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인구절벽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저출산, 인구절벽

0 개 2,213 박명윤

c2c4ef6b31cd7f5b690ed68d1b3f1b75_1528515417_5335.jpg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원장 金皓)과 보건대학원총동창회(회장 朴明潤)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12회 한마음 대축제’가 지난 5월 19일 관악캠퍼스에서 개최되었다. 보건대학원 총동창회는 석ㆍ박사과정 졸업생을 위시하여 3개 특별과정(보건의료정책 최고위과정, 식품 및 외식산업 보건최고경영자과정, 보건사회복지정책과정) 수료생 등 총 7000명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전에는 관악산 상행, 박물관 및 규장각 투어, 미술관 관람 등을 진행하고, 오후에는 학술행사로 요즘 심각한 보건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저출산(인구절벽)과 미세먼지를 주제로 정책세미나를 개최한다. 동창생 중 인구 분야 및 환경 분야 전문가들이 발표와 토론을 한다. 세미나 결과는 요약하여 총리실, 보건복지부 장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등 관련 주요 인사들에게 제출하여 정책에 반영되도록 한다. 

 

영국 윌리엄 왕세손(Prince William, 1982년생, 공식 칭호: His Royal Highness the Duke of Cambridge) 부부의 셋째 아이(남자, 3.8kg)가 지난 4월 23일 태어났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증손(曾孫)인 루이스 왕자의 왕위계승(王位繼承) 서열은 찰스 왕세자, 윌리엄 왕세손, 형 조지(4세) 왕자, 누나 샬럿(2세) 공주에 이어 5위다.   

 

요즘 영국 왕위 계승의 서열 6위인 해리 왕자(Prince Harry, 1984년생, 공식 호칭: His Royal Highness Prince Henry of Wales)와 혼혈 미국인 할리우드 배우 메건 마클(Meghan Markle, 1981년생)의 사랑 이야기가 화제이다. 34살 신랑과 37살 신부(이혼녀)의 세기적 결혼식은 런던에서 서쪽으로 30km에 위치한 윈저성(Windsor Castle)에서 5월 19일 거행되었다. 

 

해리 왕자는 군(軍)복무 이전에는 여러 여성과의 염문과 나체놀이 등을 하는 등으로 왕실에서 ‘사고뭉치’로 알려져 있었지만 지금은 각종 사회활동과 왕실관련 중책을 맡으면서 시민들에게 호감의 이미지로 돌아왔다고 한다. 해리 왕자 결혼식은 영국 국민이 단합하는 기회가 될 뿐 아니라 1조 원 가량의 경제 부양 효과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경제학자들은 우리 경제가 맞닥뜨린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저출산(低出産)과 고령화(高齡化)에 따른 인구구조(人口構造)의 변화를 꼽고 있다. 최근 조선일보사 설문에 참여한 한국경제연구학회 회원인 51명의 경제학자 중 19명(37.3%)이 인구문제를 가장 걱정했다. 뒤를 이어 빈부격차 등 사회구조, 보호무역 강화 등 통상환경, 편중된 수출업종 등 산업구조, 가계와 정부 부문의 부체 증가 등을 위험요소로 지적했다. 

 

저출산 고령화는 경제 활력과 일자리 창출을 해치는 최악의 환경을 만들고 있다. 올해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5만명가량 줄어들며 이로 인해 고용시장에 충격이 일부 있어 지난달 취업자가 2만명가량 줄어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난 2006년부터 작년까지 총 225조원 예산을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썼지만 이렇다 할 효과를 보지 못했다. 

 

한편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이며 저출산 극복이 국가적 과제로 등장하고 있지만 해외 입양은 여전히 줄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의 해외 입양은 2014년 535명, 2015년 374명, 2016년 334명으로 줄다가 2017년 398명으로 다시 늘어났다. 우리나라의 전체 해외 입양아(入養兒) 중 69.3%(276명)가 미국에 몰려 있다. 미국 이외에 스웨덴, 캐나다, 노르웨이, 호주 등에도 매년 3-40명씩 입양아를 보내고 있다. 

