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어(長魚)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장어(長魚)

0 개 2,099 박명윤

‘PTC 7080모임’의 9월 월례회를 양평 두물머리 맛집인 ‘운길산 장어’에서 열었다. 61년전인 1958년 11월 3일에 창립된 Pine Tree Club(PTC)에서 초창기에 활동한 회원들의 나이가 이제 70대 후반에서 80대 초반에 이르렀다. 이에 ‘7080모임’을 조직하여 매월 셋째 토요일 모여 오찬을 함께 하면서 친목을 도모하고 있다. 

 

1958년 서울에서 대학생 12명이 조직한 파인트리클럽을 1961년에 인재양성ㆍ사회봉사ㆍ국제친선을 목표로 설정하고 한국파인트리클럽(Pine Tree Club of Korea, 설립자: 박명윤)으로 확대 개편하였다. 서울ㆍ대구ㆍ부산ㆍ광주 파인트리클럽에서 현재까지 약 1만2천명 회원을 배출하여 국내외에서 활동하고 있다. 

 

‘7080모임’ 장소는 회장(김학문, 82세)과 총무(김용섭, 75세)가 서울시내 및 인근지역의 ‘맛집’을 선정한다. 9월 모임 장소는 경의중앙선 열차를 타고 운길산 인근 양수역에서 하차하여 약 10분 거리에 위치한 ‘운길산 장어’ 식당을 선정하였다. 필자는 우리아파트 인근 가좌역에서 열차편으로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소재 양수역까지 약 1시간 30분이 소요되었다. 양수(兩水)역 인근을 잠시 거닐면서 주택가 앞 텃밭에서 호박꽃을 참 오랜만에 보았다.  

 

양평 ‘두물머리’는 북한의 금강산 부근에서 발원한 금강천이 남쪽으로 흐르면서 강원도 철원군에서 금성천으로 합친 후 화천군 화천읍 휴전선(休戰線)에서 북한강(北漢江) 국가하천 구간이 시작된다. 이후 남쪽으로 흐르다가 경기도 양평군 양수리에서 강원도 기슭 검룡소에서 발원한 남한강(南漢江)과 합류하여 한강(漢江)으로 흘러든다. 북한강과 남한강의 두 물줄기가 합쳐지는 곳이라는 의미로 양수리(兩水里)라고 부른다. 두물머리와 수령 400년 느티나무는 영화 촬영지로 자주 등장한다. 

 

두 강물이 합쳐지는 모습을 조망하기 좋은 지점으로 인근의 수종사(水鐘寺)가 있다. 수종사는 운길산(雲吉山, 610m) 중턱의 해발 400m 지점에 자리 잡고 있는 천년 고찰이다. 수종사에서 강을 보면 남한강, 북한강, 그리고 아래쪽에서는 보이지 않던 경안천까지 보이므로 ‘세물머리’가 된다. 조선 초기 서거정(徐居正, 1420-1488)은 “수종사에서 바라본 강물 풍경이 해동 제일” 이라고 표현했다. 

 

양수역 인근에 장어 전문식당들이 여러 집이 있다. ‘운길산 장어’ 식당은 남한강변에 위치하고 있어 흐르는 강물을 감상하면서 식사를 즐길 수 있어 좋았다. 장어 가격은 한 마리에 28,000원이며, 소금구이와 간장 양념구이로 먹는다. 또한 정원도 아름답게 가꾸어져 있어 소나무(Pine Tree) 아래에서 Club 회원들이 담소를 나누면서 기념사진도 찍었다.  

 

7c201b916c153ccece0ebcf99adb034d_1571457584_6737.jpg
 

장어(長魚)는 더위에 지쳐 입맛을 잃는 여름철의 보양식(補陽食) 중 선두로 꼽는다. 이유는 비타민A가 부족하기 쉬운 여름철에 비타민A가 풍부한 장어를 추천하게 된다. 또한 강에서 3-4년 자란 장어가 산란(産卵)을 위해 바다로 향할 때 아무것도 먹지 않고 필리핀 등 깊은 바다까지 헤엄쳐가는 에너지는 가히 신비하다. 이에 장어를 먹으면 그 놀라운 스태미나(stamina)를 계승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심리적 요인도 크게 작용한다. 

