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 스트레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초)미세먼지 스트레스

0 개 2,220 박명윤

요즘 (초)미세 먼지에 대한 공포로 인하여 깨끗한 공기를 구입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라벤더ㆍ페퍼민트향(香) 등을 첨가한 ‘프리미엄 산소캔’이 판매되고 있으며, 본체만 5만-10만원이고 석 달마다 카트리지(1만-3만원)를 갈아줘야 하는 ‘산소 발생기’도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공기 청정기는 기본이고, 산소발생기, 산소캔 구입이 아이들이 있는 엄마들 사이에서 유행이라고 한다. 

 

분진(粉塵)이라고도 하는 먼지(dust)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입자(fine particle)의 총칭이며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총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극미세먼지, 나노먼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980년대에는 총먼지(TSP: total suspended particles)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직경 100㎛(마이크로미터=1000분의 1mm)까지의 굵은 먼지를 말한다. 

 

환경 당국이 미세(微細)먼지(particulate matter) 기준치를 만든 것은 1993년으로 직경 10㎛미만으로 ‘PM 10’으로 표기하며, 머리카락 굵기(50-70㎛)의 몇 분의 1 크기다. 그리고 2015년부터 초(超)미세먼지 기준치로 직경 2.5㎛ 미만(PM 2.5)으로 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요즘은 직경 0.1㎛ 미만(PM 0.1)인 ‘극(極)미세먼지’와 직경 0.05㎛ 미만(PM 0.05) ‘나노(nano)먼지’가 거론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는 황사(黃砂), (초)미세먼지, 스모그(smog) 등으로 뒤덮이는 날이 잦아지고 있다. 황사는 중국의 사막 지대에서 발생하여 우리나라로 불어오지만 (초)미세먼지와 스모그 현상은 국내의 요인이 혼재해서 발생한다. 스모그는 연기(smoke)와 안개(fog)를 합성한 말로서 대기 중의 미세 먼지와 오존, 질소산화물 등 각종 오염 물질이 수증기와 뒤섞이면서 시야(視野)가 뿌옇게 흐려지는 현상이다. 

 

‘총먼지’는 대개 기관지 점막에서 걸러진다. 그러나 ‘미세먼지’는 허파 말단까지 닿으며, ‘초미세먼지’는 호흡기를 관통하여 혈관을 타고 폐포(肺胞)에까지 곧바로 도달한다. 심지어 혈관 속을 타고 뇌까지 침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초미세먼지는 이러한 특성으로 호흡기계, 심혈관 등 각종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먼지는 사이즈가 작을수록 침투력(浸透力)이 강할 뿐 아니라 독성도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환경기준치보다 2배 이상 높은 고농도 구역에서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황사마스크 없이 호흡할 경우 한 시간에 초미세먼지를 무려 6천2백만 개를 흡입하게 된다. 

 

초미세먼지는 우리 몸에서 배출되지 않고 몸 안에 쌓인다. 초미세먼지들의 상당수는 크기가 1㎛보다 작으며, 블랙카본(BC)은 크기가 0.42㎛-0.51㎛ 정도이며 주로 공장 굴뚝,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서 나오는 WHO 지정 1급 발암물질이다. 0.73㎛ 정도인 황산(S), 칼륨(K) 등도 자동차 배기가스나 식물체가 연소될 때 나온다. 극미세먼지와 나노먼지는 대부분 자동차에서 나온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김호 교수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토털환경과학(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최근호에 게재한 ‘한국 108개 시ㆍ군ㆍ구 자료를 이용해 살펴본 대기오염 장기 노출과 심혈관계 질환과의 상관관계’ 연구논문에 따르면 오염된 공기 속 미세먼지를 자주 들이마시면 호흡기(呼吸器)질환뿐 아니라 고혈압 등 심혈관(心血管)질환도 앓을 수 있다. 

 

연구팀이 전국 108개 시ㆍ군ㆍ구의 대기오염 농도 5년치 측정치와 질병관리본부의 지역사회 건강조사(2008-2010)에 나온 3년치 약 70만명의 빅데이터를 뽑아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드러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예컨대 2004-2008년 지역별 미세먼지 농도 평균값이 2008년 심혈관계 질환 유병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10㎛/㎥씩 증가할 때마다 고혈압 발생률은 4.4% 증가했다. 또 일산화탄소와 이산화질소가 10ppb씩 증가하면 고혈압 발생률은 각각 13%와 8%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가 혈액을 타고 몸속을 흘러 다니며, 고혈압 같은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 6월 9일 발표한 ‘대기 오염의 경제적 결과’(The economic consequences of outdoor air pollu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60년 한국인 100만명당 대기오염(大氣汚染)으로 인한 조기(早期) 사망자 수가 OECD 회권국 중 최다인 1109명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는 미국(307명), 영국ㆍ프랑스ㆍ독일ㆍ이탈리아 등 유럽연합(EU) 4개국(340명) 등 다른 모든 OECD 국가들보다 훨씬 높은 전망치다. 