 

‘저출산 극복’을 말하면서 우리가 낳은 아기조차 국내에서 양육하지 못하고 있다. 작년에 해외 입양이 늘어난 것은 국내 입양이 2016년 546명에 비해 14.5% 줄었기 때문이다. 국내 입양이 전체 입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13년 74.4%로 높아져 국내 입양이 활성화되는 기미가 보였으나, 이후 계속 떨어져 2017년에는 53.9%를 기록했다. 국내 입양이 부진한 이유는 1세 미만의 아기와 여아(女兒)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또한 지난해에는 입양아 학대 등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입양 분위기가 위축되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저출산ㆍ고령화에 따른 미래 가족 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정책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현재 가장 전형적인 가구 형태는 부부와 미혼 자녀가 함께 사는 가구로 약 619만 가구로 전체 1936만8000가구의 32%를 차지한다. 이어 1인 가구(539만8000가구), 자녀없이 부부 둘만 사는 가구(299만5000가구) 순이다. 

 

그러나 연구진이 합계 출산율이 최근 수준에 머물고, 사망률이 점진적으로 떨어진다고 가정해 추계한 결과, 2020년 1인 가구는 591만8000가구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부부와 자녀 가구는 586만8000가구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부부와 자녀 가구 수가 대폭 줄어드는 이유는 젊은 층의 미혼율(未婚率)이 높아지고 자녀도 덜 낳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2020년부터 1인 가구의 상당수는 65세 이상 노인이다. 

 

우리나라의 20ㆍ30대가 ‘미혼 대국’이라고 불리는 일본을 앞지를 정도로 결혼을 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는 아기를 낳을 가임(可姙) 여성(15-49세) 감소에다 혼인율이 크게 하락한 것이 저출산을 부른 핵심 원인이다. 즉 아기를 낳을 주 연령대인 20대 후반과 30대 초반 여성이 결혼하지 않는 나라가 되면서 합계출산율이 1.23명(2010년), 1.19(2013), 1.17(2016), 1.05명(2017년)까지 추락했다. 일본은 합계출산율이 1.44명(2016년)으로 근래 1.4명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말하는 혼인율은 일본 5.0건보다 약간 높은 5.5건이지만, 지난 10년 동안 일본보다 급격하게 혼인율이 떨어진 결과다. 즉 20대 미혼율은 91.3%로 일본 79.7%보다 압도적으로 높고, 30대 미혼율은 30.3%로 일본(34.9%)보다 약간 높다. 이는 30대 후반 미혼율은 아직 일본이 더 높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여성의 결혼(초혼) 연령이 30세를 넘어 저출산을 부채질하고 있다. 초혼 연령이 높아진 것은 고학력화와 여성 취업 확대 때문이다. 30대 여성의 4년제 대졸자가 전체의 절반가량(47.0%)인 데 비해 일본은 21.5%에 머물러 있다. 반대로 일본은 2년제 전문대학 졸업이 한국보다 훨씬 많다. 우리나라는 여성이 대학 졸업 후 취업을 하면서 사회 진출하는 나이가 늦어지고 직장에서 안정을 찾은 뒤 결혼하려는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결혼연령이 늦어지는 것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이 2017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30년 내로 전국 228개 시ㆍ군ㆍ구 중 84곳, 3400여개 읍ㆍ면ㆍ동 중 1383개가 사라진다고 전망했다. 이들 지역은 가임여성인구 비중이 낮고, 고령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이다. 또한 도시와 농촌의 소득격차도 심각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40년의 농촌 모습은 잿빛에 가깝다. 즉 극심한 저출산과 고령화로 정주환경이 붕괴되고, 기초 생활기반이 축소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가족농(家族農) 중심의 농업구조가 대농(大農)이나 기업농 중심으로 급속히 변화되면서 고령화된 영세소농(小農)이 소외될 수 있다는 견해도 나왔다. 이에 지방농정을 살리고 농촌을 구해야 한다. 

 

노후(老後) 대비책인 국민연금은 출생아 수가 많아져야 재정이 탄탄해진다. 출산율이 떨어지자 국민연금공단은 이른바 ‘출산 크레딧’이란 제도를 내놨다. 2008년 이후에 둘째 자녀 이상 출산한 가입자가 대상이며, 자녀수가 늘어나면 최대 50개월까지 가입기간을 추가 인정해 준다. 즉, 2자녀는 12개월, 3자녀는 30개월, 4자녀이면 48개월로 늘어난다.  