 

장어는 연어(salmon)와 반대로 강에서 살다가 깊은 바다로 가서 알을 낳는데, 알에서 부화(孵化)된 새끼 장어는 1년 쯤 바다에서 생활하다가 민물로 올라와서 자란다. 새끼 장어가 대륙 연안에 가까이 왔을 때쯤에는 몸이 투명한 버들잎처럼 생겨 ‘댓잎장어’ 라고 불린다. 하구(河口)에 가까이 와서 강을 거슬러 올라갈 때쯤에는 실뱀장어가 되어 있다.   

 

장어(長魚)는 말 그대로 몸이 뱀처럼 긴 물고기이며, 몸길이가 60cm에서 1.5m가량인 것까지 있다. 장어 종류는 20여종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어획되는 장어는 뱀장어ㆍ붕장어ㆍ갯장어ㆍ먹장어 등 네 가지이며 생김새가 비슷하여 구분이 쉽지 않다. 어류는 턱뼈가 있는 악구상강(顎口上綱)에서 경골어류와 연골어류로 나뉜다. 장어류 중 뱀장어(Eel), 붕장어(Conger eel), 갯장어(Silver conger eel)는 경골어류에 속하지만, 먹장어(Hagfish)는 턱뼈가 없기 때문에 무악류 이지만 길이가 길어 장어로 불린다.  

 

‘뱀장어’는 민물장어라고도 불리며, 우리가 흔히 먹는 장어로서 바다와 강을 오가는 회유성(回遊性) 어류이다. 연어는 성장한 후 자신이 태어난 강으로 돌아오지만, 뱀장어는 유생기(幼生期) 실뱀장어 때 강으로 올라와 5-12년 정도 생활한 후 산란을 위해 바다로 떠나 심해(深海)에서 알을 낳고 수정을 마친 후 생을 마감한다. 전라북도 고창이 뱀장어 산지로 유명하며, 이곳 장어를 풍천(風川)장어라 부르기도 한다. 뱀장어는 장어 종류 중 가장 기름지므로 맛이 고소하지만, 비리다고 느낄 수도 있다. 

 

‘붕장어’는 몸통의 측면을 따라 작고 흰 구멍(감각공) 여러 개가 점선처럼 길게 배열되어 있다. 지방 함량이 몸의 약 10%로 지방이 많은 뱀장어의 1/3이하다. 따라서 기름이 적어 담백한 맛이므로 장어류 중에서 탕을 끓여 먹기에 가장 적당하다. 붕장어는 야행성(夜行性)으로 낮 시간에는 모랫바닥 구멍에 몸통을 반쯤 숨긴 채 있다가 밤이 되면 활동을 시작하며 작은 물고기를 닥치는 대로 포획한다. 붕장어의 일본식 이름인 ‘아나고(穴子)’는 모래 바닥을 뚫고 들어가는 습성 때문에 구멍 혈(穴)가 붙은 데서 유래한다. 중국에서는 꼬리에서 머리 쪽으로 약 40개의 옆줄 구멍이 별 모양과 같다하여 싱만(星鰻)이라 부른다. 경상남도 통영은 국내 최대 붕장어 집산지이다. 

 

‘갯장어’는 날카로운 이빨에 송곳니까지 있어 섣불리 건드렸다 물려서 큰 상처를 입을 수 있다. 갯장어란 이름은 개처럼 이빨이 강하고 잘 물기 때문에 붙여졌다고 한다. 갯장어는 잔뼈가 많아 다듬고 요리하기가 쉽지 않아 잔칼집을 무수히 넣어 뼈를 부수는 뼈회(세꼬시)와 유비키 샤부샤부가 일본에서 개발되었다. 1814년 정약전(丁若銓: 1760-1816)이 지은 ‘자산어보(玆山魚譜)’에는 개의 이빨을 가진 뱀장어로 묘사되어 있다. 갯장어의 일본 이름은 ‘하모’이며 하모는 ‘물다’라는 뜻의 하무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다. 경상남도 고성 포교마을은 갯장어 산지다. 

