있어 왔는데 미술대학을 포함한 대학들이 올해부터는 그 시행에 착수하기로 발표를 하였다. 그 골자는 입시사정의… 더보기

화가는 누구인가?

댓글 0 | 조회 6,550 | 2009.12.08
많은 사람에게 화가 하면 관념적으로 먼저 떠올리는 것이 이해하기 어려운 추상개념의 천재나 기인의 이미지를 그려 낸다. 그것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면 빵 모자를 쓴 허… 더보기

미술은 무엇인가?

댓글 0 | 조회 2,919 | 2009.11.24
우리는 일상의 삶 속에서 항시 미술을 접하며 생활을 하고 있으면서도 미술을 형이상학적인 측면으로만 해석하며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다.이는 분야가 틀린 사람들과 대화… 더보기

예술과 삶에 대한 회상(Ⅱ)

댓글 0 | 조회 2,751 | 2009.11.10
그 결과 개선된 이 곳의 주변 환경에서 워즈워스가 노래했듯이 어릴 적에 느낀 감동을 예순의 나이에도 여전히 간직하며 살아가고 있는 분들도 상당히 많으리라 생각된다… 더보기

예술과 삶에 대한 회상(Ⅰ)

댓글 0 | 조회 3,014 | 2009.10.27
우리의 생에 여정을 돌이켜 보건대 감성이 풍요로운 어릴 때에는 어떠한 특정사물이나 대상에 대해서 감동을 느끼고 동경을 하며 그 대상을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을 하였… 더보기

미대진학 준비와 사교육의 장단점(Ⅱ)

댓글 0 | 조회 4,061 | 2009.10.13
그러하기에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특화된 교육을 받아서 본인만의 조형적 언어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기와 이론 면에서 실력을 겸비하고 오랜 교육경험을 통하여 쌓여… 더보기

미대진학 준비와 사교육의 장단점(Ⅰ)

댓글 0 | 조회 3,647 | 2009.09.23
여타학과와 달리 미대 진학을 위해서는 영어나 수학 등 일반 과목의 성적 외에 미술에 대한 소양이나 창의력, 조형성, 색채감각 등을 표현하는 실기력이 대단히 중요하… 더보기

미술교육의 목적과 적성

댓글 0 | 조회 3,279 | 2009.09.23
이곳 뉴질랜드의 미술교육과 한국의 미술교육에 있어서 추구하는 이념이나 목적은 같지만 그 방법론에 있어서 상이함은 양 교육현장에 있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수 있… 더보기

미술의 사회적 기여와 활용

댓글 0 | 조회 3,813 | 2009.09.23
필자가 미술을 전공하던 학창시절에 타과 학생들에게 자주 듣던 질문과 일본과 뉴질랜드에서 후학을 지도하며 20여년이 흐른 지금도 미술에 대해 주변의 한국인들이 궁금… 더보기

과용하면 안 될 샷 - 드롭샷

댓글 0 | 조회 4,075 | 2011.01.26
* 드롭샷(drop shot)은 백코트에 있는 상대방이 예측하기 어렵게 갑자기 볼을 네트 너머로 아주 약하고 짧게 떨어뜨리는 기술을 말한다. 드롭샷은 자신의 동작… 더보기

얕잡아 보면 안 될 샷 - 오버헤드

댓글 0 | 조회 3,361 | 2011.01.14
* 전위에 있을 때 종종 자신의 머리 위로 상대방의 로빙볼이 올라와 좋은 득점 찬스를 얻을 때가 있다. 겉보기에는 그리고 마음 같아서는 쉽게 강타할 수 있는 볼처… 더보기

로빙(Lobbing) : 왜 그리고 어떻게

댓글 0 | 조회 3,737 | 2010.12.22
* 로빙은 볼을 높고 깊게 올려쳐서 상대방 전위의 뒤쪽에 떨어지게끔 하는 타법이다. 로빙은 주로 후위에 있을 때 그라운드스트로크와 더불어 사용되지만 전위에 있을 … 더보기

선수들과 비슷한 폼을 습득하려면

댓글 0 | 조회 3,964 | 2010.12.07
* 테니스 게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타법은 그라운드 스트로크와 발리, 그리고 서브이다. 이런 스트로크들을 골고루 잘 할 수 있으면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상급 플… 더보기

현재 테니스의 동작원리에 대한 미신들(Ⅱ)

댓글 0 | 조회 4,342 | 2010.11.23
“스마트한 스트로크를 하려면 손목스냅으로 볼을 강타해야 한다.” .....아니다.동영상을 통해 페데로를 비롯한 세계 톱랭커들의 스트로크나 서브 폼을 보면, 손목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