 

또한 OECD 보고서는 대기오염으로 인하여 2060년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이 총 0.62% 손실을 볼 것이라고 밝혀 다른 OECD 회원국가 예상 손실인 GDP의 0.19-0.45%에 비해 훨씬 클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는 빠른 고령화로 인해 대기오염에 취약한 노인층이 증가하고 있어 그만큼 조기 사망의 가능성이 커진다. 

 

우리나라는 미세먼지의 위협이 심각하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연구원의 2012년 자료에 따르면 미세먼지의 해외 유입 비중은 30-50% 정도이고 나머지는 국내 화력발전소, 자동차 배기가스, 산업시설 등에서 발생한다. 특히 수도권의 미세먼지는 경유차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수도권 질소산화물 배출량의 67.7%가 수송 부문에서 발생하는데, 이 중에서 경유차가 76%를 차지한다고 환경과학연구원이 밝혔다. 

 

‘클린디젤(clean diesel)’의 환상이 깨졌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경유차 구매 비중이 세계 최고수준이다. 환경부는 금년 1월부터 경유차 16종에 대해 실제 도로 주행에서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2종을 제외하고 모두 허용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힌바 있다. 

 

독일 폭스바겐(VW) 자동차가 디젤 차량 배출 가스 조작이 사실이 밝혀져 서구 국가에서는 구매가 급감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오히려 경유차량 구매가 월평균 만 7천대씩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 2010년부터 5년간 연비(燃比)와 배출 가스 등 각종 시험 성적서 130여 건을 조작해 우리 정부에 제출한 혐의로 폭스바겐 한국지사(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인증 담당 이사가 구속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미세 먼지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지난 5월 10일 지시했지만, 정책 선택을 놓고 부처 간 혼선이 지속되었다. 혼선이 빚어지는 가장 큰 이유는 미세먼지 배출원(排出源)과 배출량에 관하여 정부가 과학적으로 측정한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최근 경유값 인상과 화력발전소 규제 등 미세먼지 저감대책(低減對策)을 놓고 환경부와 기획재정부, 산업자원부 등 정부 부처들이 벌인 갈등도 부실한 통계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예를 들면, 수도권 초미세먼지(PM2.5)의 경우 과거 정부는 “경유차가 60-70%를 배출한다”고 했지만 최근에는 “중국에서 약 50%가 유입되고 경유차 기여율은 15% 안팎”이라고 추정하기도 했다. 심지어 환경부 내에서도 초미세먼지 기여도를 서로 다르게 추정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가장 기본적인 국가 통계조차 제대로 확립하지 않은 것이 국민 불신을 사게 된 근본적인 원인이다. 

 

전국에 미세 먼지 측정소가 506곳이 있으나 미세먼지 성분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곳은 6곳에 불과하다. 이에 환경부ㆍ기상청의 부정확한 미세 먼지 예보로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초미세먼지 예보 절반이 빗나가고 있어 “우리나라 환경ㆍ기상 당국의 예보를 못 믿겠다”며 자구책으로 일본기상협회 사이트(www.tenki.jp)를 찾아 정보를 얻는 경우가 증가하는 등 정부에 대한 불신도 깊어지고 있다. 

 

전기차(電氣車), 수소차(水素車) 등 친환경차가 상용화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므로 우선 ‘차량부제’를 통하여 차량 이용 자체를 줄이도록 하여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10년 넘은 낡은 디젤차 244만대가 도로를 달리고 있어 이는 전체 등록차량의 10%가 넘는 수치다. 프랑스 파리는 2014년 미세먼지 농도가 심해지자 차량 2부제를 시행했다. 많은 파리 시민들이 이에 협조해 대중교통을 이용했다. 영국 런던은 경유 버스가 도심으로 들어오면 과태료를 물리며, 독일 베를린은 기준을 충족한 차량만 도심 진입을 허용하고 있다.   