 

‘먹장어’는 턱이 없고 빨판 모양의 입을 생선이나 오징어 등에 흡착해 살과 내장을 녹여 빨아 먹는다. 원시 어종으로 꼽히는 장어류 중에서도 진화가 덜 되었다. 먹장어란 명칭은 눈이 퇴화돼 피부에 흔적만 남아 ‘눈이 먼 장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서민 술안주의 대명사로 불리며, 포장마차에서는 대개 껍질을 벗긴 상태로 준비해 둔다. 

 

먹장어는 겉모습이 징그러우며 식습성도 혐오스러워 다른 나라에서는 먹지 않는다. 일본에서도 거의 먹지 않으므로 거의 전량 우리나라에서 소비된다. 먹장어는 가죽을 벗겨 내도 한참 동안 살아서 ‘꼼지락 꼼지락’ 움직이는 모습을 힘이 좋다고 받아들여 우리나라에서는 스태미나 식품으로 상당히 인기가 있다. 또한 먹장어는 꼼지락거리는 움직임으로 인해 ‘꼼장어(곰장어)’라는 속칭이 붙었다. 먹장어는 몸속에 반투명한 내장이 들어있다. 

 

서구(西歐)에서는 먹장어 껍질(skin)을 가공하여 만든 지갑, 손가방, 벨트 등이 고급제품으로 인기가 있다. 먹장어의 껍질은 질기고 부드러우며, 행운을 가져온다고 서양인들은 믿고 있다. 우리나라는 해방 직후 식량이 부족하던 시절, 먹장어 가죽을 벗겨내고 버렸던 고기를 구워 먹어 보니 맛이 좋아 식용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일본에는 ‘장어 먹는 복날’이 있으며, 장어와 함께 오이, 수박, 참외, 매실, 우동 등을 먹는다.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장어 요리는 ‘카바야키’이며, 장어를 꼬챙이에 꿰어 달짝지근하게 졸인 간장 양념을 바른 뒤 숯불에 구워내면, 바삭바삭한 껍질과 즙이 많은 살을 맛볼 수 있다. 해산물을 날것으로 즐기는 일본인이지만 장어의 피에는 독성(毒性)이 있기 때문에 조리해서 먹는다. 단백질 성분의 독이므로 섭씨 60도 이상에서 5분 정도 조리하면 독성은 사라진다.  

 

장어 구입 요령은 등 빛깔이 회흑색, 다갈색, 진한 녹색인 것이 맛이 좋다. 살이 미끈하고 눈알이 투명한 것이 신선하다. 조리는 양념을 하여 구워 먹거나, 찜 또는 튀김으로 먹는다. 장어 덮밥으로 먹기도 하며, 여러 요리에 장어가 쓰인다. 장어 특유의 비린 맛을 제거하기 위해 생강, 청주 등을 사용한다. 장어를 먹은 뒤에 후식으로 복숭아를 먹으면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장어의 영양성분(생것 가식부분 100g당)을 종류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뱀장어(Eel): 에너지 223kcal/ 수분 67.1g/ 단백질 14.4g/ 지질 17.1g/ 회분 1.1g/ 탄수화물 0.3g/ 섬유소 0/ 칼슘 157mg/ 인 193mg/ 철 1.6mg/ 나트륨 65mg/ 칼륨 250mg/ 비타민A 1050RE/ 비타민B1 0.66mg/ 비타민B2 0.48mg/ 나이아신 4.5mg/ 비타민C 1mg. 그리고 붕장어(Conger eel)는 에너지 110kcal/ 단백질 15.7g/ 지질4.4g, 갯장어(Silver conger eel)는 에너지 195kcal/ 단백질 19.6g/ 지질 11.9g, 먹장어(Hagfish)는 에너지 125kcal/ 단백질 16.6g/ 지질 5.8g 등이 함유되어 있다.  