 

우리나라는 웬만한 출산 장려 정책은 거의 다 도입하고 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저출산 극복은 백약이 무효일까? 올해 우리나라 출산율은 지난해 출산율(1.05명)보다 더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에 “사람이 먼저다”와 함께 ‘아이를 낳아 키우기 좋은 나라를 만드는 것이 먼저다’를 실천해야 한다. 

 

결혼 후 임신과 출산 여부는 전적으로 개인의 선택이다. 인구교육 전문가들은 저출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결혼과 출산에 대한 사회적 가치관(價値觀)을 바꾸는 교육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결혼과 출산이 기쁨이요 축복인 가치관과 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 

 

국민 MC, 天國 노래자랑 MC로...

댓글 0 | 조회 2,419 | 2022.06.25
필자 부부는 매주 일요일 연세대학교회(Yonsei University Church)에서 11시 주일예배를 드린 후 연희동 소재 식당에서 오찬을 하면서 TV에서 방… 더보기

우울증(憂鬱症) 급증

댓글 0 | 조회 2,384 | 2020.08.22
전 세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확진자가 2000만명이 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하루 30… 더보기

식량안보 목표치

댓글 0 | 조회 2,362 | 2022.07.09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산출하는 세계식량가격지수(Food Price Index)는 지난 5월에 173.4를 기록하며 통계를 작성한 1990년 1월 이후 최고… 더보기

변실금(便失禁)

댓글 0 | 조회 2,342 | 2019.07.20
“나도 모르게 찔끔찔끔 변이 새나요?” 소변이 찔끔찔끔 새는 요실금(尿失禁)처럼 대변이 새는 것을 변실금(便失禁)이라 한다. 우리 입에서 항문까지의 길이는 약 9… 더보기

위드 코로나와 코로나 치료제

댓글 0 | 조회 2,311 | 2021.10.23
방역 당국이 단계적 일상 회복(With Corona)이 시작되는 시점을 구체적으로 처음 언급했다. 즉,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10월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 더보기

다양한 ‘사과’ 품종

댓글 0 | 조회 2,280 | 2019.11.23
요즘 대구(大邱)는 세계적 ‘물(水)의 도시’를 꿈꾸며 대구시가 심혈을 기울여 건립한 ‘국가물산업클러스터(cluster)’의 개소식이 열려 물과 관련된 국내 물산… 더보기

BA.5 변이와 코로나 재유행

댓글 0 | 조회 2,277 | 2022.07.22
코로나19(COVID-19) 재유행(再流行)에 대한 불안감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최근 한 주(6월20-26일) 동안… 더보기

코로나 재확산 진행중

댓글 0 | 조회 2,262 | 2020.07.01
글로벌 증시(證市)는 코로나 재확산 여부가 가장 큰 변수이다. 최근 미국은 적절한 계획 없이 경제활동 재개에 나서면서 9개 주(州)에서 일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더보기

공황(恐慌)장애(panic disorder)

댓글 0 | 조회 2,252 | 2016.12.20
국회에서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國政壟斷) 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국조특위 2차 청문회가 지난 12월 7일 열렸다. 이른바 ‘최순실 게… 더보기

‘살충제 달걀’ 사태 일파만파

댓글 0 | 조회 2,230 | 2017.09.01
서민들도 쉽게 구해 먹을 수 있는 영양식품인 달걀이 수난을 당하고 있다. 전국의 산란계(産卵鷄) 농장들이 지난해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AI)에 이어 금년에는 폭염… 더보기

발바닥 적신호, 족저근막염

댓글 0 | 조회 2,227 | 2022.02.05
필자는 ‘제2의 심장’이라 불리는 발에 관한 건강칼럼을 준비하면서 발과 발가락에 관심을 가지고 국립중앙박물관의 ‘사유(思惟)의 방(Room of Quiet Con… 더보기

(초)미세먼지 스트레스

댓글 0 | 조회 2,221 | 2016.07.13
요즘 (초)미세 먼지에 대한 공포로 인하여 깨끗한 공기를 구입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라벤더ㆍ페퍼민트향(香) 등을 첨가한 ‘프리미엄 산소캔’이… 더보기
Now