 

최근 부산에서 개최된 ‘2016 부산국제모터쇼’의 화두(話頭)는 단연 ‘친환경차(親環境車)’였으며, 기아자동차는 이번 모터쇼에 친환경차를 대거 선보였다. 이에 우리나라가 미세먼지 위기를 기회로 삼아 관련 산업과 시장을 육성하면, 친환경차가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고 세계 시장도 선점할 수 있다. 비르지니아 라지(37세 여성) 신임 로마 시장이 지난 6월 23일 전기차를 타고 시청사로 첫 출근하는 사진이 언론에 보도됐다. 

 

정부는 2020년까지 5조원을 투입해 친환경차 보급과 충전 인프라 구축, 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 등을 추진하고 에너지 상대가격 조정 방안도 검토해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라는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 세부이행계획’을 지난 7월 1일 발표했다. 노후 경유차 수도권 진입제한 규제에 대해서는 환경부와 3개시도(서울시 인천시 경기도)가 협의해 시행지역, 시기, 대상차종 등을 확정할 계획이다. 30년 이상 된 노후 석탄발전소는 전력수급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처리방안을 확정키로 했다. 2020년까지 친환경차 150만대 보급할 예정이다. 

 

정부는 국민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미세먼지에 대한 실질적인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우선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는 단기 대책부터 시행한 후 중ㆍ장기 계획을 통하여 국민들이 맑은 하늘을 보고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숲은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 등을 흡수하므로 ‘도시숲’을 최대한 많이 조성하여야 한다. 시민들은 미세먼지가 심한 날은 황사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하여야 하며, 노약자들은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다. 

 

국민 MC, 天國 노래자랑 MC로...

댓글 0 | 조회 2,419 | 2022.06.25
필자 부부는 매주 일요일 연세대학교회(Yonsei University Church)에서 11시 주일예배를 드린 후 연희동 소재 식당에서 오찬을 하면서 TV에서 방… 더보기

우울증(憂鬱症) 급증

댓글 0 | 조회 2,383 | 2020.08.22
전 세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확진자가 2000만명이 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하루 30… 더보기

식량안보 목표치

댓글 0 | 조회 2,362 | 2022.07.09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산출하는 세계식량가격지수(Food Price Index)는 지난 5월에 173.4를 기록하며 통계를 작성한 1990년 1월 이후 최고… 더보기

변실금(便失禁)

댓글 0 | 조회 2,342 | 2019.07.20
“나도 모르게 찔끔찔끔 변이 새나요?” 소변이 찔끔찔끔 새는 요실금(尿失禁)처럼 대변이 새는 것을 변실금(便失禁)이라 한다. 우리 입에서 항문까지의 길이는 약 9… 더보기

위드 코로나와 코로나 치료제

댓글 0 | 조회 2,310 | 2021.10.23
방역 당국이 단계적 일상 회복(With Corona)이 시작되는 시점을 구체적으로 처음 언급했다. 즉,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10월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 더보기

다양한 ‘사과’ 품종

댓글 0 | 조회 2,280 | 2019.11.23
요즘 대구(大邱)는 세계적 ‘물(水)의 도시’를 꿈꾸며 대구시가 심혈을 기울여 건립한 ‘국가물산업클러스터(cluster)’의 개소식이 열려 물과 관련된 국내 물산… 더보기

BA.5 변이와 코로나 재유행

댓글 0 | 조회 2,277 | 2022.07.22
코로나19(COVID-19) 재유행(再流行)에 대한 불안감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최근 한 주(6월20-26일) 동안… 더보기

코로나 재확산 진행중

댓글 0 | 조회 2,261 | 2020.07.01
글로벌 증시(證市)는 코로나 재확산 여부가 가장 큰 변수이다. 최근 미국은 적절한 계획 없이 경제활동 재개에 나서면서 9개 주(州)에서 일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더보기

공황(恐慌)장애(panic disorder)

댓글 0 | 조회 2,252 | 2016.12.20
국회에서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國政壟斷) 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국조특위 2차 청문회가 지난 12월 7일 열렸다. 이른바 ‘최순실 게… 더보기

‘살충제 달걀’ 사태 일파만파

댓글 0 | 조회 2,230 | 2017.09.01
서민들도 쉽게 구해 먹을 수 있는 영양식품인 달걀이 수난을 당하고 있다. 전국의 산란계(産卵鷄) 농장들이 지난해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AI)에 이어 금년에는 폭염… 더보기

발바닥 적신호, 족저근막염

댓글 0 | 조회 2,227 | 2022.02.05
필자는 ‘제2의 심장’이라 불리는 발에 관한 건강칼럼을 준비하면서 발과 발가락에 관심을 가지고 국립중앙박물관의 ‘사유(思惟)의 방(Room of Quiet Con… 더보기