국민 MC, 天國 노래자랑 MC로...

댓글 0 | 조회 2,419 | 2022.06.25
필자 부부는 매주 일요일 연세대학교회(Yonsei University Church)에서 11시 주일예배를 드린 후 연희동 소재 식당에서 오찬을 하면서 TV에서 방… 더보기

우울증(憂鬱症) 급증

댓글 0 | 조회 2,384 | 2020.08.22
전 세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확진자가 2000만명이 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하루 30… 더보기

식량안보 목표치

댓글 0 | 조회 2,362 | 2022.07.09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산출하는 세계식량가격지수(Food Price Index)는 지난 5월에 173.4를 기록하며 통계를 작성한 1990년 1월 이후 최고… 더보기

변실금(便失禁)

댓글 0 | 조회 2,342 | 2019.07.20
“나도 모르게 찔끔찔끔 변이 새나요?” 소변이 찔끔찔끔 새는 요실금(尿失禁)처럼 대변이 새는 것을 변실금(便失禁)이라 한다. 우리 입에서 항문까지의 길이는 약 9… 더보기

위드 코로나와 코로나 치료제

댓글 0 | 조회 2,311 | 2021.10.23
방역 당국이 단계적 일상 회복(With Corona)이 시작되는 시점을 구체적으로 처음 언급했다. 즉,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10월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 더보기

다양한 ‘사과’ 품종

댓글 0 | 조회 2,280 | 2019.11.23
요즘 대구(大邱)는 세계적 ‘물(水)의 도시’를 꿈꾸며 대구시가 심혈을 기울여 건립한 ‘국가물산업클러스터(cluster)’의 개소식이 열려 물과 관련된 국내 물산… 더보기

BA.5 변이와 코로나 재유행

댓글 0 | 조회 2,278 | 2022.07.22
코로나19(COVID-19) 재유행(再流行)에 대한 불안감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최근 한 주(6월20-26일) 동안… 더보기

코로나 재확산 진행중

댓글 0 | 조회 2,262 | 2020.07.01
글로벌 증시(證市)는 코로나 재확산 여부가 가장 큰 변수이다. 최근 미국은 적절한 계획 없이 경제활동 재개에 나서면서 9개 주(州)에서 일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더보기

공황(恐慌)장애(panic disorder)

댓글 0 | 조회 2,252 | 2016.12.20
국회에서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國政壟斷) 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국조특위 2차 청문회가 지난 12월 7일 열렸다. 이른바 ‘최순실 게… 더보기

‘살충제 달걀’ 사태 일파만파

댓글 0 | 조회 2,231 | 2017.09.01
서민들도 쉽게 구해 먹을 수 있는 영양식품인 달걀이 수난을 당하고 있다. 전국의 산란계(産卵鷄) 농장들이 지난해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AI)에 이어 금년에는 폭염… 더보기

발바닥 적신호, 족저근막염

댓글 0 | 조회 2,227 | 2022.02.05
필자는 ‘제2의 심장’이라 불리는 발에 관한 건강칼럼을 준비하면서 발과 발가락에 관심을 가지고 국립중앙박물관의 ‘사유(思惟)의 방(Room of Quiet Con… 더보기

(초)미세먼지 스트레스

댓글 0 | 조회 2,221 | 2016.07.13
요즘 (초)미세 먼지에 대한 공포로 인하여 깨끗한 공기를 구입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라벤더ㆍ페퍼민트향(香) 등을 첨가한 ‘프리미엄 산소캔’이… 더보기

저출산, 인구절벽

댓글 0 | 조회 2,214 | 2018.06.09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원장 金皓)과 보건대학원총동창회(회장 朴明潤)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12회 한마음 대축제’가 지난 5월 19일 관악캠퍼스에서 개최되었다. … 더보기