현재 저출산, 인구절벽

댓글 0 | 조회 2,214 | 2018.06.09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원장 金皓)과 보건대학원총동창회(회장 朴明潤)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12회 한마음 대축제’가 지난 5월 19일 관악캠퍼스에서 개최되었다. … 더보기

한국인 건강체력(體力) 기준

댓글 0 | 조회 2,191 | 2017.03.07
‘100세 시대’에는 오래 사는 것 보다, 얼마나 건강하게 사는 지가 더 중요하다. 이에 정부(문화체육관광부)는 “국민체력100으로 100세까지 건강하게”를 목표… 더보기

106세 의사의 삶

댓글 0 | 조회 2,166 | 2017.11.22
일본에서 가장 존경받는 ‘평생 현역’ 의사인 히노하라 시게아키(日野原重明) 박사가 지난 7월 18일 자택에서 둘째 아들 부부가 지켜보는 가운데 잠을 자듯 숨을 거… 더보기

‘통증의 왕’ 대상포진(帶狀疱疹)

댓글 0 | 조회 2,157 | 2019.11.09
낮과 밤의 기온이 크게 벌어지는 환절기(換節期)가 되면 우리 몸은 쉽게 지치고 면역력(免疫力)이 떨어져 질병에 걸리기 쉽게 된다. 이처럼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걸… 더보기

연말까지 백신(Vaccine) 개발

댓글 0 | 조회 2,146 | 2020.06.06
최근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 등은 COVID-19로 인한 미국인 사망자가 10만명이 넘었다는 소식을 톱뉴스로 다뤘다. 뉴욕타임스는 “희생자 규모… 더보기

위드 코로나(With Corona) 공론화

댓글 0 | 조회 2,141 | 2021.09.16
이번 주말(9월 18일)부터 9월 22일까지 추석(秋夕) 연휴 5일을 가족과 함께 보낼 수 있다. 지난봄은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이 왔건만 봄 같지 않은 봄… 더보기

콜레스테롤(Cholesterol)의 날

댓글 0 | 조회 2,127 | 2019.10.05
당신의 콜레스테롤(cholesterol) 수치(數値)를 아십니까? 대개 자신의 혈압(血壓)과 혈당(血糖) 수치는 알면서도 콜레스테롤 수치는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더보기

스티븐 호킹과 루게릭병

댓글 0 | 조회 2,116 | 2018.03.24
<3월14일>은 아인슈타인(Einstein)이 이 세상에 태어난 날이자 호킹(Hawking)이 이 세상에서 저 세상으로 떠난 날이다. 루게릭병(근위축성… 더보기

농업생산 비상

댓글 0 | 조회 2,105 | 2020.04.28
의식주(衣食住)란 인간 생활의 세 가지 기본 요소(the necessities of life)인 옷(clothing)과 음식(food)과 집(shelter)을 통… 더보기

순 채소(눈경 채소)

댓글 0 | 조회 2,104 | 2019.06.08
채소(菜蔬, vegetable)를 북한에서는 ‘남새’, 중국에서는 ‘소채’, 일본에서는 ‘야채’ 라고 한다. 채소는 주로 신선한 상태로 부식(副食) 또는 간식(間… 더보기

겨울철 별미, 과메기

댓글 0 | 조회 2,099 | 2016.12.13
겨울철 별미(別味)로 과메기를 꼽는 사람들이 많다. 전국 과메기의 약 90%가 경북 포항 구룡포에서 나온다. 필자는 몇 년 전에 한국파인트리클럽(Pine Tree… 더보기

장어(長魚)

댓글 0 | 조회 2,099 | 2019.10.19
‘PTC 7080모임’의 9월 월례회를 양평 두물머리 맛집인 ‘운길산 장어’에서 열었다. 61년전인 1958년 11월 3일에 창립된 Pine Tree Club(P… 더보기

슈퍼푸드(Super Food)에 대한 관점

댓글 0 | 조회 2,060 | 2017.10.16
<헬스조선> 9월호 ‘헬스조선 빅 퀘스천(Big Question) 제 9탄 슈퍼푸드는 정말 있나?’ (전문가 4인 집필, 181-200쪽)에 실린 필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