현재 (초)미세먼지 스트레스

댓글 0 | 조회 2,221 | 2016.07.13
요즘 (초)미세 먼지에 대한 공포로 인하여 깨끗한 공기를 구입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라벤더ㆍ페퍼민트향(香) 등을 첨가한 ‘프리미엄 산소캔’이… 더보기

저출산, 인구절벽

댓글 0 | 조회 2,212 | 2018.06.09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원장 金皓)과 보건대학원총동창회(회장 朴明潤)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12회 한마음 대축제’가 지난 5월 19일 관악캠퍼스에서 개최되었다. … 더보기

한국인 건강체력(體力) 기준

댓글 0 | 조회 2,190 | 2017.03.07
‘100세 시대’에는 오래 사는 것 보다, 얼마나 건강하게 사는 지가 더 중요하다. 이에 정부(문화체육관광부)는 “국민체력100으로 100세까지 건강하게”를 목표… 더보기

106세 의사의 삶

댓글 0 | 조회 2,165 | 2017.11.22
일본에서 가장 존경받는 ‘평생 현역’ 의사인 히노하라 시게아키(日野原重明) 박사가 지난 7월 18일 자택에서 둘째 아들 부부가 지켜보는 가운데 잠을 자듯 숨을 거… 더보기

‘통증의 왕’ 대상포진(帶狀疱疹)

댓글 0 | 조회 2,157 | 2019.11.09
낮과 밤의 기온이 크게 벌어지는 환절기(換節期)가 되면 우리 몸은 쉽게 지치고 면역력(免疫力)이 떨어져 질병에 걸리기 쉽게 된다. 이처럼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걸… 더보기

연말까지 백신(Vaccine) 개발

댓글 0 | 조회 2,146 | 2020.06.06
최근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 등은 COVID-19로 인한 미국인 사망자가 10만명이 넘었다는 소식을 톱뉴스로 다뤘다. 뉴욕타임스는 “희생자 규모… 더보기

위드 코로나(With Corona) 공론화

댓글 0 | 조회 2,141 | 2021.09.16
이번 주말(9월 18일)부터 9월 22일까지 추석(秋夕) 연휴 5일을 가족과 함께 보낼 수 있다. 지난봄은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이 왔건만 봄 같지 않은 봄… 더보기

콜레스테롤(Cholesterol)의 날

댓글 0 | 조회 2,127 | 2019.10.05
당신의 콜레스테롤(cholesterol) 수치(數値)를 아십니까? 대개 자신의 혈압(血壓)과 혈당(血糖) 수치는 알면서도 콜레스테롤 수치는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더보기

스티븐 호킹과 루게릭병

댓글 0 | 조회 2,116 | 2018.03.24
<3월14일>은 아인슈타인(Einstein)이 이 세상에 태어난 날이자 호킹(Hawking)이 이 세상에서 저 세상으로 떠난 날이다. 루게릭병(근위축성… 더보기

농업생산 비상

댓글 0 | 조회 2,105 | 2020.04.28
의식주(衣食住)란 인간 생활의 세 가지 기본 요소(the necessities of life)인 옷(clothing)과 음식(food)과 집(shelter)을 통… 더보기

순 채소(눈경 채소)

댓글 0 | 조회 2,104 | 2019.06.08
채소(菜蔬, vegetable)를 북한에서는 ‘남새’, 중국에서는 ‘소채’, 일본에서는 ‘야채’ 라고 한다. 채소는 주로 신선한 상태로 부식(副食) 또는 간식(間… 더보기

장어(長魚)

댓글 0 | 조회 2,099 | 2019.10.19
‘PTC 7080모임’의 9월 월례회를 양평 두물머리 맛집인 ‘운길산 장어’에서 열었다. 61년전인 1958년 11월 3일에 창립된 Pine Tree Club(P… 더보기

겨울철 별미, 과메기

댓글 0 | 조회 2,098 | 2016.12.13
겨울철 별미(別味)로 과메기를 꼽는 사람들이 많다. 전국 과메기의 약 90%가 경북 포항 구룡포에서 나온다. 필자는 몇 년 전에 한국파인트리클럽(Pine Tree… 더보기

슈퍼푸드(Super Food)에 대한 관점

댓글 0 | 조회 2,060 | 2017.10.16
<헬스조선> 9월호 ‘헬스조선 빅 퀘스천(Big Question) 제 9탄 슈퍼푸드는 정말 있나?’ (전문가 4인 집필, 181-200쪽)에 실린 필자… 더보기