한국인 건강체력(體力) 기준

댓글 0 | 조회 2,191 | 2017.03.07
‘100세 시대’에는 오래 사는 것 보다, 얼마나 건강하게 사는 지가 더 중요하다. 이에 정부(문화체육관광부)는 “국민체력100으로 100세까지 건강하게”를 목표… 더보기

106세 의사의 삶

댓글 0 | 조회 2,166 | 2017.11.22
일본에서 가장 존경받는 ‘평생 현역’ 의사인 히노하라 시게아키(日野原重明) 박사가 지난 7월 18일 자택에서 둘째 아들 부부가 지켜보는 가운데 잠을 자듯 숨을 거… 더보기

‘통증의 왕’ 대상포진(帶狀疱疹)

댓글 0 | 조회 2,157 | 2019.11.09
낮과 밤의 기온이 크게 벌어지는 환절기(換節期)가 되면 우리 몸은 쉽게 지치고 면역력(免疫力)이 떨어져 질병에 걸리기 쉽게 된다. 이처럼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걸… 더보기

연말까지 백신(Vaccine) 개발

댓글 0 | 조회 2,146 | 2020.06.06
최근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 등은 COVID-19로 인한 미국인 사망자가 10만명이 넘었다는 소식을 톱뉴스로 다뤘다. 뉴욕타임스는 “희생자 규모… 더보기

위드 코로나(With Corona) 공론화

댓글 0 | 조회 2,141 | 2021.09.16
이번 주말(9월 18일)부터 9월 22일까지 추석(秋夕) 연휴 5일을 가족과 함께 보낼 수 있다. 지난봄은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이 왔건만 봄 같지 않은 봄… 더보기

콜레스테롤(Cholesterol)의 날

댓글 0 | 조회 2,127 | 2019.10.05
당신의 콜레스테롤(cholesterol) 수치(數値)를 아십니까? 대개 자신의 혈압(血壓)과 혈당(血糖) 수치는 알면서도 콜레스테롤 수치는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더보기

스티븐 호킹과 루게릭병

댓글 0 | 조회 2,116 | 2018.03.24
<3월14일>은 아인슈타인(Einstein)이 이 세상에 태어난 날이자 호킹(Hawking)이 이 세상에서 저 세상으로 떠난 날이다. 루게릭병(근위축성… 더보기

농업생산 비상

댓글 0 | 조회 2,105 | 2020.04.28
의식주(衣食住)란 인간 생활의 세 가지 기본 요소(the necessities of life)인 옷(clothing)과 음식(food)과 집(shelter)을 통… 더보기

순 채소(눈경 채소)

댓글 0 | 조회 2,105 | 2019.06.08
채소(菜蔬, vegetable)를 북한에서는 ‘남새’, 중국에서는 ‘소채’, 일본에서는 ‘야채’ 라고 한다. 채소는 주로 신선한 상태로 부식(副食) 또는 간식(間… 더보기

겨울철 별미, 과메기

댓글 0 | 조회 2,100 | 2016.12.13
겨울철 별미(別味)로 과메기를 꼽는 사람들이 많다. 전국 과메기의 약 90%가 경북 포항 구룡포에서 나온다. 필자는 몇 년 전에 한국파인트리클럽(Pine Tree… 더보기
Now

현재 장어(長魚)

댓글 0 | 조회 2,100 | 2019.10.19
‘PTC 7080모임’의 9월 월례회를 양평 두물머리 맛집인 ‘운길산 장어’에서 열었다. 61년전인 1958년 11월 3일에 창립된 Pine Tree Club(P… 더보기

슈퍼푸드(Super Food)에 대한 관점

댓글 0 | 조회 2,060 | 2017.10.16
<헬스조선> 9월호 ‘헬스조선 빅 퀘스천(Big Question) 제 9탄 슈퍼푸드는 정말 있나?’ (전문가 4인 집필, 181-200쪽)에 실린 필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